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화 한 통이면 부모님 통신요금이 절반으로!

기초연금 수급자, 통신비 월 최대 1만1000원 감면

2018.08.02 정책기자 박은영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엄마의 휴대폰을 바꿔드려야겠다고 생각한 건 지난 4월이다. 작고 하얀 폴더폰이 자꾸 엄마의 손에서 미끄러지듯 빠져나가는 느낌이 들었고, 폴더폰은 이제 되게 후져 보였다. 효도폰으로 나온 신제품은 큰 글씨에 심플한 모양의 세련된 빨간색을 띄고 있었다. 

사실 엄마의 휴대폰 사용은 전화를 받고 거는 것 외에 없다. 하지만,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구매해야 했다.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했고, 거기에 경로우대 할인이 적용돼 기존 가격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스마트폰을 구입할 수 있었다. 25%의 요금할인은 신청은 진작 했던 터다. 가족들의 이름과 번호를 저장하고 테스트 전화까지 한 엄마의 기분은 한결 가벼워 보였다.

혼자 사시는 어른일수록 휴대전화는 중요했다. 집 전화를 없애고 휴대전화만을 사용하는 어르신들도 적지 않았다. 바깥에서 무슨 일이 생기면 당장에 연락할 수 있고, 자식들은 언제라도 부모님과 통화가 가능하니 말이다.

지난 해 11월부터 시행된 저소득층 어르신의 통신사 요금 감면에 이어, 13일부터는 기초연금을 받는 어르신들에게 월 최고 1만1000원씩 이동통신 요금이 감면 된다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난 해 11월부터 시행된 저소득층 어르신의 통신사 요금 감면에 이어, 13일부터는 기초연금을 받는 어르신들에게 월 최고 1만1000원씩 이동통신 요금이 감면 된다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반가운 기사를 접한 건 며칠 전이다. 기초연금을 받는 어르신들에게 월 최고 1만1000원씩 이동통신 요금이 감면된다는 내용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13일부터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174만 명에게 이동통신 요금 감면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저소득층 요금 감면에 이은 어르신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 감면 추진 정책이었다. 취약계층에 대해 이동통신 접근권을 보장하려는 보편적 개선 계획이 마무리되는 거다. 

처음에 보도를 접했을 때는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엄마에겐 혜택이 없고, 2만2000원 이상 요금제 가입자에게만 혜택이 이루어질 거라 생각했다. 자세히 보니 아니었다. 월 요금제 2만2000원 이상엔 1만1000원이 할인 되고, 이용료가 그보다 저렴하면 금액에 상관없이 50% 할인이 적용됐다. 그러니까 65세 이상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모든 분들에게 감면 혜택이 이루어지는 거다. 

정부는 해당 어르신들에게 문자를 발송하고, 그 안내 문자메시지를 클릭하면 전담 상담사와 연결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한다. 방법은 이뿐 아니다. 동사무소에 방문한 어르신이 기초연금 신청 시 통신비 감면 혜택 제공에 동의하는 간단한 체크하면 이통사를 거치지 않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이통사에서 가입 또는 요금제를 변경할 경우 기초연금 수급자임이 확인되면 통신비를 감면받을 수 있게 된다.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시대에 휴대전화는 중요한 연락수단이 되고 있다. (출처=픽사베이)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시대에 휴대전화는 중요한 연락수단이 되고 있다. (출처=픽사베이)
 

엄마의 경우, 스팸 문자 등이 많아 문자 확인을 꼼꼼하게 하지 않으셨다. 휴대전화의 114를 통한 통신사에 전화 한 통화만 하면 바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도 어려워하시는 어르신들이 많을 수 있다. 

이럴 땐 자식들이 전화를 대신 걸어주면 된다. 엄마 휴대폰의 통신사에 전화를 걸어 휴대폰 요금 감면 혜택을 신청했다. 어렵지 않았다. 엄마의 생년월일, 주소만 알면 됐으니 손쉽게 신청이 가능했다.

주민센터 신청과 휴대폰 대리점, 온라인사이트의 신청 방법이 있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자식들의 전화 한 통이다. 신청만 하면 2만2000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한 어르신은 1만1000원이, 그보다 저렴한 요금제는 50%의 감면을 받을 수 있다. 

어르신의 통신요금 감면 혜택은 주민센터와 휴대폰 대리점, 온라인사이트의 신청할 수 있고, 부모님의 생년월일과 주소만 알면 자식들의 전화 한통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다. (출처=뉴스1)
어르신의 통신요금 감면 혜택은 주민센터와 휴대폰 대리점, 온라인사이트에서 신청할 수 있고, 부모님의 생년월일과 주소만 알면 자식들의 전화 한통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다. (출처=뉴스1)
 

일부 알뜰폰 업체는 월 2만2000원에 음성 100분·데이터 10GB를 제공하고 있는데, 통신비를 감면 받으면 1만1000원에 데이터 10GB를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인터넷 활용 등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만 있다면 이만큼 저렴한 혜택도 없다. 시간을 내 엄마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사용하기 방법을 알려드려야겠다. 

◇ 기초연금 수급자 통신비 감면 혜택

과기정통부는 통신비 감면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169만명이 연 1877억 원의 통신비 절감 효과를 누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2017년 말 시행된 저소득층 요금 감면(136만명·연 2561억원) 효과를 더하면 총 취약계층 요금 감면 효과는 연 4438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65세 이상에 기초연금을 받으신다면, 통신사 고객센터로 전화하거나 오프라인 대리점에서 신청하면 된다. 근처 주민센터에서 기초연금을 신청하면 동시에 통신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박은영
정책기자단|박은영
eypark1942@naver.com
때로는 가벼움이 힘이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콧대높은 주부들 사로잡은 ‘비욘드 팜’ 가봤더니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