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람 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무려 70%나. 또 지구도 내가 없으면 안돼.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하고 있으니까. 눈치가 빠르면 벌써 날 알아챌 수도 있겠지? 맞아, 나는 ‘물’이야!
물도 물 나름이라고, 소금기가 많은 바닷물, 땅속에 흐르는 지하수, 그리고 사막 같은 곳에 있는 오아시스 등이 있는데,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은 그렇게 많지 않아.
일단 가장 많은 바닷물은 소금과 작은 미생물 때문에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알맞지 않아.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물 중 바닷물이 70%니까, 불과 1%만 사람이 사용할 수 있대. 그 물 중의 대부분은 또 지하수고.
![]() |
지구 표면의 대다수는 물, 그중에서도 바닷물의 비율은 압도적이야.(출처=Pixabay) |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항상 부족하니까,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지정하면서 기념하고 있어. UN에서 물 부족과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서라는데, 아직도 나를 물로 보는 사람이 너무 많아. 내가 정말 필요하다면 아껴 써야 한다고 꼭 말해주고 싶어.
뭐라고? 생활 속에서 나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사실 알고 보면 되게 쉬운 건데, 지금부터 잘 살펴봐!
![]() |
먹는 샘물. 사람은 물을 마셔야 살 수 있지.(출처=Pixabay) |
먼저 가정에서 가장 많은 물을 소비하는 곳이 화장실이야. 화장실은 정말 나를 많이 필요로 하는 곳이거든. 요즘 코로나19 때문에 손 자주 씻지? 손을 씻을 때도, 또 샤워할 때도 나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손 씻을 때, 30초 이상 비누칠을 해야 하는데, 물을 계속 틀어놓고 비누칠을 하는 경우가 있어. 일반 수도꼭지 기준으로 10초당 1ℓ의 물이 나가는데, 30초면 벌써 3ℓ의 물을 낭비하는 셈이지. 하루에 손을 10번 씻는다고 가정하면, 무려 30ℓ의 물을 버린 셈이야. 비누칠 할 때는 항상 수도꼭지를 잠가야 해.
![]() |
손 씻을 땐 수도꼭지를 잠그고 비누칠을 해야 돼!(출처=Pixabay) |
또 샤워할 때도 물을 사용하지? 샤워기에서 나오는 물은 1분에 10ℓ야. 샤워 시간을 1분 줄이면 10ℓ의 물을 절약할 수 있어. 만약 20분 이상 샤워를 한다면, 오늘부터 10분으로 줄여봐. 10분 내외로의 샤워 시간을 권장하고 있으니까.
양변기에 사용되는 물도 조금만 노력하면 아낄 수 있어. 방법은 간단해. 변기 수조에 물을 가득 채운 페트병 혹은 벽돌 하나를 넣어주면 돼. 참 쉽지? 이렇게 하면 한 번 내리는 변기 물을 2ℓ 아낄 수 있어.
![]() |
샤워는 10분 이내로.(출처=Pixabay) |
이제 주방으로 가볼까? 주방에서는 설거지할 때, 조금만 신경 쓰면 돼. 물을 틀어놓고 설거지하지 말고, 설거지통을 준비해 줘. 또 기름때가 낀 그릇을 닦을 때는 미리 휴지나 키친타월로 한 번 닦아주고, 주방세제 사용량도 줄여줘.
보통 설거지를 하면 100ℓ의 물이 사용된다고 하는데, 알려준 방법을 이용하면 20ℓ의 물로 설거지를 끝낼 수 있어. 무려 80L의 물을 아끼는 셈이지.
![]() |
설거지 할 때는 꼭 설거지통을!(출처=Pixabay) |
이제 다용도실이나 베란다로 가볼까? 여기엔 세탁기가 있어. 세탁기도 물 먹는 하마처럼 정말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한 번 세탁할 때, 보통 70ℓ의 물이 필요하니까.
그래서 세탁 횟수를 줄여야 해. 빨랫감을 모아 한 번에 세탁하면 30%의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거든. 또 세탁기가 설정한 헹굼 횟수보다 많게 하지마. 특히 추가 헹굼을 한 번만 더 누르더라도 50ℓ~100ℓ에 가까운 물을 사용하니까. 세탁기는 정말 물 먹는 하마라서 더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어.
![]() |
빨래는 한 번에!(출처=Pixabay) |
이렇게 물을 아낀다면, 사람에게는 어떤 보상이 따르냐고? 물을 사용하면서 내야 하는 수도요금을 절약할 수 있지. 알려준 방법을 바탕으로 한번 계산해볼까?
4인 가구 기준으로 매일 빨래와 설거지를 하고, 4명 모두 손을 10번씩 씻고, 샤워는 1번이지만 20분씩 걸린다고 치면, 하루에 사용하는 물의 양만 어림잡아 1090ℓ야. 30일, 한 달로 계산하면 3만2700ℓ를 사용하는 셈이지. 이 외에 양변기와 다른 것까지 더하면, 더 많은 물을 사용하게 되겠지. 그도 그럴 것이, 한국은 1인 기준으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물 소비를 한다고 해.
![]() |
콸콸콸콸... 우리도 모르는 사이 물을 물쓰듯 했어. |
내가 알려준 방법을 실천하면, 몇 ℓ의 물이 절약될 수 있을까? 놀랍게도 490ℓ만 사용해서 600ℓ를 아낄 수 있어. 30일로 계산하면 1만8000ℓ야. 1000ℓ에 평균 360원 정도 하니까, 6480원의 수도요금을 절약하게 돼. 1년에는 7만7760원을 절약할 수 있어.
돈을 떠나서, 사랑하는 만큼 아껴주고 소중히 다뤄야 한다는 사실.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이제는 날 아껴줬으면 좋겠어. 진정으로 사랑하고 내가 꼭 필요하다면, 내가 도망가기 전에 소중히 다뤄달라고!
(물 사용량, 수도요금 수치 출처=환경부 홈페이지, 블로그, 상수도사업본부)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고맙습니다] 코로나19와의 전쟁, ‘면마스크 의병단’이 떴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