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5월 가정의 달 맞이 수요 급증 제품 1,236개 안전성조사 실시

글자크기 설정
목록
5월 가정의 달 맞이 수요 급증 제품 1,236개 안전성조사 실시
- 어린이제품 52개, 전기·생활용품 33개 등 총 85개 리콜명령 처분 -
 
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5월 가정의 달 및 봄나들이 계절을 맞이하여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어린이제품 및 전기·생활용품 1,236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실시함
 
< 조사 개요 >
 
 
 
조사근거 : 제품안전기본법에 따라 시중에 유통 중인 제품의 안전기준 적합여부 조사
․조사기간 : ‘19.2~’19.4(약 3개월간)
․조사대상 :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제품 및 전기․생활용품 1,236개
․조사결과 : 리콜명령 85개
․향후조치 : 리콜이행점검(리콜명령․권고 후 2개월)
금번 조사대상은 완구, 유모차, 인라인스케이트 등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20품목 698개와 전기찜질기, 전동킥보드, 고령자용 보행차 등 그간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높은 전기․생활용품 32품목 538개를 선정함
 
2월부터 4월까지 약 3개월간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 등 시중에서 유통 중인 제품을 구매하여 사한 결과, 유해물질 초과, 온도상승 과다, 내구성 미달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85개(7.0%) 제품에 대해서 리콜명령을 하였음
 
< 조사 결과(단위 : 건) >
구분
어린이제품
전기용품
생활용품
안전성조사 건수
698
360
178
1,236
리콜명령 건수
52
27
6
85
조사결과, 안전기준에 부적합하여 리콜명령을 받은 85개 제품의 결함내용은 다음과 같음(전체 업체, 제품 목록과 공표문은 붙임 2,3 참조)
 
어린이제품
 
(완구) 15개 제품에서 기준치보다 최소 1.3배에서 최대 2473.3배(모델명 : DORIS DOLL) 높은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
 
(유모차) 3개 제품은 내구성(불규칙한 표면) 시험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2개 제품은 차양막 부위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최대 207배(모델명 : BS001) 초과 검출
 
* 최근 유모차 리콜비율은 상승 추세 : (`18) 조사 29건, 리콜0건 (`19) 조사 17건, 리콜4건
 
(어린이용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3개 제품의 표면 인조가죽 부위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최대 137~352배(모델명 : NS Combo) 초과 검출
(아동용 섬유제품) 8개 제품에서 단추, 큐빅, 고무장식 등 부속품 부위에서 납, 카드뮴 등 유해물질이 최대 39.6배(모델명 : 72BG04911-1) 초과 검출되었고, 2개 제품은 끼임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코드 및 조임끈 불량
 
전기용품
 
(전기찜질기) 온열벨트, 발열조끼 등 12개 제품에서 온도상승 폭이 기준치 대비 최대 65K(모델명 : SI-2017-1) 초과하는 등 부적합이 확인되어 사용 중 화상이 우려
 
(전기오븐기기) ‘HNZ-QK2000MAF’ 등 에어프라이어를 포함한 4개 제품에서 전원코드 등의 온도상승 폭이 최대 37.9K 초과하는 등 화재 우려
 
생활용품
 
(고령자용 보행차) 2개 제품이 안정성시험에서 기준 기울기 미달로 고령자가 사용 시 넘어짐 등으로 인한 상해 위험으로 부적합
 
- 특히 한 제품(모델명 : BS-301)은 측방 안정성시험에서 0.1°의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
 
(운동용 안전모) 2개 제품이 내관통성, 충격흡수력 부적합 등 내구성 미달로 사용 중 충격 시 머리 부상 가능성이 있음
 
□ 그간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높은 품목 등을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연중 안전성조사를 실시하는 등 관리를 강화한 결과, LED 등기구 및 휴대용 예초기 날 제품 리콜비율이 대폭 감소 추세
 
* LED 등기구 : (`16) 31.1% (`17) 14.5% (`18) 14.4% (`19.5) 12.5%
휴대용 예초기의 날 : (`17) 23.1% (`18) 26..3% (`19.5) 0%
 
이에 따라 국표원은 연중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리콜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제품은 중점관리대상에서 해제하는 한편 리콜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안전성조사를 더욱 강화할 예정임
 
국표원은 금번 리콜명령을 받은 85개 제품의 판매를 원천 차단조치하기 위해 5.1일자로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및 행복드림(www.consumer.go.kr)에 공개하는 한편, 전국 유통매장과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 등록할 계획이며,
 
소비자·시민단체와 리콜정보 공유 및 SNS 등을 통한 홍보강화 등을 통해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임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02-1833-4010)으로 신고해 줄 것과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제조․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을 당부함
 
한편, 경미한 사항(표시사항 등)을 위반한 266개 제품에 대해서는 개선조치 권고를 하여 처분 이후 사업자가 개선된 제품을 판매하도록 하였음
 
또한 국표원은 ‘19년도 안전성조사 계획에 따라 피서․물놀이용품 등 여름철 수요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제3차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여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 초에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임
 
ㅇ 주요 조사품목
분야
조사대상
주요 시험항목
어린이제품
물놀이기구, 수영복, 완구, 어린이 장신구
납, 카드뮴 등 유해물질 함유량
구명복 부력 등 물리적 안전성
전기용품
ㅇ 선풍기, 냉방기기
ㅇ 온도상승, 감전보호 등
생활용품
공기주입 물놀이기구, 스포츠용 구명복 등
ㅇ 서랍장 전도, 구명복 부력 등 물리적 안전성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외교부「물 산업 해외진출 지원 기업간담회」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