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7월 3일은 세계 비닐봉지 없는 날 #용기내 챌린지 참여해볼까요?

전 세계에서 매년 생산되는 플라스틱 약 3억 7천만 톤
일회용품 사용 줄이고자 자발적으로 시작된 #용기내 챌린지

2025.07.03 정책기자단 한지민
글자크기 설정
목록

날이 무덥다.

집에서 무언가를 요리해 먹는다고 상상만 해도 더 더워지는 듯한 요즘이다.

그 덕분에 단골 가게에서 음식을 포장해 와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하는 날이 많아졌다.

쌓여가는 플라스틱 일회용 용기와 더불어 포장용 비닐봉지까지, 쌓여만 가는 일회용품에 내가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된 것만 같은 날도 덩달아 늘어났다.

그러던 중에 단골 가게 벽 한편에 붙어 있는 친환경 챌린지 홍보 포스터를 한 장 보았다.

포장 주문 시 일회용 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용기내 캠페인에 참여하면 전 메뉴 할인 쿠폰을 지급해 준다는 내용이었다.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할인을 해 준다거나, 쿠폰을 지급해 주는 #용기내 캠페인을 진행하는 가게들은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꽤 많다.

#용기내 캠페인을 소개하는 홍보물.
망원시장에 있는 #용기내 캠페인을 소개하는 홍보물.

우리가 자주 가는 프렌차이즈 카페의 카운터를 유심히 살펴보면, 텀블러를 사용하면 음료 할인 등의 멘트를 확인할 수 있다.

카페에 갔더니 텀블러를 사용하면 음료를 할인해 준다는 안내를 볼 수 있었다.
카페에 갔더니 텀블러를 사용하면 음료를 할인해 준다는 안내를 볼 수 있었다.

여기서 잠깐 #용기내 캠페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사람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시작된 챌린지 중 하나로, 마음을 내미는 '용기'와 음식을 담는 그릇인 '용기'의 두 가지 의미를 챌린지 이름에 동시에 담고 있다.

즉, 물건 구매나 음식 포장 시 다회용기 사용을 장려하는 것으로, 환경 보호의 의미를 다지자는 의미를 담아 시작된 챌린지이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제로웨이스트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용기에 식자재나 음식을 포장해 온 뒤, SNS에 사진과 함께 #용기내챌린지, #용기내캠페인 등의 해시태그를 달아 게시하면 참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먹고 남은 음식을 그냥 버리지 않고 내가 가지고 온 다회용기에 포장해 간다면, 환경 오염을 줄이는 일석이조의 행동을 하게 되는 셈이다.

나는 카페에 가면 주로 텀블러를 내미는 식으로 용기를 내고 있다.
나는 카페에 가면 주로 텀블러를 내미는 식으로 용기를 내고 있다.

만약 외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가게에서 다회용기에 음식을 담아달라고 말하기가 조금 어려운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 #용기내 캠페인에 참여할 수 없는 걸까?

결론은 아니다.

용기내 캠페인은 우리가 채소, 과일, 생선 등을 구매할 때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천으로 된 장바구니 등을 이용하는 것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곳곳에서 #용기내 챌린지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물을 볼 수 있었다.
곳곳에서 #용기내 챌린지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물을 볼 수 있었다. 용기뿐만 아니라 장바구니 사용 역시 '용기' 내는 행위다!

장바구니 사용에서부터 점점 '용기'가 생긴다면 식당 음식을 다회용기에 포장해 보는 실천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카페, 음식점, 시장에 가서 원하는 메뉴나 물건을 최대한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매하는 것이니까.

나 역시도 #용기내 챌린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부터는 가방에 텀블러 하나, 작은 다회용기 하나를 챙겨 다니고 있다.

자주 가는 김밥집에서도 '용기'를 내봤다! 다회용기에 음식을 포장해 올 수 있었다.
자주 가는 김밥집에서도 '용기'를 내봤다! 다회용기에 음식을 포장해 올 수 있었다.

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주문할 때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 대신 나의 텀블러를, 샌드위치를 포장할 때도 비닐백 대신 다회용기를 내미니 플라스틱 사용량을 확실히 줄일 수 있어서 스스로 많이 뿌듯해졌다.

처음부터 용기를 내미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지만, 꾸준히 실천한다면 환경 오염에 대한 걱정도 많이 덜어낼 수 있을 것 같아 앞으로도 열심히 용기를 내밀 생각이다.

우리 집 찬장을 차지하고 있던 텀블러를 환경 보호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우리 집 찬장을 차지하고 있던 텀블러를 환경 보호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용기내 캠페인에 참여할 때 미리 챙겨두면 좋을 꿀팁도 몇 가지가 있다.

1) 먼저 음식 크기에 맞는 용기를 챙겨야 한다.

음식의 양에 비해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용기를 내민다면 포장 과정에서 당황할 수도 있으니 매장 구매평을 통해 음식 크기를 미리 확인해 보는 게 좋겠다.

2) 뜨거운 음식을 구매할 예정이라면 일반 용기 대신 내열 용기를 챙겨가야 한다.

음식을 담았는데 용기가 변형되는 일이 있다면 그것 역시 당황스러운 일일 것이다.

3) 마지막으로 가게 사정이나 음식 종류에 따라 다회용기 포장이 어려울 수도 있다.

미리 다회용기에도 음식을 포장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게 좋겠다.

그렇다고 해서 #용기내 캠페인에 참여하기 위해 다회용기를 새로 구입하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가 될 수 있다.

이미 가지고 있고, 멀쩡하게 잘 사용하던 다회용기를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현재 사용하는 제품이 더 이상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친환경 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마침, 7월 3일은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이라고 한다.

7월 3일은 비닐봉투 없는 지구! (출처: 환경부)
7월 3일은 비닐봉투 없는 지구! (출처: 환경부)

2008년, 스페인의 국제환경단체 '가이아'가 제안해 만들어진 날로, 매년 미국, 프랑스 등 외국 시민 단체가 동참하여 함께 친환경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2024년, UNEP의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생산되는 플라스틱은 약 3억 7천만 톤에 이른다고 한다.

이 숫자만 해도 기함할 지경인데, 이 중 약 79%가 쓰레기로 전락해 토양과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고 한다.

그 기록을 보니 우리 일상에서 플라스틱이나 비닐봉지 사용을 꼭 줄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부에서는 2023년부터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을 위한 법적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30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50%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한다.

뉴스를 보거나,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올해가 가장 시원한 여름"이라는 말을 종종 하는데, 그때마다 마음 한구석이 아프게 느껴지기도 한다.

환경 오염이 심각해질 때마다 계절의 구분 없이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가 생각난다.

그래도 가장 늦었을 때라고 여겼을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도 있듯,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을 맞이하여 오늘부터 우리 함께 #용기내 캠페인에 참여해 보는 것도 좋은 시도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우리 함께 용기 내볼까?

한지민
정책기자단|한지민
hanrosa2@naver.com
섬세한 시선과 꼼꼼한 서술로 세상의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청년이 여는 지방자치의 내일, 지방자치 청년 정책 경진대회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