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북태평양수산위원회 과학위원회 제주에서 열린다

2019.04.22 해양수산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북태평양수산위원회 과학위원회 제주에서 열린다
- 4. 23.~26. 개최, 꽁치 자원평가와 관리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제주에서 ‘북태평양위원회(NPFC*) 제4차 과학위원회’가 개최된다고 밝혔다.


북태평양수산위원회는 북태평양 공해상 수산자원 관리를 위해 2015년 설립된 지역수산관리기구로, 우리나라를 포함 8개국** 회원국으로 있다.
 
* NPFC: North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북태평양수산위원회
** 회원국: 한국, 미국, 캐나다,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바누아투
 
이번 제4차 과학위원회는 취약해양생태계*, 저층어업, 꽁치 분야로 4일간 열린다.


과학위원회가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심해성 산호, 해면 등이 서식하는 곳으로, 인간의 어업활동에 의해 쉽게 파괴될 수 있는 생태계
 
번 회의에서는 각 회원국의 조업현황과 더불어 취약해양생태계 지표종과 보호종 자료를 검토하고, 북태평양 꽁치 자원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그동안 북태평양 꽁치 조업에는 별도의 할당량이 배분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자원량이 감소 추세를 보이자 연안국을 중심으로 조업제한 요구가 제기되면서 올해 3월 회원국 공동으로 자원평가를 시행한 바 있다.
 
김현태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총괄과장은 “우리나라는 최근의 북태평양 해역 꽁치 공동 자원평가에 참여하는 등 북태평양 해역의 수산자원 유지와 보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라며, “이번 과학위원회 회의를 비롯하여, 앞으로도 관련 논의에 적극 참여하여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북태평양수산위원회(NPFC) 개요>
 
 
 
설립 목적 : 북태평양 협약수역의 수산자원(저층어업 및 비참치어종)의 장기적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및 해양생태계 보호
 
협약 채택일 / 발효일 / 기구 설립일 : ‘12.2.12. / ‘15.7.19. / ‘15.9.3.
 
관리어종 : 참치류, 연어 및 명태를 제외한 기타 어종 (빛금눈돔, 북방돗돔, 꽁치, 오징어 등 약 10여개 어종)
 
우리나라 조업현황(‘18년) : 21,205톤(꽁치 20,759톤, 기타 446톤)
 
ㅇ (조업선) : ‘18년 기준 13척(꽁치 봉수망 12척, 저층트롤 1척)
 
분담금(‘19년) : 9,214,813 JPY(약 9,330만원)
 
협약수역 : 북태평양 북위 10도~20도 이북 공해수역(베링공해 및 EEZ 제외)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새만금, 아시아 데이터 센터 허브 꿈꾼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