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향응 제공 업체에 취업…비위공직자 불법 재취업 적발

권익위, 5명 전원 고발 조치

2017.10.12 국민권익위원회
목록

금품·향응수수 등 비위행위로 면직된 공무원 5명이 불법으로 재취업했다가 적발됐다. 심지어 향응을 제공한 업체에 재취업한 경우도 있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비위면직자 취업제한 실태점검을 통해 적발된 이들 전직 공무원 5명에 대해 퇴직 전 소속됐던 기관이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고발하도록 요구했다고 12일 밝혔다.

권익위는 올해 상반기 최근 5년간 부패행위로 면직된 전직 공직자 1751명을 대상으로 취업현황을 점검했다.

부패방지권익위법은 재직 중 직무와 관련된 부패행위로 당연퇴직, 파면·해임된 공직자에 대해 퇴직 전 5년간 소속했던 부서 또는 기관 관련 업체나 부패행위와 직접 관련이 있는 업체에 5년간 취업을 금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9월 부패방지권익위법 개정으로 벌금 300만원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공직자도 취업제한 대상에 포함하는 동시에 재취업 업체의 규모 규정을 삭제해 적용 범위도 확대했다.

이번에 적발된 5명 중 3명은 법 개정에 따라 적발된 경우라고 권익위는 설명했다.

사례를 살펴보면 OO부 소속이던 A씨는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 점검반원으로서 점검 편의를 봐달라는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 2013년 2월 당연퇴직된 후 퇴직 전 소속 부서가 감리용역을 수행한 업체에 취업했다.

OO군 소속이던 B씨는 태풍 피해를 입은 것처럼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후 군 예산으로 석축공사를 해 2016년 11월 당연퇴직됐으며 그 후 퇴직 전 소속 부서와 물품 납품 계약을 체결한 업체에 취업했다.

OO연구원 소속이던 C씨는 직무관련업체와 계약업무를 수행하면서 특혜를 제공하고 금품 등을 수수해 2016년 12월 해임된 후 퇴직 전 소속 부서와 물품 납부 계약을 체결한 업체에 취업했다.

OO부 소속이던 D씨는 직무관련자로부터 금품을 수수, 2016년 12월 파면된 후 퇴직 전 소속 부서의 감독을 받는 업체에 취업했다.

OO시 소속이던 E씨는 직무관련업체로부터 금품·향응을 수수, 2016년 12월 해임된 후 본인에게 골프 향응을 제공한 해당 업체에 취업했다.

권익위는 5명 가운데 현재까지 재직 중인 A씨와 C씨 2명에 대해서는 업체에 취업해제도 요구했다.

한편 비위행위에 따른 면직자는 2012년 408명, 2013년 321명, 2014년 390명, 2015년 320명, 2016년 312명 등 최근 5년간 총 1751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1175명은 금품·향응수수, 349명은 공금횡령·유용 등의 비위로 면직당했다.

문의: 국민권익위원회 심사기획과 44-200-7696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