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벤처와 스타트업이 혁신의 주역이 되도록 추경예산안 3.7조원 편성
□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 기업 육성, 소상공인·중소기업의 디지털화, 그린 분야 선도기업 육성을 위해 0.7조원 반영
□ 지역경제의 조기 극복과 골목상권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소비기반 확충 및 정책자금 등 3.0조원 편성
2020.06.03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고용시장 충격의 본격화 등 우려에 따라 “경제위기 조기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대비 2020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하기로 하였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2020년 제3회 추경예산안을 1차 추경예산안(3.1조원) 보다 0.6조원 늘어난 3.7조원*으로 편성하고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 ‘20년 예산 추이 : (본예산) 13.4조원→(1차 추경) 3.1조원→(2차 추경) △541억원
중기부는 2020년 제3회 추경예산안을 만들면서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이 주력이 되어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으로의 도약할 수 있도록 중점 투자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또한 어려워진 소상공인․중소기업의 경제위기 조기극복과 경영안정화를 위해서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Post 코로나 대응, 온라인·비대면 분야 집중 육성)
첫째,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은 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 대비 매출, 신규 고용 등*에 2~3배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이 혁신 창업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인프라 확충, 투자환경 확대 등을 위한 예산을 5,817억원으로 대폭 반영하였다.
① 중소·벤처기업 밀집 거점 1,562개소에 공동화상회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연말까지 8만개 중소·벤처기업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 업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바우처 프로그램(연 4백만원)으로 3,114억원을 투입한다.
② 금번 추경 2천억원을 포함한 총 4천억원을 출자하여 1조원 규모의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비대면 분야의 창업·벤처기업에 대해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③ 비대면·온라인 소비 급증에 따라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보다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치삽시다 플랫폼”에 실시간 숍스트리밍* 등이 가능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실시간 양방향 온라인 방송)”을 신설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숍스트리밍(Shopping + Livestreaming) : 인터넷으로 보는 TV 홈쇼핑 방송개념, 쇼호스트가 제품을 소개하고, 시청자들은 방송을 보면서 제품 구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스마트 대한민국구축 )
둘째, 소상공인·중소기업이 D(Data).N(Network).A(AI)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505억원을 추가로 반영하였다.
① 소상인을 위해서는 스마트 미러·물류·서빙·오더 등 스마트 상점을 5,400여개 점포에 확대 보급(기존 1천개→확대 6,400여개 점포)하고, 소공인 작업장에는 수작업 공정에 기기자동화, IoT센서 등을 접목한 스마트화 지원을 60개 작업장에 확대 보급(기존 20개→확대 80개 작업장)한다.
② 제조 중소기업에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공정모니터링 단계의 스마트공장을 공정 제어, 나아가 자동 공정개선까지도 가능하도록 고도화하는 AI기반 스마트 공장을 하반기중 20개 지원한다.
③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함께 전문가의 진단 컨설팅과 AI 솔루션 도입·검증을 70개 기업에 지원하고, 그 성과를 토대로 데이터에 기반한 제조 전반의 AI 확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지역경제, 골목상권의 경기 진작 지원)
셋째, 코로나 19에 따른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위해 지역 소비 기반을 확충하고, 빠르게 경제 활동에 복귀할 수 있도록 3,412억원을 반영하였다.
① 전통시장의 활력 제고를 위해 1차 추경에서 5천억원의 10% 할인 판매에 이어 추가로 2조원의 상품권의 10%할인 판매를 추진하여 강력한 내수 소비 기반을 마련한다.
② 폐업 위기 소상공인의 재기를 위해 1차 추경 8,200명 지원(164억원)에 추가하여 4,500명의 소상공인에게 점포철거비, 창업교육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폐업 창업자 200명(기존 400→확대 600명)을 대상으로도 창업교육, 사업화 자금 등을 통해 재기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③ 해외 경기 악화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코로나 이후 향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상품디자인 개발, 마케팅 프로그램 등 수출바우처 프로그램을 추가로 900여개 기업(기존 2,934→확대 3,836개 기업)에 지원한다.
(정책금융으로서의 역할 강화)
넷째, 자금 확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중소기업과 비대면·디지털 분야 창업·벤처기업의 자금확보 등을 위해 35조원 수준의 보증 공급을 추진한다.
①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코로나 특례, 소상공인 2차 금융 패키지 등의 보증 26.7조원 수준을 공급하고,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비대면·디지털 분야 기업 특례보증(1조원), 소상공인 특례보증(0.3조원) 등 1.4조원 규모의 보증 공급을 위해 신기보 기본재산으로 2.6조원을 출연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지역 소상공인 대상 6.9조원 규모의 보증공급 확대를 추진한다.
② 시중은행에서 융자를 받기 어려운 장애인 등을 위한 소상공인 지원 융자 5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그린 창업·벤처기업 육성 기반 마련 )
다섯째,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또다른 미래 먹거리인 그린 유망 창업·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추진을 위해 319억원을 반영하였다.
① 그린・디지털 분야 스타트업・혁신기업 지원 인프라와 도시재생을 통한 주거・문화환경 개선을 결합한 ‘그린 스타트업 타운’을 조성할 계획으로 복합허브센터 1개소 설계비(5억원)를 반영하였다.
②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창업·벤처기업을 대상으로 「R&D→실증→사업화」 단계 기업의 성장 全 주기를 지원하고, 금년 20개사를 시작으로 그린 뉴딜 선도 100대 유망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포스트 코로나 대응 향후 정책 추진 방향 )
박영선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구조의 비대면화·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중기부는 금년 하반기 중에 ”비대면 벤처·스타트업 활성화 대책“, ”AI기반의 제조혁신 고도화 추진전략“을 관계부처와 협업으로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강성천 차관은 금번 추경 예산이 신속히 집행될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서 코로나 19에 피해에 따른 소상공인·중소기업 빠른 회복과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비대면, 디지털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활력을 제고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단위:억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2020년 제3회 추경예산안을 1차 추경예산안(3.1조원) 보다 0.6조원 늘어난 3.7조원*으로 편성하고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 ‘20년 예산 추이 : (본예산) 13.4조원→(1차 추경) 3.1조원→(2차 추경) △541억원
중기부는 2020년 제3회 추경예산안을 만들면서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이 주력이 되어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으로의 도약할 수 있도록 중점 투자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또한 어려워진 소상공인․중소기업의 경제위기 조기극복과 경영안정화를 위해서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Post 코로나 대응, 온라인·비대면 분야 집중 육성)
첫째,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은 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 대비 매출, 신규 고용 등*에 2~3배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이 혁신 창업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인프라 확충, 투자환경 확대 등을 위한 예산을 5,817억원으로 대폭 반영하였다.
* ‘20년 1분기 코스피·코스닥 상장 벤처기업 790개사(비대면-대면) 조사·분석(중기부) - (신규 고용, 19년말 대비) 비대면(기업당 6.3명) VS 대면(기업당 1.9명) - (매출증가율, 전년동기 대비) 비대면(평균 6.1%) VS 대면(평균 3.1%) |
① 중소·벤처기업 밀집 거점 1,562개소에 공동화상회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연말까지 8만개 중소·벤처기업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 업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바우처 프로그램(연 4백만원)으로 3,114억원을 투입한다.
② 금번 추경 2천억원을 포함한 총 4천억원을 출자하여 1조원 규모의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비대면 분야의 창업·벤처기업에 대해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③ 비대면·온라인 소비 급증에 따라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보다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치삽시다 플랫폼”에 실시간 숍스트리밍* 등이 가능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실시간 양방향 온라인 방송)”을 신설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숍스트리밍(Shopping + Livestreaming) : 인터넷으로 보는 TV 홈쇼핑 방송개념, 쇼호스트가 제품을 소개하고, 시청자들은 방송을 보면서 제품 구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스마트 대한민국구축 )
둘째, 소상공인·중소기업이 D(Data).N(Network).A(AI)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505억원을 추가로 반영하였다.
① 소상인을 위해서는 스마트 미러·물류·서빙·오더 등 스마트 상점을 5,400여개 점포에 확대 보급(기존 1천개→확대 6,400여개 점포)하고, 소공인 작업장에는 수작업 공정에 기기자동화, IoT센서 등을 접목한 스마트화 지원을 60개 작업장에 확대 보급(기존 20개→확대 80개 작업장)한다.
② 제조 중소기업에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공정모니터링 단계의 스마트공장을 공정 제어, 나아가 자동 공정개선까지도 가능하도록 고도화하는 AI기반 스마트 공장을 하반기중 20개 지원한다.
③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함께 전문가의 진단 컨설팅과 AI 솔루션 도입·검증을 70개 기업에 지원하고, 그 성과를 토대로 데이터에 기반한 제조 전반의 AI 확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지역경제, 골목상권의 경기 진작 지원)
셋째, 코로나 19에 따른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위해 지역 소비 기반을 확충하고, 빠르게 경제 활동에 복귀할 수 있도록 3,412억원을 반영하였다.
① 전통시장의 활력 제고를 위해 1차 추경에서 5천억원의 10% 할인 판매에 이어 추가로 2조원의 상품권의 10%할인 판매를 추진하여 강력한 내수 소비 기반을 마련한다.
② 폐업 위기 소상공인의 재기를 위해 1차 추경 8,200명 지원(164억원)에 추가하여 4,500명의 소상공인에게 점포철거비, 창업교육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폐업 창업자 200명(기존 400→확대 600명)을 대상으로도 창업교육, 사업화 자금 등을 통해 재기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③ 해외 경기 악화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코로나 이후 향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상품디자인 개발, 마케팅 프로그램 등 수출바우처 프로그램을 추가로 900여개 기업(기존 2,934→확대 3,836개 기업)에 지원한다.
(정책금융으로서의 역할 강화)
넷째, 자금 확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중소기업과 비대면·디지털 분야 창업·벤처기업의 자금확보 등을 위해 35조원 수준의 보증 공급을 추진한다.
①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코로나 특례, 소상공인 2차 금융 패키지 등의 보증 26.7조원 수준을 공급하고,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비대면·디지털 분야 기업 특례보증(1조원), 소상공인 특례보증(0.3조원) 등 1.4조원 규모의 보증 공급을 위해 신기보 기본재산으로 2.6조원을 출연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지역 소상공인 대상 6.9조원 규모의 보증공급 확대를 추진한다.
② 시중은행에서 융자를 받기 어려운 장애인 등을 위한 소상공인 지원 융자 5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그린 창업·벤처기업 육성 기반 마련 )
다섯째,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또다른 미래 먹거리인 그린 유망 창업·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추진을 위해 319억원을 반영하였다.
① 그린・디지털 분야 스타트업・혁신기업 지원 인프라와 도시재생을 통한 주거・문화환경 개선을 결합한 ‘그린 스타트업 타운’을 조성할 계획으로 복합허브센터 1개소 설계비(5억원)를 반영하였다.
②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창업·벤처기업을 대상으로 「R&D→실증→사업화」 단계 기업의 성장 全 주기를 지원하고, 금년 20개사를 시작으로 그린 뉴딜 선도 100대 유망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포스트 코로나 대응 향후 정책 추진 방향 )
박영선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구조의 비대면화·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중기부는 금년 하반기 중에 ”비대면 벤처·스타트업 활성화 대책“, ”AI기반의 제조혁신 고도화 추진전략“을 관계부처와 협업으로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강성천 차관은 금번 추경 예산이 신속히 집행될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서 코로나 19에 피해에 따른 소상공인·중소기업 빠른 회복과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여 비대면, 디지털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활력을 제고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재정담당관 장세훈 서기관(☎ 042-481-434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 2020년 3차 추경예산안 총괄표 |
(단위:억원)
'20년 본예산 | 1차 추경 | 3차 추경 | 담당자 연락처 |
||
총계 | 53,356 | 23,383 | 36,727 | ||
1. 온라인·비대면 분야 육성 | 16,697 | 115 | 5,817 | ||
- 모태조합출자 (스마트대한민국 펀드) |
7,400 | 2,000 | 이권재 사무관(042-481-1649) | ||
- 온라인·비대면 서비스 플랫폼 | - | 3,114 | 임상규 서기관(042-481-1682) | ||
- 온라인판로지원 (라이브커머스플랫폼) |
313 | 115 | 95 | 백승표 사무관(042-481-6880) | |
- 예비창업패키지 | 1,114 | 315 | 원미연 사무관(042-481-4497) | ||
- 초기창업패키지 | 1,075 | 70 | 이윤호 사무관(042-481-8914) | ||
- 창업성장기술개발(R&D) | 4,637 | 75 | 조무근 사무관(042-481-4401) | ||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R&D) | 1,799 | 58 | 정해진 사무관(042-481-4442) | ||
- 전자상거래수출시장진출 | 359 | 90 | 이상훈 사무관(042-481-4355) | ||
2.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 4,291 | - | 505 | ||
- 스마트상점 | 17 | 84 | 김윤정 사무관(042-481-3914) | ||
- 스마트공방 | 39 | 30 | 최용춘 사무관(042-481-4576) | ||
- 스마트 공장 구축 및 고도화 | 4,150 | 80 | 염정수 사무관(044-865-9619) | ||
- 로봇활용제조혁신 | 85 | 20 | 신정대 사무관(044-865-9846) | ||
- 디지털 일자리 | - | 242 | 황선희 사묵관(042-481-1663) | ||
- 제조 데이터 인프라 구축 | 67 | 49 | 김연학 사무관(044-865-9615) | ||
3. 지역경제, 골목상권 경기 진작 | 4,003 | 854 | 3,412 | ||
- 온누리 상품권 발행 | 2,313 | 690 | 2,760 | 전진섭 사무관(042-481-8930) | |
- 중소기업 재기지원 (재도전성공패키지) |
176 | 84 | 박정은 사무관(042-481-4475) | ||
- 소상공인재기지원 (소상공인폐업지원) |
420 | 164 | 90 | 송현주 연구관(042-481-8997) | |
- 지역기반로컬크리에이터 | 44 | 44 | 이청수 사무관(042-481-1692) | ||
- 중소기업R&D역량제고 (위기지역중소기업 Scale-Up R&D) |
52 | 93 | 황조인 사무관(042-481-4445) | ||
- 수출바우처 | 998 | 341 | 정미라 사무관(042-481-3980) | ||
4. 정책금융으로서 역할 강화 | 27,611 | 22,414 | 26,675 | ||
- 신용보증기금 출연 | 2,100 | 4,022 | 24,584 | 최호성 사무관(042-481-4586) | |
- 기술보증기금 출연 | 1,500 | 669 | 1,122 | 여현구 사무관(042-481-4485) | |
- 지역신용재보증 | 1,011 | 523 | 469 | 신연재 사무관(042-481-4388) | |
- 소상공인지원(융자) | 23,000 | 17,200 | 500 | 우창훈 사무관(042-481-3988) | |
5. 그린 창업·벤처기업의 육성 기반 마련 | 686 | - | 319 | ||
- 그린 스타트업 타운 조성 | - | 5 | 김건영 사무관(042-481-6819) | ||
- 그린 유망 선도기업 육성 | - | 152 | 김승택 사무관(042-481-4386) | ||
- 그린 유망 선도기업 육성(R&D) | - | 53 | 조무근 사무관(042-481-4401) | ||
-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R&D) | 641 | 64 | 정동찬 사무관(044-865-9719) | ||
- 소공인 작업환경 개선 | 45 | 45 | 최용춘 사무관(042-481-4576) |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우수 물류신기술’ 보급·육성을 위한 지원이 확대됩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일정 한눈에 보기
-
집 전기 아끼면 이자 더 준다…최고 7.2% 에너지절약 적금 출시
-
중소기업·소상공인에 추경 4조 2000억 원 투입…긴급 유동성 공급
-
차량돌진 방어 시설물 시범 설치…'2025년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대책' 발표
-
사용후 배터리, 국가 핵심 자원으로 키운다…순환이용 활성화 지원
-
이 권한대행 "21대 대선, 어느때보다 공정·투명해야…위법행위 무관용 대응"
-
딸과 통화 중에도 '0.1초' 만에 범인을 발견한 경찰의 능력!
-
무료로 찍어준 결혼식 사진, 저작권은?
-
정부 "5대 선거범죄 철저 차단·단속"…29일~30일 사전투표 실시
-
오는 9월 1일부터 예금보호 한도 5000만 원→1억 원으로 상향
최신 뉴스
- 「제17회 대한민국 소방산업대상」 공모..오는 6월 30일까지 접수
- 23개 콘텐츠 사업자의 불공정약관 시정
- 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비점오염원 신고 사업장 집중점검
- 2025년 기후위기 적응 그림 공모전 개최
- "국토 교통 글로벌 리더십 강화" … OECDITF 통해 정책 협력 확대
- 축산물 수출 활성화를 위해 외국어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 발급 언어 확대
- 카자흐아제르에서 케이(K)-스마트팜 기술 알리며 수출상담 '성황'
- 전국 건설현장 '우기 대비 점검' 추진
-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 한미 과학기술정보통신 현안 협의차 방미
- 제34회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연차총회 참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