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취지를 가진 필요한 제품을 사는 것 만큼 값진 소비가 있을까. 사고 파는 사람 모두 만족스럽다. 또 사회 문제 해결 과정에 동참했다는 뿌듯함은 굳이 가격으로 따질 수 없다.
몇 년 전, 박람회에서 사회적기업에 관해 자세히 알게 됐다. 그때 보고 들은 설명이 꽤 흥미로웠다. 그런 까닭에 7월이 오면 어김없이 사회적기업이 떠올랐다.
바이소셜 온라인 기획전.(출처=바이소셜 누리집) |
고용노동부는 ‘사회적기업의 날’인 7월 1일부터 1주간을 사회적기업 주간으로 정해 알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16일까지 바이소셜 온라인 기획전을 열고 18일까지 바이소셜 위크 이벤트를 진행한다. 또 사전 붐업 행사 및 대한민국 동행세일, 사회적 경제박람회와 함께해 꽤 다채롭다. 사전 붐업 행사도 궁금했으나, 순식간에 마감돼 본 행사에 참여해 보기로 했다.
본 행사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됐다. 유튜브에서 진행한 행사와 포럼, 사회적경제 상품몰 e-store 36.5와 11번가가 함께하는 온라인 기획전이다.
![]() |
소비 성향 테스트도 있었다. 내가 나름 꼼꼼하게 사는 건 맞지만, 뼛속까지 집사인 건 의외였다.(출처=바이소셜 누리집) |
온라인 기획전은 풍성했다. 초특가 세일에 제로웨이스트, 안전한 먹거리 기획전 등 다양했다. 무료 배송과 구매 후기 이벤트, 쿠폰 등이 있어 잘 활용하면 꽤 유용할 듯싶었다. 또 바이소셜 누리집에 들어가면 내 소비 성향도 테스트해 볼 수 있다. 나온 결과를 통해 추천 제품도 알려준다. 도대체 난 왜 소비 성향이 뼛속까지 집사로 나온 건지 잘 모르겠다만.
다양한 제품이 있는 온라인 바이소셜 기획전.(출처=e.store 36.5 누리집) |
가장 먼저 초특가 프로모션에 눈길이 갔다. 살펴보니 1+1과 30~50% 세일 품목이 수두룩하다. 지역 특산물부터 친환경 제품 등 일상 필수품이다. 경쟁력도 갖췄다. 착한 비용에 품질마저 좋아 보이니 솔깃하다.
짜욱 작가의 캐릭터 그림이다. 완전히 내 취향을 간파했다.(출처=11번가 바이소셜 온라인 기획전) |
부족한 게 뭐였지? 선물할 곳은 없었나? 흐뭇한 생각으로 순간 바빠졌다. 축령산 편백숲에서 자란 나물을 구매할 수 있다니, 벌써 입안에 향이 감돈다.
발달장애 예술가 짜욱 작가가 그린 캐릭터는 색감이나 형태가 맞춘 듯 내 취향이다. 더욱이 판매 수익금 전액이 장애인 예술가 예술 활동금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쓰인다니 더 의미깊다. 이런 길을 통해 진정 그림이 좋아 그리는 예술가가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속으로 조그만 응원을 보냈다.
가치소비를 했다. 뿌듯함은 배송이 필요없었다.(출처=e.store 36.5 누리집> |
문득 사과즙이 시야에 들어왔다. 그렇지 않아도 구매하려던 1순위 제품이었다. 바로 장바구니에 넣었다. 가격이 너무 착해 잠시 갸웃했지만 틀림없었다. 결제를 마치자, 뭉클했다. 난 가치소비에 함께했다. 가볍던 지갑이 두툼하게 느껴진 순간이었다.
몇 년 전 박람회. 계속 보느라 더위를 잊었는지 먹었는지 오랫동안 머물렀다. |
사회적경제는 사람 중심 경제 활동이다. 경쟁과 효율보다는 사회적 목적과 가치를 염두에 둔다. 취약계층 고용이나 환경보호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또한 가치소비는 구매로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실천에 기여한다. 바이소셜(Buy Social)은 이런 가치소비를 확산하는 캠페인이다.
![]() |
이후로 지나가다 사회적기업이나 사회적경제를 보면 다시 한 번 쳐다보게 됐다. |
‘내돈내산’이라면, 보다 알차게 구매하고 싶은 건 모두 비슷하다. 그렇다면 이보다 더 좋은 가치소비가 있을까. 난 사회적경제 박람회 온라인 기획전을 통해 착한 비용으로 꼭 필요한 제품들을 구매했고 건강을 챙겼다. 무엇보다 멀리서라도 사회 문제를 함께 생각하게 된 게 흐뭇하다.
바이소셜을 통한 가치소비가 늘어나 점점 다양한 사회적기업 제품이 함께 기쁨을 누리면 좋겠다. 이제 난 가치소비한 제품을 받아 볼 설렘까지 만끽하고 있다.
![]() |
막 배달된 사과즙. 여기에 풋사과 2개 분의 영양이 있단다. 가치소비로 4개 분 영양을 섭취한 느낌이다. |
바이소셜 누리집 :
https://www.buysocial.or.kr/BuySocialWeek
e.store 36.5 누리집 : https://www.sepp.or.kr/sepp/main
11번가 :
http://www.11st.co.kr/plan/front/exhibitions/2055955/detail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윤경 otterkim@gmail.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방자치 부활 30년, 주민에서 주인으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