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아파시(AFACI) 회원국에 가축유전자원 관리 기술 전수

2017.11.20 농촌진흥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네팔·부탄서 DNA 추출법 지도, 과제 진행 방향 논의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11월 8일부터 11월 17일까지 아시아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이하, 아파시(AFACI)) 회원나라인 네팔과 부탄에서 '가축유전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현지지도'를 실시했다.
아파시 사업은 우리나라가 중심이 돼 아시아 지역 14개 나라1)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축산 분야에서는 아시아 지역 가축유전자원의 활용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를 2016년부터 진행 중이다.
농촌진흥청은 가축유전자원 전문가를 네팔(네팔 농업연구센터, 8일~11일)과 부탄(부탄 생물다양성센터, 11일~17일)으로 파견해 두 차례에 걸쳐 현지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에 파견된 연구진은 디엔에이(DNA) 추출 방법을 지도하고 가축유전자원의 추가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주요 가축인 염소의 효율적인 인공수정 연구 방안을 논의했으며, 앞으로 진행할 아파시 과제에 대해 협의했다.
아울러, 지난 6월 아파시 가축유전자원 전문가 국제훈련에서 발표된 9개 나라 12계통 소의 유전적 정보 분석 결과를 공유했다.
생물다양성협약(CBD)과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가축유전자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 나라의 자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서 분자생물학적 특성평가를 위한 지침을 회원국에 제공하고 있지만, 일부 나라는 경제적, 기술적 문제로 기본적인 실험조차 어려워하고 있으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도 경제적 이유로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관련자의 기술적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해마다 현지지도를 실시해 왔으며,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을 찾고 있다.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노희종 농업연구사는 “가축유전자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기에 우리나라의 기술 지도가 각국 관련자의 능력배양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네팔과 부탄의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공동연구 추진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으며 "가축유전자원 아파시 과제가 육종, 번식, 사양 등 각 분야별로 확장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1) 아파시(AFACI) 14개 회원국: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몽골, 네팔, 필리핀,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키르기스스탄, 미얀마, 부탄, 한국

[문의]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장 연성흠, 가축유전자원센터 노희종 063-620-3522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온도 ‘뚝’... 농작물 미리 관리해서 피해 줄여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