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올해 공공조달시장 중기제품 구매목표 113.4조원, 사상 최고

□ ‘20년 목표 대비(103.4조원) 대비 10조원 증가

□ 공공구매 대상 공공기관은 지난해보다 11개 증가한 849개

글자크기 설정
목록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849개 공공기관의 올해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는 지난해 목표 103.4조원(전체 구매계획 133.2조원의 77.6%) 대비 10조원 증가한 113.4조원(전체 구매계획 145.4조원의 78%)으로 2006년 제도 시행 이후 최고로 나타났다.
 
* 전체 구매계획 : 공공기관의 물품·공사·용역 구매계획(대기업, 중소기업제품 구매 총액)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4월 27일(화) 국무회의에서‘2021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목표javascript:doBbsContentReg();(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제도는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제품, 기술개발제품, 여성기업·장애인기업·창업기업 제품의 의무구매 비율을 법으로 정해서 구매 증대로 중소기업의 판로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 주요 제품별 법정 의무구매비율 현황 ]
구분 법정 의무구매비율 근거법률
중소기업제품 총 구매액의 50% 이상 판로지원법
기술개발제품 중기제품 중 물품(용역·공사 제외) 구매액의 15% 판로지원법
여성기업제품 물품·용역은 구매총액 5% 이상, 공사는 3% 이상 여성기업법
장애인기업제품 총 구매액의 1% 이상 장애인기업법
창업기업제품 총 구매액의 8% 이상 창업지원법
 
* 매년 중소기업제품 구매실적과 구매목표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공고
올해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의 특징은 대상 공공기관*이 지난해 838개보다 11개 증가한 849개로 늘었으며 중소기업제품 법정 의무구매** (50% 이상) 미달 기관이 지난해 17개에서 올해 9개로 대폭 줄었다.
 
* 대상 공공기관: (‘18년) 836개 → (’19년) 837개 → (‘20년) 838개 → (’21년) 849개
 
** 중소기업제품 법정 의무구매 준수율: 99%(849개중 840개 기관 준수)
 
또한 창업기업의 공공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창업기업제품 법정 의무구매(총구매액의 8% 이상)가 올해부터 시행이 된다.
 
주요 중소기업 제품별 구매목표도 모두 법정 비율을 상회할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술개발제품은 ’20년도 계획(4.9조원) 대비 0.9조원 증가한 5.8조원으로 전체 중소기업물품 구매액(36.6조원)의 15.9% 수준이며,
 
여성기업제품은 전체 구매계획(145.4조원)의 7.2%인 10.5조원, 장애인기업제품은 1.4%인 2.1조원으로 나타났다.
 
* 여성기업제품 개별 목표 : 물품 7.2%, 공사 6.7%, 용역 7.4%
 
창업기업제품은 전체 구매계획(145.4조원)의 8.1%인 11.7조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실적은 79.8%(전체 구매실적 145.7조원)로 당초 구매목표*비율의 77.6%를 초과 달성했으며, 구매금액**으로는 116.3조원으로 2년 연속 100조원을 돌파했다.
 
* 구매목표(조원): (‘18년) 89.9 → (‘19년) 93.8 → (‘20년) 103.4
 
** 구매실적(조원): (‘18년) 94.0 → (‘19년) 105.0 → (‘20년) 116.3
 
지난해 중소기업제품 구매액 상위 20대 기관으로는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력공사, 국방부, 한국도로공사, 국토교통부 순이며, (참고1 참조)
 
중기부가 ’18년 이후 매년 산정하는 별도 기준(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이 85%이상이면서 중소기업제품 구매액이 3,000억원 이상)에 의한 ‘20년 구매 우수기관은 충북 괴산군, 인천광역시, 화성시, 경북 교육청, 서울특별시 등이 선정됐다. (참고2 참조)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판로정책과 변상준 사무관(☎ 042-481-4468)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20년 중소기업제품 구매액 상위 20대 기관
 
(단위 : 백만원, %)

기관명 2020년
중기제품
구매실적
2020년
중기제품
구매계획
2019년
중기제품
구매실적
실적증감액
1 한국토지주택공사 6,370,531 5,761,300 5,291,289 1,079,242(16.9%)
2 한국전력공사 5,677,865 6,640,838 5,406,577 271,288(4.8%)
3 국방부 3,978,009 3,013,035 3,339,159 638,850(16.1%)
4 한국도로공사 3,299,999 2,595,177 2,407,262 892,737(27.1%)
5 국토교통부 3,059,816 3,760,927 3,083,375 -23,559(0.8%)
6 서울특별시청 2,804,940 2,205,651 2,038,371 766,569(27.3%)
7 한국농어촌공사 2,287,988 1,952,000 2,044,451 243,537(10.6%)
8 국가철도공단 2,119,447 1,693,324 1,806,487 312,960(14.8%)
9 경기도교육청 1,676,880 1,571,796 1,439,726 237,154(14.1%)
10 서울특별시교육청 1,488,014 1,587,900 1,573,770 -85,756(-5.8%)
11 한국수력원자력(주) 1,372,263 680,400 1,095,179 277,084(20.2%)
12 충청남도 당진군 1,325,291 217,738 181,570 1,143,721(86.3%)
13 부산광역시교육청 1,262,913 461,712 455,936 806,977(63.9%)
14 해양수산부 1,101,287 1,230,659 1,040,263 61,024(5.5%)
15 한국수자원공사 1,077,890 1,524,168 949,692 128,198(11.9%)
16 교육부 1,055,483 792,492 861,295 194,188(18.4%)
17 충청남도교육청 998,584 614,560 614,892 383,692(38.4%)
18 경상남도교육청 936,278 900,000 1,031,979 -95,701(-10.2%)
19 경상북도교육청 911,624 735,180 786,801 124,823(13.7%)
20 인천국제공항공사 909,845 1,189,228 746,257 163,588(18%)
참고 2   ’20년 중소기업제품 구매 우수기관
 
* 중기제품 구매액 3천억원 & 구매비율 85%이상인 기관에 한정하여 선정

기 관 명 2020년
총구매액(백만원)
2020년
중기제품 구매액(백만원)
2020년
중기제품 구매비율(%)
1 충청북도 괴산군 528,748 524,820 99.3
2 인천광역시청 604,105 587,472 97.2
3 경기도 화성시 471,310 454,813 96.5
4 경상북도교육청 949,980 911,624 96.0
5 전라북도교육청 773,368 742,162 96.0
6 서울특별시청 2,923,641 2,804,940 95.9
7 대구광역시교육청 580,164 555,554 95.8
8 인천광역시교육청 647,732 618,344 95.5
9 충청북도 청주시 358,268 341,940 95.4
10 경상남도 창원시 504,358 480,351 95.2
11 경상북도 울진군 319,309 301,178 94.3
12 대구광역시청 436,695 411,462 94.2
13 경기도 용인시 432,317 407,161 94.2
14 한전케이피에스주식회사 369,292 347,094 94.0
15 경상남도 김해시 321,092 301,780 94.0
16 경기도 고양시 431,951 405,075 93.8
17 충청남도 당진군 1,414,797 1,325,291 93.7
18 부산광역시청 525,652 491,788 93.6
19 전남대학교병원 389,829 364,421 93.5
20 교육부 1,129,845 1,055,483 93.4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과기정통부,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과학기술단체 토론회 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