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9일은 올해로 577돌을 맞은 한글날이었습니다. 10월 9일 전후를 맞아 전국에서 한글을 기념하기 위해 떠들썩한데요. 문화체육관광부도 이 기간(10월 4일~10일)을 ‘한글주간’으로 지정해 다양한 행사를 펼쳤습니다.
특히 제가 거주하는 울산의 경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자 한글학자·문학인인 외솔 최현배 선생의 생가와 외솔기념관이 있어 한글날에 더욱 진심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외솔 최현배 선생의 출생일은 10월 19일로, 한글날과 열흘 정도 차이라 울산에서는 최현배 선생의 탄생일도 함께 기념하는데요. 올해로 129돌을 맞이했습니다. 이를 기념해 ‘2023 외솔한글한마당’ 축제가 10월 7일~9일 3일 간 울산에서 열렸습니다. 축제 현장을 찾아 한글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 한글 사랑의 마음을 다져봤습니다.
훈민정음의 뜻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입니다. 훈민정음이라고 부르는 대상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그중 하나는 1443년 음력 12월(양력 1444년 1월)에 세종대왕이 만든 한국어의 표기 체계, 즉 오늘날의 한글을 창제 당시에 부른 이름입니다. 또 하나는 1446년 9월에 발간된 해설서 이름이죠. 흔히 ‘나랏말싸미~’로 알고 있는 내용이 훈민정음에 기록돼 있습니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1446년 반포한 훈민정음을 기념해, 한글과 창제 원리의 독창성·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처음 한글날 기념식은 480돌인 1926년 11월 4일에 거행됐는데요. 당시에는 ‘가갸날’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고 하네요. 지금의 ‘한글날’로 명칭이 바뀐 건 1928년부터라고 합니다.
이날 현장에는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졌는데요. 한글날 기념 콘텐츠를 제작한 기획자 박지윤(좌), 강은지(우) 씨와 한글과 관련해 대화를 나눠봤습니다.
Q. 한글날을 기념해 어떤 콘텐츠를 만드셨나요?
A. AR 증강현실을 활용해서 인스타그램 필터를 제작했습니다. 한글이라는 콘텐츠를 떠올렸을 때 흔히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많이 떠올리지만, 조선의 일제강점기 당시 한글을 지키려고 했던 조선어학회 단체의 활동을 생각하며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시했습니다.
Q. 기획자님이 생각하는 한글날은 어떤 날인가요?
A. 한글의 독창성과 그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는 날이라고 생각해요. 그 나라에 말이 있어야 뿌리가 굳건하고 오래 간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저 같은 경우에도 일상에서 줄임말, 은어 등을 많이 사용하고 맞춤법 등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한글날이 되면 괜히 죄책감이 들어서 우리 말의 중요성을 생각해보게 되더라구요.
Q. 한글 사용에 대해 한 말씀 해주신다면요?
A. 언어라는 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게 당연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정립된 문법을 파괴하지는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글날을 떠나 평소에도 한글의 소중함을 알고 소홀했던 한글 사랑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봤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한글의 아름다움이 파괴되는 모습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한글의 우수성은 이미 전 세계에서도 정평이 나있죠. 우리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태어나 이렇게 좋은 언어로 소통을 영위할 수 있는 자격을 얻은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잃지 말자는 말도 있듯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우리가 먼저 한글 보호와 발전을 위해 먼저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노상훈 tkdgns11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