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김건희 여사, 암스테르담 동물보호재단 방문 관련 김수경 대변인 서면 브리핑

2023.12.13 대통령실
목록

김건희 여사는 어제(12. 12, 화, 현지시간) 오후 암스테르담 동물보호재단을 방문해 동물보호 단체 관계자 등과 대화를 나누고 시설을 둘러봤습니다.

암스테르담 동물보호재단, 로열반려견보호협회, 암스테르담 동물경찰* 등은 동물 구조 및 보호, 동물권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동물경찰관은 “동물 학대는 사람에 대한 범죄행위로 이어지기도 한다”며 동물권 관련 교육과 인식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김 여사는 지난 7월 제인 구달 박사와의 만남에서 “동물도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교감하는 존재”이며 “반려견에 대한 잔인한 학대가 다른 동물과 인간의 존엄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고 발언한 것과 일맥상통한다며 적극 공감을 표했습니다.

* 동물경찰 : 네덜란드에 2011년 신설된 제도로, 국가경찰 중 특별훈련을 거쳐 임명된 동물경찰은 동물 학대, 방치, 각종 사고 및 불법 거래 등을 전담

김 여사는 “네덜란드는 강력한 동물보호 정책으로 유기견 없는 나라를 만들었다고 들었다”면서 100년이 넘는 노력을 통해 ‘동물복지 선진국’을 일군 이들을 격려하고, 네덜란드의 선진 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이 동물권 증진을 위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한 참석자가 한국의 동물권 관련 인식을 문의한 데 대해, 김 여사는 “한국에서도 동물보호와 동물권 증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면서 “저도 오래 전부터 동물보호 활동에 참여하고 있고 유기견·유기묘 여러 마리를 입양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개 식용 금지는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이라고 소개하며,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가 더욱 확산되고 있는 만큼 “한국 국회의 여야가 함께 개 식용 종식을 위해 발의한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 여사는 암스테르담 동물보호재단의 동물 치료실, 임시 보호견 거주공간과 쉼터를 둘러봤습니다. 이곳에서 김 여사는 감염으로 새끼강아지 여럿을 잃고 살아남은 6마리를 키우고 있는 모견, 주인의 학대와 방치로 부상을 입거나 영양부족에 시달린 개, 번식업자에게 학대당하고 버려진 개 등의 사연을 듣고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김 여사와 참석자들은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가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김 여사는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4월) 및 청주동물원(10월) 방문, 제인 구달 박사와의 만남(7월), 해양 동물 보호 단체·기관 관계자 간담회(10월) 등 동물권 증진을 위한 다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윤석열 대통령, 네덜란드 한국전 참전용사 간담회 참석 관련 김수경 대변인 서면 브리핑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