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보건복지부, 치의학 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최

2019.02.20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보건복지부, 치의학 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최
- 치의학산업 육성정책 관련 학계·산업계 의견수렴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월 20일(수) 오후 3시, 치의학 산업 분야 학계 전문가와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장, 5개 치과의료기기 기업대표와 만나, 향후 정부가 치의학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에 대하여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간담회는 △국내 치의학산업 현황 및 전망에 대한 발표(발표:서울대조병훈교수), △치의학산업 육성정책 관련 건의사항 논의, △㈜스피덴트 연구소 및 생산시설 시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국내 치의학 산업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분야로, 국가 차원에서 적절히 지원하면 충분히 세계선두권으로 진입할 수 있는 분야이다.
2017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 중 3개*가 치과 의료기기이며,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중 3개**도 치과 의료기기이다.
*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 :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1위, 6,444억 원,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3위, 2,445억 원,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7위, 1,145억 원
**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4위, 1억4000만 $,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8위, 7,600만 $,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10위, 6,300만 $
치과 임플란트와 치과용 CT(컴퓨터단층촬영)의 경우, 국산 브랜드(상표)가 국내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또한 구강질환에 대한 의료수요 및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치의학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개발하여 국민 구강건강증진 및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7년 진료인원에 따른 상병 순위 : (치주질환) 2위, 1,518만 명, (치아우식) 6위, 587만 명
* ‘17년 치과 병의원 요양급여 비용 : 약 3조9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4% 증가
보건복지부 장재원 구강정책과장은 “정부의 치의학산업 육성추진에는 학계 및 산업계 현장의 의견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이번 간담회에서 제기된 학계와 산업계의 정책 건의사항을 정리, 의제화하여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치의학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요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동정)김영춘 해수부 장관,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접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