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돼지열병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혀 다른 질병… 전파양상 차이 있어

2019.07.19 환경부
목록

환경부는 “돼지열병은 아프리카돼지열병과는 전혀 다른 질병이며 북한으로부터 바이러스가 넘어왔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아프리카돼지열병과 농작물 피해 등에 대응하기 위해 멧돼지 포획을 강화하고 있으며, 다만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지를 위한 대대적 멧돼지 개체수 저감은 타당성과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말했습니다.

7월 19일 세계일보 <휴전선 멧돼지 돼지열병 검출 두 배 증가…정부, 방역 비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① 돼지열병(CSF)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전파 양상이 유사하며, 특히 일부 돼지열병바이러스(CSFV)는 북한에서 넘어온 것으로 추정됨

②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의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정부는 구체적 수렵 목표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됨

[환경부 설명]

①에 대하여

돼지열병(CSF, 과거명칭 : 돼지콜레라)은 아프리카 돼지열병(ASF)과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 질병이며 전파양상도 차이가 있음(CSF: Pestivirus(RNA 바이러스) / ASF: Asfarvirus(DNA바이러스))

최근 경기북부, 강원지역 야생멧돼지로부터 검출된 바이러스는 유전자  분석 결과* 해당지역 멧돼지 간 순환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북한에서 넘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없음
 * 최근 검출된 바이러스는 ‘11년 경기북부지역 멧돼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와 상동성이 높음
 ※ 우리나라에 돼지열병(CSF)은 남북분단 전인 1947년부터 발생하였음
 
환경부에서는 멧돼지의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대응과 함께 돼지열병(CSF)의 감시도 강화하고 있음

②에 대하여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가능성을 줄이고 농작물 피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멧돼지에 대한 포획을 강화하여 시행 중

접경지역 14개 시·군과 전국 양돈농가 주변 지역에 대해 질병 예방 목적의 멧돼지 사전 포획 조치를 실시

그 결과 접경지역의 멧돼지 포획량이 조치 이전 대비 1.5배 증가함

그러나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비하기 위해 멧돼지 개체수를 대대적으로 감축(1/3수준 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타당성과 현실성이 떨어짐

멧돼지로부터 사육돼지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된 사례가 미미함
(러시아의 경우 1.4%, 그 외 유럽·아시아의 경우 확인된 바 없음)
 
멧돼지 개체수 저감을 위해 대대적 사냥에 나설 경우 멧돼지의 이동성이 증가해 바이러스 확산에 기여하게 됨(러시아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실패 요인으로 지목)

멧돼지는 번식력이 강하고 위협을 받을 경우 출산을 확대(연 1회 출산 → 2회 출산)하므로 개체수 저감이 쉽지 않음(유럽의 경우 멧돼지 개체수 조절 성공사례 없음)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을 위해서는 멧돼지와 사육돼지 간 접촉 가능성 차단이 중요하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멧돼지 관리에 대한 별도의 권고사항이 없는 실정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시 피해의 심각성과 유해야생동물로서 농작물 피해도 큰 점을 고려하여 시·군 포획단의 규모를 늘리는 등 멧돼지 포획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음

문의: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044-201-7286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