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호국보훈의 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만난 영웅들

2021.06.25 정책기자단 조수연
목록

6월은 6월 6일 현충일을 비롯해 6월 25일 6.25전쟁, 6월 15일과 29일 제1, 2연평해전이 일어난 호국보훈의 달이다. 

호국보훈의 달의 끝 무렵, 그리고 6.25전쟁 81주년을 맞아 국립서울현충원에 방문했다. 국립서울현충원의 설립 목적은 6.25전쟁 당시 전사한 국군 장병을 위한 국군묘지였고, 현재는 6.25전쟁과 독립유공자 등 호국보훈과 관련된 이들이 안장돼 있다.

국립서울현충원 장병 묘역
국립서울현충원 장병묘역.


장병묘역과 호국부자의 묘

현충원에서 가장 많은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장병묘역. 장병묘역에는 이등병부터 대령까지인 영관급 장교까지 안장돼 있다. 시기도 다양한데, 6.25전쟁과 베트남 전쟁, 그 외 북한의 도발로 인한 전사와 훈련 중 순직 등 국가를 지키다 목숨을 잃은 군인들이 안장돼 있다. 

이 중에 호국부자의 묘가 있다. 호국부자의 묘는 고(故) 박명렬 소령(공군)과 고(故) 박인철 대위(공군)의 묘를 합장한 것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라 호국부자라는 이름을 지었다.

공군 소령 박명렬과 공군 대위 박인철의 묘가 있는 장병 29묘역
박명렬 소령과 박인철 대위의 묘가 있는 장병묘역.


이들은 우리나라의 하늘을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공군 장교로 임관했다. 먼저 아버지 박명렬 소령은 1978년에 임관해 팀스피릿 훈련 중인 1984년 3월 14일, 충북 청원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순직했다. 아들인 박인철 대위는 2004년 임관해 2007년 야간 요격 임무를 수행하던 중 27세의 나이로 순직했다.

아버지인 박명렬 소령은 유해를 찾아 현충원에 묻을 수 있었지만, 아들인 박인철 대위는 유해를 발견할 수 없어 비행 전 남겨둔 유품을 묻었다. 국립서울현충원 최초로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안장됐다.

공군 父子의 묘.
호국부자의 묘.


그 외에 장병묘역에는 채명신 장군의 묘역이 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장병들 옆에 묻어달라는 것이 그의 유언이었기 때문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주월 한국군 사령관이었던 채명신 장군은 언제나 장병과 함께했다. 그가 숨을 거둔 이후에도, 장병묘역에서 장병과 함께하고 있다.

장병들과 같이 묻힌 채명신 장군의 묘소
장병들과 같이 묻힌 채명신 장군의 묘소.


국민을 위해 목숨 바친 영웅, 고(故) 전명세 기장

국가유공자묘역에는 경찰관과 기장, 군인, 전 국무총리 등 다양한 인물이 안장됐는데, 특히 고(故) 전명세 기장과 고(故) 최규식 경무관의 사례가 심금을 울린다. 

먼저 고(故) 전명세 기장이다. 1971년 1월 23일, 승객 55명과 승무원 5명을 태운 속초공항 발 김포국제공항 행 대한항공 F27기가 홍천 상공에서 납북될 뻔했다. 당시 수습 조종사였던 전명세 기장은 납치범이 던진 폭탄을 몸으로 덮치고 순직했다.

전명세 기장의 묘
전명세 기장의 묘.


만약 그가 폭탄을 몸으로 덮치지 않았다면 탑승객 60여 명의 목숨이 위험했던 상황. 당시는 수습 조종사였지만 순직 후 기장으로 추서돼 현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그 외에 국가유공자 제3묘역에는 1.21사태 당시 김신조 일당을 진압하기 위해 경찰을 지휘하다 전사한 최규식 경무관, 6.25전쟁 당시 베티고지의 영웅이었던 김만술 대위, 최초의 여군단장이었던 김현숙 대령 등이 안장돼 있다.

경찰묘역과 경찰 영웅, 고(故) 안병하 치안감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경찰묘역. 국립대전현충원에는 경찰·소방묘역이 있지만, 국립서울현충원에는 경찰 단독으로 경찰묘역이 조성돼 있다. 6.25전쟁 당시 경찰의 3분의 1이 전사했다.

안병하 치안감의 묘
안병하 치안감의 묘.


경찰묘역 중 가장 상단에는 치안감과 경무관의 묘가 있는데 여기에는 고(故) 안병하 치안감도 잠들어 있다. 고(故) 안병하 치안감은 6.25전쟁 당시 춘천-홍천지구에서 경찰관으로 북한과 맞서 싸워 화랑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1980년 5월 전라남도 경찰국장으로 재직 중 5.18민주화운동 강경 진압을 끝까지 막아섰고, 이후 강제로 경찰복을 벗어야 했다. 1988년 생을 마감한 안병하 치안감은 2005년에 이르러서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안병하 치안감이 안장된 경찰묘역
안병하 치안감이 안장된 경찰묘역


국가보훈처는 2015년 8월에 이달의 호국인물로 안병하 치안감을 선정했으며, 경찰은 2017년 최초의 경찰 영웅에 안병하 치안감을 선정했다.

그 외에 국립서울현충원은 경찰들을 위한 추모탑인 경찰충혼탑, 충열대, 무후선열제단 등을 통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있다.

국립서울현충원의 중심, 현충탑
국립서울현충원의 중심, 현충탑.


어느덧 6.25전쟁이 발발한 지도 81년이 지났다. 호국보훈의 달과 6.25전쟁일을 맞아, 다시 한번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 바친 모든 이들을 추모하며,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



조수연
정책기자단|조수연
gd8525gd@naver.com
대학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을 살게 하는 청년 주거 정책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