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산업부 “공동 활용장비 관리 강화해 활용도 더 높이겠다”

2023.08.21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공동활용장비 관리를 강화해 활용도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8월 21일 매일경제<5300억 예산 쓴 연구장비, 2년 놀렸다>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8.21.(월) 매일경제 「5300억 예산 쓴 연구장비, 2년 놀렸다」에서는 공동활용 연구장비 1만 6748점 중 20%인 3446점의 '21년·'22년 가동실적이 없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산업부 입장]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R&D 예산을 지원받은 대학 등 비영리기관이 취득한 장비를 과제 종료 후 연구시설장비 관리시스템에 공동활용장비로 등록하게 하고, 그 정보를 공개해 기업 등이 활용토록 하고 있습니다.

* 연구시설장비 관리시스템 : www.itube.or.kr

'23.8월 현재 비영리기관이 연구시설장비 관리시스템에 등록한 공동활용 장비는 총 1만 6748점입니다.

□ 기사에서 지적한 가동실적이 없거나 낮은 장비는 대부분 취득한지 10~40년 된 노후 장비로서, 빠른 기술발전 속도로 인해 수요가 감소한 것이 주된 원인이며 이를 예산 낭비 사례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가동실적 없는 장비 취득시기 : ['09~'13] 1,142 ['04~'08] 1,808 ['03이전] 496

또한 취득 후 10년 이상이 지나 비영리기관이 장비를 보유 중인지, 가동이 가능한 상태인지, 가동 실적이 있는지 등의 정보를 연구시설장비 관리시스템에 현행화하지 않은 사례도 일부 있습니다.

□ 산업부와 장비관리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공동활용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비영리기관이 보유 중이고 가동이 가능한 장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장비를 등록한 비영리기관 대상으로 연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장비 보유 및 가동 여부에 관한 정보를 현행화하겠습니다. 

또한 규정*에 따라 비영리기관이 가동불능 장비는 재활용하거나 폐기하고, 내부 활용 수요가 없는 장비는 실수요 기업·연구기관 등에 처분하도록 독려하겠습니다.

* 국가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과기부),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요령(산업부)

앞으로 비영리기관이 장비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보유 중인 장비 가동률을 높이는 노력을 하도록 유인 체계도 강구하겠습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044-203-451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5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위 최종 보고서 확정 후 공개 예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