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입법 완료시 현장 애로 상당부분 해소 예상

2020.05.15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노사정이 합의한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3→6개월)에 대한 입법이 완료되면 주 52시간제로 인한 현장의 애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5월 15일 한국경제 <코로나 극복까지 발목잡는 주 52시간>에 대한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5.15.(금) 한국경제는「코로나 극복까지 발목잡는 주52시간」관련 기사에서,

ㅇ “경직된 주 52시간제가 코로나19 충격 회복에 안간힘을 쓰는 산업 현장에 걸림돌...주 52시간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라고 보도

[기재부·고용부 입장]

□정부는 주52시간제 현장 안착을 위해 형사처벌보다는 충분한 시정기간을 통해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는 계도기간을 운영하고 있음

*’18.7월부터 주 52시간제를 적용받은 300인 이상 사업장은 ‘19.12.31.까지(1년 6개월), 올해 1월부터 적용받는 50~299인 미만 사업장는 ‘20.12.31.까지(1년) 계도기간을 운영

□ 또한, 단위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탄력근로제 개선안 입법이 국회에서 지연됨에 따라

ㅇ산업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하여 ’20.1.31. 근로기준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특별연장근로 인가사유를 확대*하였음

*기존에는 자연재해, 재난, 이에 준하는 사고의 수습에 한해 제한적으로 인정하였으나 ①재난 또는 이에 준하는 사고의 수습 및 예방 ②인명 보호 또는 안전 확보 ③갑작스런 시설·장비의 장애·고장 등 돌발적 상황의 수습 ④업무량 대폭적 증가 ⑤소재·부품의 연구개발 등 고용노동부장관이 국가경쟁력 강화 및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연구개발로 인가사유 확대

ㅇ인가사유 확대 이후 코로나19 대응 등을 위해 다수의 기업이 특별연장근로 인가를 신청하고 있으며, 정부는 신청이 접수되면 최대한 신속히 인가하고 있음

*‘20.1.31.부터 5.14.까지 1,311건 인가(이 중 코로나 관련은 1,026건) ①방역·검역·치료 등 455건 ②마스크·손소독제·보호자구 등 생산 90건 ③중국공장 가동중단 등으로 국내생산 증가 53건 ④사업장 내 방역,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자금지원 등 기타 428건 등

□ 지난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노사정이 합의한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3→6개월)에 대한 입법이 완료되면 주 52시간제로 인한 현장의 애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됨

ㅇ정부도 탄력근로제 보완 입법이 신속히 완료되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임

문의 : 기획재정부 일자리경제정책과(044-215-8533), 고용노동부 임금근로시간과(044-202-7543)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수급권 박탈되지 않게…제도시행 전까지 필요한 조치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