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0년 12월 및 연간 자동차산업 동향 - 2020년 글로벌 생산량 기준 세계자동차 5강 국가 도약 - -‘20년 자동차 내수판매는 주요국 대비 유일하게 증가세 시현 - -‘20년 친환경차 내수판매 비중 최초 10% 돌파, 내수·수출 모두 역대 최다 기록 - ‘20년 친환경차 수출액 비중 19.1% 기록하며‘17년 대비 2배 증가 - |
2020년 12월 및 연간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 2020년 글로벌 생산량 기준 세계자동차 5강 국가 도약 - -‘20년 자동차 내수판매는 주요국 대비 유일하게 증가세 시현 - -‘20년 친환경차 내수판매 비중 최초 10% 돌파, 내수·수출 모두 역대 최다 기록 - ‘20년 친환경차 수출액 비중 19.1% 기록하며‘17년 대비 2배 증가 - |
【 2020년 실적 】
□ (총괄) ‘20년 자동차 생산은 △11.2%, 수출은 △21.4%(수출액 △13.0%) 감소하였으나, 내수는 +5.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 2020년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만대, 억불, %) >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잠정) | ||||
|
증감률 |
|
증감률 |
|
증감률 | ||
생 산 |
403 |
△2.1 |
395 |
△1.9 |
351 |
△11.2 | |
내 수 |
181 |
1.1 |
178 |
△1.7 |
189 |
5.8 | |
|
국산차 |
153 |
△0.7 |
151.8 |
△0.9 |
159 |
5.1 |
수입차 |
28 |
12.0 |
26.5 |
△5.7 |
29 |
9.8 | |
수 출 |
245 |
△3.2 |
240 |
△2.0 |
189 |
△21.4 | |
|
자동차(금액) |
409.0 |
△1.9 |
430.4 |
5.2 |
374.3 |
△13.0 |
부품수출(금액) |
231.2 |
△0.1 |
225.4 |
△2.5 |
186.7 |
△17.2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ㅇ (생산) 코로나19에 따른 판매위축, 주요부품 조달 차질 등으로 상반기는 △19.8%, 하반기는 신차 수출 효과 등으로 △2.2% 감소, 연간 전체로는 △11.2% 감소한 351만대 생산
* (기아 소하리)5.22~5.25일, (기아 광주2공장) 5.25~5.29일, (GM)5.25~5.29일
* 와이어링하네스 수급 불안정으로 트레일블레이저 생산 차질 (약 9천대 추산)
- 국가별 생산순위가 7위에서 5위로 상승하였고, 세계 10대 생산국 대비 중국을 제외하면 가장 작은 감소율을 보임
* 자동차 생산국 순위 : (‘18~‘19) 7위 → (’20.11월 기준) 5위
* 주요국 생산증감률(’20.1~11월, %) : (중국) △3.0%, (미국) △20.8%, (일본) △17.5%, (독일) △28.2%, (멕시코) △23.5%, (인도) △33.4% 둥
ㅇ (내수) 개소세 인하 등 정부의 내수활성화 정책, 업계의 다양한 신차 출시 등으로 5.8% 증가한 189만대로 역대 최다 판매 달성
* 개별소비세 도입전(1~2월) 내수 증감률 : △16.0%
* 개별소비세 인하 : (3~6월) 70%, (7~12월) 30%
- 또한 국가별 내수판매 비교시 주요국(미국, 일본 등)들은 감소세를 보인 반면, 한국은 5.8%로 유일하게 증가세를 시현
* 주요국 내수판매 증감률(’20.1~11월, %) : (중국) △2.9%, (미국) △16.9%, (일본) △13.0%, (독일) △21.0%, (인도) △31.1%, (프랑스) △24.9% 등
ㅇ (국산차) 팰리세이드, 쏘렌토, 투싼 등 SUV 차종에 대한 수요 증가세 지속으로 RV 차종이 승용차 판매량의 절반 이상(52.3%)을 차지
【 국산 승용차의 차급별 내수 비중 추이 (단위 : %) 】
구분 |
경형 |
소형 |
중형 |
대형 |
SUV |
CDV |
‘18 |
9.8 |
12.1 |
13.2 |
18.5 |
40.1 |
6.4 |
‘19 |
8.9 |
9.8 |
13.6 |
18.2 |
44.6 |
5.0 |
‘20 |
7.1 |
8.6 |
12.3 |
19.8 |
47.6 |
4.7 |
* CDV(car derived van) : 승합용 미니밴(ex: 카렌스, 카니발 등)
ㅇ (수입차) 미국계, 독일계, 스웨덴계 브랜드의 판매 증가로 전년대비 9.8% 증가한 29만대 판매량 기록
* ‘20년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 증감률(%) : (일본) △43.9%, (미국) 38.3%, (독일) 26.7%, (영국) △16.0%, (스웨덴) 21.1%, (프랑스) △20.7%, (이탈리아) △13.8% 등
□ (수출) 상반기는 △33.9% 감소, 하반기는 감소세가 △8.1%로 완화되어 전체 수출대수는 △21.4% 감소한 189만대 기록
* 수출증감률(%) : (1분기) △18.4, (2분기) △47.6, (3분기) △5.1, (4분기e) △10.7
ㅇ 수출금액 또한 상반기에 △27.3% 감소하였으나, 하반기에 +1.5%로 회복되면서 연간 전체로는 △13.0% 감소(374.3억불)
- 차종별 수출대수는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수출비중은 SUV가 71.8%(7.9%p↑)로 확대되며, 자동차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견인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자율주행 1등 국가 도약을 위한1.1조원 규모 범부처 자율주행사업 본격 착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9월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매주 환급…취약상권 살린다
-
7월까지 추경 12조원 70% 이상 집행…소상공인 300만명 이상 지원
-
개인정보위 "SKT, 전체 이용자 대상 1차 유출통지 방침 알려와"
-
복지부 2차관 "AI 신약개발에 정부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40개 의과대학, 수업불참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통보
-
집 전기 아끼면 이자 더 준다…최고 7.2% 에너지절약 적금 출시
-
전국 84개 전통시장, 수산물 사면 최대 30% 환급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아침·저녁·휴일에도 돌봄 제공"…거점형 돌봄기관 시범운영
-
더 친절한 세금 신고,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달
최신 뉴스
- [설명]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대한 정부 출자 규모와 시기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습니다.
- 한국-메콩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5주년 계기 메콩 국가들과 경제 협력, 디지털 전환, 녹색 성장 등 미래 협력 방안 논의
- [기고]산불, 철저한 예방이 답이다.
-
영상
봄날 드라이브 어디로 갈까? AI가 알려주는 새만금 명소!
- 특허청-경북대, 청년과 함께하는 지식재산 토크콘서트 개최
-
중소기업 혁신기술 유출 막는다…협상 단계부터 법으로 보호
-
영상
은행에서 빠르게 착!
-
자연과 전통이 어우러진 곳 강화 한바퀴
-
서비스업 고용 증가폭 확대…취업자,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
- 대형산불 대응, 연료를 줄이는 숲가꾸기가 해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