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LH 기숙사형 청년주택 …청약 신청부터 거주 후기까지

2024.08.02 정책기자단 김경은
글자크기 설정
목록


external_image

기숙사형 청년주택 관련 안내포스터.(출처=한국토지주택공사(LH) 누리집)

최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세 사기 등 부동산 관련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자취방을 어떻게 구할 것인지 막막함을 느끼는 청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사에서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구하는 청년들을 위한 주거 정책 중 하나로, 임대료 부담이 적고 쾌적한 환경의 자취방을 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던 ‘LH 기숙사형 청년주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기숙사형 청년주택이란, 대학 기숙사 부족 해소를 위해 LH에서 매입한 주택을 대학생 및 대학원생 등 청년들을 대상으로 시중시세 40%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하는 주택을 의미한다. 모집공고 발표 – 신청접수 – 서류심사 대상자발표 – 서류제출 - 예비입주자 순번발표의 절차를 거친 후, 주택개방 시기에 최종적으로 희망하는 주택을 골라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입주 이후 4회 재계약을 통해 최장 10년 동안 기숙사형 청년주택에 거주할 수 있다. 또한,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한 ‘전환보증금 신청’ 기능으로, 입주 후에도 개인의 상황에 알맞게 월세와 보증금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으로 대학생 및 대학원생 또는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3순위에 한함)이면서, 아래 사진의 순위에 해당된다면 누구나 LH청약플러스 누리집(https://apply.lh.or.kr/lhapply/main.do)을 통해 신청접수 기간에 청약 신청을 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기숙사형 청년주택 입주자격 안내.(출처=LH청약플러스 누리집)


기숙사형 청년주택에 1년간 거주해본 결과 이전보다 한 달 임대료를 20만 원가량 절약할 수 있었으며, 대학가에 인접해있어 교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무인택배보관함 등 입주민 편의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고, 외부인 출입 제한을 위한 경비실이 구축되어 있어 일반 주택들에 비해 안전하다는 점에서 매우 만족스러웠다. 이러한 측면에서 임대료 부담과 전세사기 문제로 불안을 겪는 청년들에게 기숙사형 청년주택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매년 기숙사형 청년주택을 포함한 청년매입임대, 행복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청년주택 공고가 LH 누리집에 발표되고 있으니, 보다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혜택을 누릴 수 있길 바라본다. 


external_image

기숙사형 청년주택 내부 사진.(출처=LH청약플러스 누리집)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경은 kkeunny00@naver.com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우리의 전통 맛, 멋, 흥에 심취해보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