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경주에 사는 친구에게 문자를 받았다. 휴가 동안 보낸 사진도 들어 있었다. 건강하게 지낸다니, 일단 안심. 석굴암과 다보탑 등을 보고 있으니, 경주에 가보고 싶은 마음이 일었다.
올해는 이런저런 이유로 휴가 계획마저 없어 더 삭막해진 느낌이었다. 불평할 상황은 아니지만, 솔직히 울적한 면도 없진 않았다. 더욱이 지금은 박물관 미술관 주간(박·미·주) 아니었던가.
![]() |
이곳저곳에서 박물관 미술관 주간 현수막을 볼 수 있었다. |
거리에도, 박물관에도 박·미·주 포스터가 나부낀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된 지금, 실내로 들어가긴 조심스럽다. 그렇다고 그냥 보내기도 아쉬웠던 차에 박물관이 거리로 찾아왔다.
‘거리로 나온 뮤지엄’이 직접 사람들에게 찾아왔다. 13일 현장을 찾았다. |
박물관 안에서 숨 쉬던 작품들이 서울 한복판으로 나와 LED 스크린을 통해 국민들과 함께했다. 경복궁 정문 담장에 선보인 ‘거리로 나온 뮤지엄’. 신호에 걸린 차 안에서도, 지나가며 곁눈질로도, 멀리 떨어져서도 보이니 별 부담 없다. 근처 직장인들이 출·퇴근길에 볼 수 있다는 건, 부럽기까지 하다.
평상시 지나는 길에서 박물관을 본다면 적잖은 위안이 되지 않을까. |
작품은 2가지였다. 이이남 작가의 ‘다시 태어나는 빛’과 꼴라쥬플러스(장승효, 김용민 작가)의 ‘판타스틱히스토리(FantasticHistory)’가 상영됐다.
‘다시 태어나는 빛’은 박물관 플랫폼에 갇힌 유물들이 일상에 와 다시 빛을 발한다는 내용이다. 기존 제도와 시스템에 의해 제한된 감상을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현대적 언어로 소통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판타스틱히스토리(FantasticHistory)’는 우리 문화유산들과 전 세계 문화재들이 함께 어우러져 같은 하늘 아래에 춤을 추며 인류의 화합과 소통, 공유의 의미를 살아있는 생명처럼 묘사했다.
율곡 이이,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신사임당, 모나리자가 함께 했다. |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 모나리자 등이 동시에 나타났다. 단지 같은 화면에 나타난 것만이 아니다. 생생하게 눈을 깜빡거리고 다양한 표정을 짓는다. 작품을 보고 있으니 치유를 넘어 활력까지 받는다.
하얀 백자가 검은 화면을 압도했다. 밤이 될수록 더 멋지다고 담당자는 말했다. |
풍성하게 꽃이 피어나고 큰 황금새가 날아올랐다. 검은 화면 속을 휘감던 빛이 모여 흰 원을 만들어 흐릿한 백자 모양으로 변하더니, 실제 백자 모습이 됐다. 널따란 담장에 새와 나비가 날아다니고 석굴암, 고려청자, 첨성대, 다보탑이 번지듯 퍼져 나간다. 친구의 사진 속에서 보았던 문화재가 서울 한복판에 피어난 건, 뭐라 표현하기 힘든 강한 인상을 주었다.
![]() |
모두 문화가 그리웠던 걸까. 저마다 각자의 폰 안에 소중하게 담고 있었다. |
문화는 오가는 사람들 발길을 멈추게 하고 마음을 이끈다. 나 역시 그랬다. 그곳에서는 연령, 국적도 상관없이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찍고 있었다. 사진 스타일은 가지각색이었지만 밝은 표정처럼 마음만은 훈훈하지 않았을까. ‘거리로 나온 뮤지엄’은 긴 코로나19에 지친 심신을 조금이나마 달래줬고, 앞으로 더욱 주의해야 할 코로나19 생활을 이겨나갈 힘을 주었다.
문화재와 함께 디지털이 조화를 이뤄 더 근사하다. |
이 행사는 문체부가 8월 14일부터 23일까지 박·미·주(박물관 미술관 주간)로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세계박물관의 날을 맞아 다양성과 포용성을 주제로 ‘일상의 위로, 나를 위한 여행’을 내세웠으며, 올해부터 전국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넓혔다.
12일 시범운영을 마친 ‘거리로 나온 뮤지엄’은 13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14일부터 펼쳐졌다. |
올 초부터 비자발적 은둔자로 지내오다 속속 문화 시설들이 개관하자 어둠 속 빛을 본 느낌이었다. 전시를 보러 갈 계획을 세우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소식이 들려왔다.
기다리더라도 안심하며 찬찬히 전시를 보고 싶다. |
찜해 둔 박물관 전시를 문화소비할인권을 사용해 예매하려 했으나, 거리두기 격상에 따라 전체적 사용 시기가 늦춰졌다. 일단 조금 기다리더라도 안전하게 즐기고 싶다. 우선 나부터 좀 더 조심할 생각이다. 다만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덜 받도록, 가끔 드라이브 스루라도 ‘거리로 나온 뮤지엄’을 찾아볼지 모르겠다. 그 찬란한 빛이 코로나 블루(우울)를 중화시켜 주지 않을까.
거리로 찾아온 뮤지엄은 분명 작은 힐링을 선사했다. |
잠시였지만 ‘거리로 나온 뮤지엄’을 보고 나니 코로나19를 견딜 마음이 생긴 듯싶다. 그날 스마트폰으로 화면을 담던 사람들 역시 같은 생각 아니었을까.
현재 박물관 미술관 행사는 프로그램에 따라 취소 및 축소됐으며, 문화소비할인권 시기 역시 연기됐다. 자세한 건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좋겠다. 2020 박물관 미술관 주간 누리집 : https://www.뮤지엄위크.kr/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덜어요’ 챌린지, 함께 해볼까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