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설명자료)산업부 PD(Program Director) 중 민간전문가 경력자는 일정 이상이며, PD 역할은 제도 도입초기와 유사(한국경제 7.6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2020.07.06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업부 산업 PD 21명 중 직전경력 기준, 민간전문가 출신은 7으로 33%이며, 직전이 아닌 전체 경력 기준으로 민간기업 또는 대학 근무 경험이 있는 민간전문가는 15(71%)
 
PD의 주요 역할은 산업부 R&D 과제를 기획하는 것으로 제도 도입 초기(‘09)와 유사
 
7.6일 한국경제 <민간 전문가 뽑겠다던 산업부 PD’, 말 잘 듣는 국책연구원으로 채웠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함
 
1. 기사내용
 
간 전문가의 수혈이라는 제도 도입 취지에도 불구, 산업통상자원부PD2018년 이후 국책 연구기관으로 채워져, 본래의 취지가 퇴색
 
‘18년 이후 채용된 산업부 PD 15명 중 민간(기업, 대학교수) 출신은 2명뿐으로 나머지는 국책 연구기관 연구원으로 채워짐
 
* 제도가 처음 도입된‘09년에는 10명 중 8명이 민간에 영입된 것과 대비
 
PD의 위상도, 초기에는 정부R&D 과제를 주도했으나, 지금은 산업부의 감독을 받아 진전 상황을 보고하는 자리가 됐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업부의 산업 PD 민간 전문가 출신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현재 산업분야 PD는 총 21명이며, 이 중 직전 경력 기준으로는 7(33%)민간 기업체 등 민간 전문가 출신이며,
 
* 산업 PD(21) 직전 경력 : 국책연구기관 및 공공기관 (14), 민간전문가 (7)
 
경력을 기준시에는 민간 경력이 있는 PD는 전체 21명 중 총 15
 
산업부는 민간 전문가 출신의 PD 채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R&D과제수의 증가, 예비타당성 대응 등의 업무강도 강화로, 이전보다 민간 전문가들의 선호도가 낮은 상황
 
PD의 역할은 산업부 기술개발사업의 신규 R&D 과제를 기획하는 것이 주요 업무로서, 이는 제도 도입 초기(‘09)와 변함이 없음
 
PD는 과제 기획을 위해 1년 내내 과제 수요조사, 기획대상 발굴, 과제기획 등의 절차를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과제 관리산업기술평가원의 평가부서에서 전담하고 있음
 
히려,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재·부품·장비 관련 추경 및 산 확대PD의 업무와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
 
업부는 민간·공공 분야 등 다양한 풀에서 PD를 채용하여 각자의 강점을 기획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출신도 전문성을 가지고 R&D기획의 주체로서 활동하고 있음
 
향후, 유능한 국책연구원 출신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체나, 교수 등 민간 전문가들의 채용 확대 방안도 적극 검토해 나가겠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바꾸는 2020년 3회 추가경정예산 3.6조원 국회 확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