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교로 통학을 하면서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는 순간이 많아졌다. 지하철을 이용할 때마다, 색깔과 패턴 등으로 지하철 노선을 구분하곤 했었는데, 최근 이러한 지하철 노선도에 유니버설 디자인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연령, 성별, 장애 등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의미한다. 올해 서울시에 따르면, 지하철 노선도를 40년 만에 변경했다고 한다. 색약자, 시각약자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명도, 채도, 패턴으로 바뀌었으며 많은 노선과 환승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8선형과 원형을 활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 손잡이의 높낮이가 다른 것 또한 다양한 키와 신체 능력을 가진 승객들을 고려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밖에도 유니버설 디자인은 일상 속에서 흔히 마주할 수 있다. 동대문구 소재의 대학을 다니는 나는 버스로 통학을 하며 곡선형 건물에 심플한 색조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지나칠 때가 많았다. 이러한 DDP 건물은 어떤 사람이든 접근할 수 있도록 지하철과 DDP가 연결되는 통로에 경사로를 설치해 아기가 탄 유모차,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가끔 버스를 타려고 버스정류장에 서 있을 때 ‘저상’이라는 단어를 마주칠 때가 있다. 저상이라는 말은 저상버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저상버스는 일반버스에 비해 차체의 바닥이 낮게 만들어져 노약자나 장애인이 쉽게 탈 수 있도록 출입구에 계단이 없고 경사판이 설치된 버스로 이 역시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뿐만 아니라 넛지 디자인도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넛지 디자인이란 작은 변화를 통해 사람들의 주의를 자연스럽게 끌어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이러한 넛지 개념을 공공디자인 부문에 적용하여 시행하고 있다. 실제 대학교에 오가는 길 횡단보도 앞 옐로카펫과 노란발자국 등을 통해 넛지 디자인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옐로카펫과 노란발자국을 횡단보도 앞에 표시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신호대기 중 자연스럽게 머물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된 사례이다.
대학교의 강의실을 향하다 보면 칼로리 계단을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넛지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계단을 올라갈 때마다 칼로리 소모량이 적혀 있으며, 환경을 살리자는 문구 또한 적혀 있기에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계단 이용을 유도한다. 을지로의 피아노 계단도 이와 비슷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소리가 나는 피아노 계단은 지루한 이동시간에 재미를 더한다. 이는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의 혼잡을 방지하고 시민들에게 자연스러운 일상 속 운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공공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올해부터 산업통상자원부는 ‘온도주의 캠페인’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온도계 그림 상단에 냉방 26도, 하단에 난방 20도를 표기한 ‘거꾸로 온도계’ 픽토그램을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이상적인 실내 온도를 각인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겠다는 취지이다.
디자인 속 작은 배려가 모두를 웃게 하기도 하고, 정말 사소해 보이는 몇몇 디자인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하기도 한다. 우리의 일상 속에는 국민 모두를 위한 디자인,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이 많은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올 여름, 세상을 이롭게 하는 공공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해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성하 shungha031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