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보건복지부,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공공 슈퍼비전 첫 제도화

2020.06.30 보건복지부
목록
보건복지부,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공공 슈퍼비전 첫 제도화
-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품질 향상을 위해 공적 슈퍼비전 체계 선도 -
- 슈퍼바이저 229명 배치·직위 신설, 직무급식 임금체계 도입 추진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아동권리보장원(원장 윤혜미)은 취약계층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드림스타트 사례관리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슈퍼비전 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 시군구청 드림스타트에서 아동·가족의 개별 욕구와 문제에 대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아동통합사례관리사) 1,040명
드림스타트는 어려운 상황에 처한 아이들의 공정한 출발을 위한 대표적 아동복지정책으로, 전국 229개 드림스타트에서 15만여 명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전개하고 있다.
슈퍼비전은 사례관리 서비스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숙련된 전문가가 동료 또는 신규 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위한 교육·지도, 심리적 지지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 (슈퍼바이저) 아동통합사례관리사에게 전문적 시각, 경험·지식, 폭넓은 정보를 제공 및 지도하는 전문가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슈퍼바이저의 슈퍼비전은 사례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관리사와 함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조력하여 아동·가족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 A시 드림스타트 슈퍼바이저의 슈퍼비전 사례 -
한부모가정 자매(3, 5학년)의 잦은 결석, 위생상태 불량, 불안정한 주거, 학교생활 어려움, 엄마의 근로로 늦은 귀가, 인스턴트 식품섭취로 인한 비만 등의 문제가 있는 사례를 담당한 아동통합사례관리사는 초기 개입 시 위생관리, 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복합적 문제에 어려움을 느껴 슈퍼비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슈퍼바이저는 누락된 서비스를 제시하였고 종합심리검사, 식습관 개선 등을 추진하도록 하였으며, 남자 사례관리사가 사춘기 여아를 상담하는 어려움이 있어 슈퍼바이저가 함께 방문하고 사례관리사에게 지속적으로 격려와 심리적 지지를 주는 슈퍼비전을 제공하였다. 이후 아동들은 학교에 빠지지 않고 출석하며, 안정된 주거지원을 받고, 엄마도 쓰레기를 방안에 쌓아두고 지냈지만 분리수거 및 집안청소로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동료 사례관리사의 이야기 “슈퍼바이저를 통해 받는 슈퍼비전은 사례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즉각 논의하며 바로 실천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서비스 대상자에게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의례적인 문서를 준비하고 발제해야 하는 긴 과정을 뛰어넘어 바로 도움받을 수 있기에 서비스 대상자를 지원하는 아동통합사례관리사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 이것이 바로 소진(burn out)을 최소화하고 사례를 더 전문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실질적인 배움이다.”
드림스타트 슈퍼비전은 2009년부터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실행해왔으나 제도·재정적 지원 부족으로 효과가 제한적임에 따라, 이번 계획을 5년 동안 단계적으로 추진하여 슈퍼비전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 연도별 추진내용 】
연도별 추진내용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내용 슈퍼바이저 자격기준 마련 및 운영 매뉴얼 발간 교육체계 구축 및 사례집 발간 보상체계 구축 및 제도화 재자격 체계 구축 및 전국 시행 준비 사업 안정화
양성 (누적) 40명 80명 125명 175명 229명
배치 (누적) - 10개 시군구 50개 시군구 130개 시군구 229개 시군구
이를 위해 올해 슈퍼바이저 40명 양성, 내년 10개 지역 배치를 시작으로 2024년 전국 229개 지역에 배치하며, 슈퍼바이저 자격 유지, 보상·평가기준 마련 등을 병행하여 슈퍼비전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 1기 슈퍼바이저 양성과정 : 2018년~2020년 총 3년간 기본-심화교육 이수 중
더불어 슈퍼비전의 조기 안착을 위해 슈퍼비전 업무의 공식화로 직무 활동을 보장하고 슈퍼바이저 직위 신설(현장 또는 선임) 및 업무부담 경감, 직무급식 임금체계를 도입을 추진한다.
* (현장슈퍼바이저) 자격검정 통과자 중 드림스타트에서 슈퍼바이저 직위를 부여받은 자, (선임슈퍼바이저) 슈퍼바이저에게 슈퍼비전을 제공하는 자로 직위를 부여받은 자
슈퍼바이저 신청자격은 아동통합사례관리사 경력 5년 이상이어야 하며, 자격인정은 135시간의 양성(기본·심화) 교육을 이수하고 아동권리보장원의 ‘자격검정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 슈퍼바이저 기본교육 1∼5단계(3년, 총 105시간) 심화교육(실습·과제·평가, 총 30시간)
자격을 인정받은 슈퍼바이저는 현장 또는 선임 슈퍼바이저로 직위를 부여받으며, 소속 드림스타트 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개별·동료·집단)을 사례기법 전수, 면담, 강의, 토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한다.
【 드림스타트 슈퍼바이저 양성 절차 】
  • 슈퍼바이저 양성과정 신청(실무 경력 5년 이상) 양성교육 및 자격검정
    • 슈퍼바이저 기본교육1~5단계 105시간
    • 슈퍼바이저 심화교육(적용실습 및 과제수행 30시간)
    • 슈퍼바이저 심의 평가
  • 수료 슈퍼바이저 배출(수료자 중 선발) 자격유지 조건
    • 보수교육(연 2회)
  • 슈퍼바이저 직위 부여(3년 임기)
  • 슈퍼바이저 자격유지 평가
    • 슈퍼바이저 자격유지
    • 슈퍼바이저 자격중단
한편 슈퍼비전의 효과적 작동을 위해 보건복지부(제도 총괄), 아동권리보장원(운영 총괄), 시군구(실행) 간 긴밀한 연계체계를 구축한다.
아동권리보장원에 ‘슈퍼비전 자격검정위원회’를 둠으로써 슈퍼바이저 자격검정 과정이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에 있어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제도로 작동하도록 지원한다.
* (구성) 사회복지·슈퍼비전·아동분야 학계 및 현장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교육위원 및 심의위원, (역할) 자격과정 교육개발 및 멘토역할, 평가체계 개발 및 자격심의 등
이와 더불어 교수급 전문 슈퍼바이저 지정, 슈퍼바이저 활동 계속 여부의 3년 간격 평가, 정기적인 슈퍼비전 실행평가로 슈퍼바이저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한다.
보건복지부 변효순 아동권리과장은 “이번 드림스타트 슈퍼비전 체계 강화를 통해 다문화, 북한이탈주민, 청소년 부모 등 다변화되는 서비스 대상자와 학대 등 고위험 아동에 대한 현장 대응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붙임>
  1. 드림스타트(취약계층 아동통합서비스) 개요
  2. 드림스타트 슈퍼비전 체계 강화 개요
  3. 슈퍼비전의 개념 및 구성요소 등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이제 전국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