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장 친한 동기가 입대하게 되었습니다.
입대를 앞두고 군 복무 기간 무엇을 해야 할지, 전역 후에는 어떻게 진로를 준비해야 할지,
미래에 대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하는데
장병내일준비적금과 매칭지원금에 대해 알게 되고 마냥 부정적이었던 군 생활에 조금이나마 희망을 가졌다고 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병역의무 이행 기간 중 급여를 적립함으로써 합리적인 저축습관 형성을 돕고,
전역 후 목돈마련을 지원하여 사회로 진출하는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딜 수 있는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적금제도입니다.
병역의무 이행자가 전역(소집해제)으로 적금 만기 해지 시 지원금을 지원해 줍니다.
23년까지는 적금 원리금(원금+은행이자(5%)+국가지원이자(1%)에 추가하여 원리금의 연도별 매칭비율(22년 33%, 23년 71%)에 해당하는 매칭지원금을 지원해 주었으며,
24년부터는 적금 납입금의 은행이자(5%)에 추가하여 원금의 100%에 해당하는 매칭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 한도는 24년(기존) 40만 원에서 올해부터 55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png)
"매칭지원금보고 군생활한다."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한 기사를 작성한다고 하니 현재 군복무 중인 친구가 제게 해준 말입니다.
해군으로 복무 중인 제 친구는 며칠 전 군 생활의 절반을 마무리했습니다.
함께 복무하는 분들과 자주 장병내일준비적금의 매칭지원금에 대해 이야기하며 제대 이후 무엇을 할지 전역 후의 미래를 그려본다고 합니다.
군 적금이 있다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저와는 관련이 없는 일이었다 보니 자세한 내용은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군 적금에 대해 알아보며 상당히 좋은 정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현재 군 복무 중인 여러 친구에게 물어보니 정말 모든 친구가 장병내일준비적금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현재 복무 중인 지인에게 인터뷰를 요청해 보았습니다.
Q.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시기가 언제인가요? 현재 함께 복무 중인 분들은 대다수 해당 적금에 가입하고 계신가요?
A. 입대 2주 차에, 훈련소에서 휴대폰으로 가입하였습니다. 주변에 가입을 안 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실제로, 훈련소에서 각 은행이 가입 권유를 위해 방문하기도 하였습니다. 저는 입대 직전 하나의 계좌를 개설하였는데 훈련소에서 인당 2개의 계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훈련소에 방문한 타 은행에서 계좌를 하나 더 만들었습니다.
Q. 가입 과정에서 불편했던 점이나 개선이 필요한 점이 있었나요?
A. 훈련소에서 촉박한 시간에 해결해야 해서 살짝 불편했습니다. 개설 창이 약간 숨겨져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시간이 조금 소요되었습니다. 처음 적금 들었을 때, 적금 통장에 미리 돈을 넣어야 하는지 말아야하는지 헷갈렸었는데, 적금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안내 책자에 포함해 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Q.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전과 후, 돈을 관리하는 습관에 변화가 있었나요?
A. 적금은 처음 들었는데, 월급에서 차감시킨 후에 통장으로 들어오니까 월별 지출 계획을 세울 때, 적금으로 빠지는 금액을 먼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미리 예상하고 지출 계획을 세우니 자동으로 절약하는 습관이 생겼고 월급에서 적금으로 자동으로 돈이 빠져나가니 돈을 간편하게 모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Q. 군 생활 중 예상치 못한 지출 때문에 적금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A. 외출 나갈 때 생각보다 지출이 너무 많이 생겨서 유지하는데 어려울 뻔했는데, 그냥 돈을 안 쓰는 방향으로 극복했습니다. 저는 해군이라 배를 6개월 간 탔었어서 돈 관리가 좀 더 수월했던 것 같습니다.
Q. 25년에 납입 한도가 상향되었는데 알고 계신가요? (25년 기준 납입 한도가 1인 2계좌, 계좌별 월 최대 30만원, 개인별 최대 월 55만원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해당 납입 한도 금액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A. 동기들과 전역 후 매칭지원금 포함 얼마 받는지에 대해 얘기나누며 납입 한도금액이 상향된 것이 상당히 좋은 것 같다는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군대에 있어서 외출 나가는 것이 아니라면 지출이 많지 않은데, 월급과 비례해서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Q. 현재 이율이나 정부 지원 혜택 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장병내일준비적금이 현재보다 더 효과적인 정책이 되려면 어떤 점이 개선되었으면 하나요?
A. 매우 만족합니다. 40만 원씩 적금을 들고 있다가 연초에 55만 원 적금으로 변경하였는데, 높아진 장병 월급에 맞게 납입 한도도 상향되어 좋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적금에 대한 정보를 안내 책자에 조금 더 자세하게 적어주셨으면 처음 가입할 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처음 적금을 시작할 때 정보 부족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Q. 주변에 장병내일준비적금을 추천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추천 또는 비추천의 이유를 말씀해 주세요.
A.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달에 55만 원을 내면 전역할 때 매칭지원금이 100%가 들어오는데 가입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정말 좋은 정책인 것 같고 대다수의 국군장병들도 애용 중입니다. 특히 저는 매칭지원금을 바라보며 남은 군 생활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매칭지원금을 생각하며, 힘든 군 생활을 버틸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높은 이율과 매칭지원금으로 우리나라를 위해 복무하는 청년들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위해 국방부, 법무부, 병무청 등 여러 복무기관이 마련한 대표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가입 대상은 국방부(현역, 상근예비역), 법무부(대체복무요원), 병무청(사회복무요원)으로 병 급여 및 복무관리 체계를 적용받는 자로 한정합니다.
최소 1개월 이상 최대 24개월 간 가입할 수 있으며, 잔여 복무기간이 1개월 이상 남은 자에 한하여 내일준비적금 신규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번 2025년부터는 납입 한도가 상향되었다고 합니다.
계좌별 월 20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개인별 최대 월 40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납입 한도가 상향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군인의 월급은 이병 75만 원, 일병 90만 원, 상병 120만 원, 병장 150만 원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만기 시, 5% 수준의 이자와 함께 원금의 100%가 매칭지원금으로 함께 나옵니다. 이자소득까지 비과세니, 상당한 혜택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매칭지원금은 2024년부터 100%가 되었는데, 매칭지원금도 낮았고 납입한도도 높지 않았던 때인 2022년 전역한 사촌오빠는 생각보다 큰 금액을 모으지 못하고 나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복무 중인 장병들의 경우 전역할 때 2,000만 원 가까이 되는 목돈을 마련하여 나올 수 있습니다.
월급과 매칭지원금 상승 등 장병들을 위한 대우가 점차 좋아지고 있는 듯합니다.

위와 같이 약 5% 수준의 은행 이자가 비과세로 들어오며,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추가 우대금리 3%가 2개 은행(IBK기업은행, 국민은행)에서 제공됩니다.
2025년 1월 2일부터 적금 납입한도 상향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납입한도 상향 신청은 개인별 적금 은행어플을 활용하며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5만 원 단위로만 납입한도 상향이 가능하며, 복무 중 1회만 변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나라를 위해 젊은 시절을 바쳐 군 복무를 하는 청년들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정책입니다.
나라를 위해 복무하는 청년들에게 매칭지원금을 통해 군 생활에서의 희망과 보람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한도 상향 신청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하루빨리 납입 한도 상향 신청을 통해 전역 시 최대의 매칭지원금을 받아가실 수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방부 (https://www.mnd.go.kr/mbshome/mbs/mnd/index.jsp)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시간절약에 생활권까지 넓혀준 GTX-A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