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인터뷰]불공정(不公正)거래만 덤핑규제 요구

1995.03.27 국정신문
글자크기 설정
목록

한미 경협(經協) 실무회의 참석
김 용(金 湧)  <공정위(委) 정책국장>


“지금의 상황은 세계무역에 있어서 국가간의 어떠한 경계나 장벽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경제질서 속에서 국경에 따른 장치는 이미 걷혀졌다는 것이지요. 이젠 국내시장에서 경쟁을 그르치는 관행을 없애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모든 나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경쟁정책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기도 합니다. WTO 출범이후 환경, 노동, 기술 라운드 등과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경쟁정책라운드가 그것입니다. 이러한 때에 공정거래법 등 국내의 제도, 법규를 국제수준에 맞도록 정비해야 할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봅니다.”

지난 13일, 한미(韓美)간의 규제완화와 경제협력방안 등을 논의하는 경제협력대화기구(DEC)의 제3차 경쟁정책분야 실무작업반회의에 우리측 수석대표로 참석하고 돌아온 공정거래위원회 김용(金湧) 정책국장은 “이번 회의가 ‘국제계약 신고제도 개선’ 등 중점의제의 심도있는 논의를 통해 두나라 사이의 상호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의 회의과정에서 상품원가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국내가격에 비해 수출가격이 낮을 경우 무조건 덤핑으로 묶는 미국의 덤핑규제를 문제삼아 미국측의 공감대를 이끌어낸 것은 큰 수확이라는 설명이다. 경쟁회사를 쓰러뜨리기 위한 덤핑행위같은 이른바 불공정거래행위에만 적용하도록 한 것.

金국장은 “흔히 ‘입찰담합’으로 알려져 있는 카르텔의 과징금을 선진국과 같은 수준인 5~6%선까지 인상하기로 한 우리의 입장을 명백히 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DEC실무작업반회의와 관련, ‘WTO체제 안에서 급기야 경쟁정책분야에서까지도 미국(美國)의 압력을 받게 된 것이 아니냐’는 일부의 우려 섞인 지적에 대해서도 언급, “그러한 판단은 기구의 성격을 잘못 이해한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잘라 말하고 “DEC는 WTO가 출범하기 전인 93년 7월에 설치 합의됐으며 여기에선 일방적 압력이나 협상차원이 아니라 정책 및 제도개선 등 현안에 대한 의견들이 교환된다”고 밝혔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