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부터 외국 친구들에게 선물할 때면 꼭 공예품을 골랐다. 공예품 하면 고가에 장식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 |
꽃무늬 컵받침과 가죽 장신구. |
그런 공예가 평범한 내 생활로 들어왔다. 올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국민혁신위원으로 매달 공예품과 전시를 평가, 아이디어를 내고 있다. 코로나19로 직접 전시를 볼 수 없는 건 아쉬웠지만, 택배로 오는 공예품 상자를 열 때는 한없이 설레었다. 매번 기대를 품고 두근거리는 마음에 포장을 풀었다. 갑갑한 집콕생활 중 색다른 즐거움이었다.
![]() |
감각적이고 실용적인 확대경. 상자를 어떻게 열어야 하나 싶을 만큼 감각적이었다. |
본래 공예품은 쓰임새와 만듦새가 아름답다고 하지 않던가. 일상에서 다시 들여다본 공예품은 꼭 비싼 제품만도 아니었고 실용성까지 있었다. 더욱이 자세히 볼수록 깊은 맛이 우러났다. 마치 나무로 만든 책상이 내 결을 따라가듯.
2020 공예주간 포스터. |
이런 공예가 다시 우리 곁을 찾아온다. ‘생활 속 공예두기’란 이름으로. 2020 공예주간이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간, 은은한 향연을 선사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2018년부터 매년 봄에 공예주간을 진행해왔다. 공예주간을 통해 전국으로 지역 공예를 확산하고 공예주간 브랜드화 및 지속적으로 공예 문화를 정착시킨다는 취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공예주간을 가을로 연기했다.
![]() |
올 봄 공예주간 사전행사로 열린 ‘다함께 차차차(茶)’ 전. |
아쉽게도 코로나19 확산으로 개막식 등은 결국 취소됐다. 대신 전국 425개 공방에서 816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이 온, 오프라인으로 예정돼 있다. 정부방침에 따라 공예주간과 연계해 전국 공방에서 소수 인원 체험, 비대면 프로그램 등으로 국민들에게 가까이 갈 생각이다.
온라인인 만큼 더 먼 거리, 좀 더 많은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다는 걸 위안으로 삼아볼까. 물론 기분 좋은 구매도 가능하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온라인 숍(http://www.kcdfshop.kr)은 물론 공방마다 할인이나 1+1 행사 등을 연다. 참여 공방이나 프로그램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여 전 공예주간 누리집(https://www.kcdf.kr/craftweek)을 참고하는 건 잊지 말자.
![]() |
예쁜 상자 안에 어떤 공예품이 들어 있을까 두근거려 좀처럼 포장을 풀기 어렵다. |
우리 일상에 스며든 공예는 더 있다. 8월 19일 공예의 전문성과 가치를 담은 공예TV(https://www.youtube.com/channel/UCbfl0i4qYcOLHHDU_fTMe4Q)가 오픈했다. 영상으로 공예 소식과 체험, 공예품 제작 과정에서 들리는 ASMR(뇌를 자극해 심리적 안정을 주는 영상) 등을 즐길 수 있다. 도자기 하나에 그렇게 많은 소리가 울릴 줄이야.
공예TV가 오픈해 다양한 콘텐츠들을 보여주고 들려준다.(출처=공예TV) |
제작 과정에서 들리는 편안한 소리는 공예의 깊은 맛을 한층 더 풍부하게 해준다. 통통 물 튀는 소리, 차르르 다듬는 소리, 달그락 부딪히는 소리로만 공예를 들어보자. 공예는 또 다르게 다가온다. 제작 과정 영상을 보면, 내게 온 공예품에 담긴 희노애락도 함께 보이지 않을까.
![]() |
실용적인 자개 손톱깎이. |
나는 추석을 앞둔 공예주간 동안 공예에 대해 알아보고, 공예로 마음을 전해보려 한다. 얼마 전 선물 드린 공예품에 반색하는 부모님 표정을 보니, 추석에도 공예품이 제격일 듯싶다. 또 공예주간 ASMR 영상을 통해 움츠린 마음을 토닥이고, 못 해본 공예체험을 해보며, 확실한 ‘생활 속 공예두기’를 해볼 생각이다. 더군다나 공예주간 플랫폼이 공예가에게 작품을 알릴 좋은 기회까지 돼준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 |
공예품 막잔과 엔틱 브로치. |
올 가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는 내려가고 생활 속 공예두기 단계는 올라오면 좋겠다. 공예가 코로나19 백신은 아니더라도, 마음을 치유하는 백신으로는 충분하지 않을까.
공예주간 누리집 : https://www.kcdf.kr/craftweek
공예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fl0i4qYcOLHHDU_fTMe4Q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온라인 숍 : http://www.kcdfshop.kr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기본법과 청년의 날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