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공정위 “하도급 조정제도 유명무실 주장, 사실과 달라”

2024.01.08 공정거래위원회
목록

공정거래위원회는 “하도급대금 조정협의제도에 대한 인지도· 신청률이 상승하고 조정에 대한 수용비율이 75% 이상이므로 조정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1월 7일 연합뉴스<“유명무실한 하도급대금 조정 제도...수급사업자 활용률 8% 그쳐” >, 데일리안<“납품단가조정 협의제도 ‘유명무실’...활용 중소기업 100곳 中“ 9곳뿐”>, SBS<“하도급대금 조정제도 활용 ‘8%’뿐...저조한 이용률 보여”>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설명입니다

[공정위 입장]

하도급대금 조정협의제도는 수급사업자가 공급원가 등이 변동하는 경우 원사업자에게 하도급대금 조정을 요청할 수 있고 당사자간 협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대금을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하도급대금 조정제도를 알고 있다고 답변한 수급사업자 비율* 및 하도급대금 조정 신청비율**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하도급대금을 인상해달라는 조정요청에 대하여 인상 요청금액의 50% 이상을 수용한 비율이 원사업자의 경우는 91.7%, 수급사업자의 경우는 75.8%에 달하는 등 하도급대금 조정제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실제 대금을 조정해 주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서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또한 수급사업자가 하도급대금 조정요청을 하지 않은 이유로서‘공급원가 상승 폭이 크지 않아서(17.0%)’ 또는‘다음 계약에 반영하기로 합의해서(9.9%)’라고 응답한 경우도 상당 수 존재합니다. 

* 하도급대금 조정제도 인지도: 전년도 59.1% → 금년도 64%

** 하도급대금 조정 신청현황: (원사업자) 전년도 18.3% → 금년도 26.1%, (수급사업자) 전년도 6.8% → 금년도 8.6%

다만 여전히 거래상 지위가 열악하여 조정제도를 알고도 이용하지 못하는 수급사업자의 협상력을 보강하는 한편 조정제도의 신청대상을 확대하여 제도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작년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하도급법’)과 시행령을 개정한 바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조정협의제도의 신청요건*과 절차요건**을 완화하여 공급원가의 변동폭과 관계없이 변동되기만 하면 조정신청을 할 수 있고 거래상지위가 열악한 수급사업자를 대신하여 중소기업중앙회 또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총회나 이사회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조정협의에 응할 수 있게 되어 향후 제도가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3.7.18. 하도급법 개정을 통해 공급원가가 일정 수준 이상 변동되어야만 대행협상을 신청할 수 있었던 요건을 변동폭에 관계없이 공급원가가 변동되기만 하면 신청할 수 있도록 완화함

** `23.9.26. 하도급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조합원인 수급사업자를 대신하여 원사업자와 하도급대금 조정 협의시 거쳐야 하는 총회 및 이사회 의결 절차를 삭제

아울러 원-수급사업자간 자율적인 하도급대금 조정협의제도와 별도로 지난해 10월부터 시행중인 하도급대금 연동제를 통해 하도급대금에서 10% 이상 차지하는 주요 원재료에 대해서는 연동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등 원재료 상승분에 대한 원-수급사업자간 비용분담이 의무화되었음을 알려드리오니 관련 보도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공정거래위원회 기업협력정책관 기업거래정책과(044-200-4956)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행안부 “한파쉼터 내실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최선”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