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공간, 생활용품, 교육강좌까지! 공유누리에서 무료로 즐겨요

2024.05.24 정책기자단 박세아
목록

꼭 그런 물건이 있다. 한두 번 쓸 것 같은데 사자니 아깝고 공간도 차지할 것 같은, 그치만 꼭 필요한! 그럴 때 유용한 ‘공유누리’를 소개한다.

공유 플랫폼 공유누리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시설, 물품 등 공공개방자원을 국민이 온라인에서 쉽고 빠르게 검색·예약이 가능하도록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공유누리 홈페이지
공유누리 홈페이지.

누구나 PC,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각종 회의실, 주차장, 체육시설, 생활공구, 방역물품 등을 예약해 사용할 수 있다. 자원 분류별로 검색하여 예약 신청이 가능한데 문화숙박, 회의실, 강의실과 강당, 체육시설, 주차장, 물품, 연구실험장비, 교육강좌까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나는 급한 여행 일정으로 양산이 필요해서, 직접 양산을 대여해보기로 했다. 홈페이지에서 여러 조건을 설정해 검색할 수 있어 더욱 빠르게 원하는 물품을 찾을 수 있었다.

공유자원 검색화면
공유자원 검색 화면.

예약을 하고 나면, 홈페이지에서 예약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톡을 통해 예약 신청 완료 및 승인 알림톡도 와서 신청이 된 건지 헷갈리지 않아 더욱 좋았다

공유자원 예약화면
공유자원 예약 화면.
공유자원 예약 알림톡
공유자원 예약 알림톡.

그렇게 수령한 양산! 요즘 햇빛이 쨍쨍 내리쬐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데, 여행 내내 피부도 지키고 시원하게 이동할 수 있어 참 유용하게 썼다.

공유자원 대여(양산)
공유자원 대여(양산).

기존에 지자체의 공공자원을 빌리려면 항상 홈페이지에 직접 들어가서 검색하거나 전화를 통해 하나하나 물어봐야 해서 번거로웠는데, 이렇게 홈페이지에서 모든 공공자원을 한번에 볼 수 있어 훨씬 이용이 편리해졌다는 걸 몸소 느낄 수 있었다.

만약 당장 특별히 필요한 것은 없지만, 가까운 지역의 공유물품이 뭐가 있는지 궁금하다면 ‘공유지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공유지도는 지도에서 내 주변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한눈에 보여주는 기능이다. 그렇게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내 주변에도 다양한 공유자원이 있어 깜짝 놀랐다.

공유지도
공유지도.

다음에는 체육시설이나 주차장, 회의실 등 공간을 한번 이용해보면 유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장 어떤 물건이나 공간 등이 필요하다면, 또는 우리 동네 공유자원이 궁금하다면 공유누리 홈페이지를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공유누리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eshare.go.kr/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세아 new220723@naver.com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경로당 주 5일 식사 제공 소식이 반가운 이유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