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민관협력 창업기업 육성 ‘팁스’, 운영사 11곳 추가 선정

□ 팁스 신규 운영사 11개사 추가 선정해 총 67개사로 확대 운영

□ 4차 산업혁명분야 중점 투자사(9개사), 지방소재 투자사(3개사) 등을 선정해 신성장분야와 비수도권 유망기업 적극 발굴 기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7월 29일(목), 팁스(TIPS) 신규 운영사 11개사를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팁스(TIPS)는 민간투자사가 창업기업을 발굴해 먼저 투자한 후 중기부에 추천하면 중기부가 별도 선정평가를 통해 기술개발(R&D),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지원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56개의 민간투자사가 팁스 운영사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번에 11개사가 신규로 추가돼 총 67개사가 유망 기술 창업기업 발굴과 투자를 위해 활동하게 됐다.
 
올해 신규로 선정된 11개 운영사를 살펴보면 9개사*가 4차 산업혁명 분야에 대한 투자실적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어 신성장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 발굴·육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4차 산업혁명분야 중점 투자사(9개사) : 끌림벤처스,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더인벤션랩, 소풍벤처스, 씨앤벤처파트너스, 액트너랩, 에트리홀딩스, 엔슬파트너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특히 이들의 최근 3년간 분야별 투자 비중이 서비스플랫폼 29.1%, 인공지능 20%, 빅데이터 10.9% 순으로 나타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관련 분야 창업기업을 더욱 육성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전, 울산, 강원지역에 소재한 투자사가 1개씩 운영사로 선정됨에 따라 비수도권 내 유망 기술 창업기업 발굴과 팁스 참여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비수도권 소재 투자사(3개사) : (대전) 에트리홀딩스, (울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 소풍벤처스
 
신규 팁스 운영사는 8월부터 창업기업 추천권을 배정받아 본격적으로 창업기업 발굴과 투자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팁스(TIPS)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중기부(www.mss.go.kr), 팁스 누리집(www.jointips.or.kr), 케이-스타트업 누리집(www.k-startup.go.kr)의 팁스 창업기업 지원 공고문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손희찬 사무관(☎ 044-204-764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팁스 개요 및 주요 성과
 
□ 팁스(TIPS) 개요 *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ㅇ (목적) 성공벤처인 등 민간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기업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정부R&D를 연계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화
 
ㅇ (지원내용) 팁스 운영사가 고급기술 창업기업에 先투자(1~2억원 내외)·보육·추천하면, 정부 R&D,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매칭 지원(최대 7억원)
 
* 민간 엔젤투자(1~2억원) + 정부 매칭지원(R&D 최대 5억원, 창업사업화 최대 1억원,
해외마케팅 최대 1억원) + 후속지원(포스트팁스 최대 5억원)
 
□ 추진실적
 
ㅇ 성공벤처인 주도의 엔젤투자회사, 선도벤처 등 67개 운영사 활동 중
 
ㅇ 창업기업 1,300개 선정, 엔젤투자 2,871억원(기업당 평균 2억원)에 매칭하여, R&D 5,697억원, 창업사업화 790억원, 해외마케팅 538억원 지원
 
□ 주요성과
 
ㅇ (고급기술인력 창업) 전체 창업자(3,802명) 중 석·박사 60%(2,274명), 국내·외 대기업* 출신 31%(1,163명), 전문직 11%(434명)
 
* 삼성 406명, 애플·구글 16명, 네이버·다음 92명, LG 201명, SK 125명, 인텔·MS 22명 등

ㅇ (고용 효과) 사업지원 후 전체 신규 채용은 11,443명*, 기업 당 10.1명
 
* (조사 기준) ’13년~’20년 선정기업, 1,138개사 / (선정당시) 8,213명, (‘20년말) 19,656명
 
ㅇ (민간투자 유치) 창업기업 1,300개사 중 781개사가 총 47,563억원의 후속 민간투자 유치
 
- 정부지원금(7,025억원) 대비 6.8배, 민간 운영사 선투자(2,871억원), 대비하여 16.6배 수준
 
ㅇ (EXIT) IPO(기업공개) 5개* 창업기업 및 M&A 28개 창업기업
 
* (IPO) 티앤알바이오팹(‘18년 코스닥), 지놈앤컴퍼니((’18.12월 코넥스 후 ‘20.12월 코스닥), 펨토바이오메드(’19년 코넥스), 이오플로우(‘20년 코스닥), 뷰노(’21년 코스닥)
참고2   2021년 신규 팁스 운영사 현황
 
(가나다. 순)
운영사
(컨소시엄 주간사)
대표 소재지 협력기관 보육공간(BI) 비고
끌림벤처스 남홍규 서울 PT.Hanhwa Life Insurance Indonesia, Shorooq Partners, 한화생명보험, 넥슨코리아, 디라이트,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아이비케이캐피탈, 디에스자산운용, 브이아이피자산운용, 현대에이치티 자체 BI,
한화생명보험
(드림플러스 강남)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뉴패러다임
인베스트먼트
배상승 서울 CONG TYTNH HHIVELAB VINA,
Wilt Venture Builder, Vynn Capital, 티에스인베스트먼트, 덕우전자, 나누리의료재단, 바디프랜드, 우진아이엔에스,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대안투자자산운용, 혜원의료재단,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국민대학교기술지주
자체 BI,
국민대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더인벤션랩 김진영 서울 Innolab Asia, 마이워크스페이스, 서울대학교 AI연구원 마이워크
스페이스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소풍벤처스 한상엽 강원 Collaborative Fund Management,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테크노파크, 보령홀딩스, 연세대학교창업지원단,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넥스트랜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지방 소재
씨앤벤처
파트너스
심재희 서울 YOUMEON, IT Works Japan, Kigalabs, 1982 Ventures, KILSA GLOBAL, 엔텔스, 인포뱅크, 에치에프알, 드림시큐리티, 원앤파트너스, 성균관대학교창업보육센터, 한밭대학교창업보육센터, 한밭대학교기술지주, 시너지엑스, 윕스 성균관대, 한밭대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액트너랩 조훈제 서울 NEMIC, 와우파트너스 자체 BI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전 JC VALLEY, ETRI US R&D Center,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북경센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앤피인베스트먼트, 신한캐피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지방 소재
엔슬파트너스 정재동 서울 대공방코리아, 케이티비네트워크, 어니스트벤처스, 킹고스프링,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기술지주,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엠에이피에스, 서울산업진흥원,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스테이지나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서울산업
진흥원
(서울창업허브)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울산창조경제
혁신센터
김재훈 울산 Creative Valley, 한국조선해양, 울산과학기술원, 울산대학교, 울산테크노파크, 스페이스점프, BNK벤처투자, 스케일업파트너스 자체 BI 4차산업혁명
중점투자,
 
지방 소재
패스트벤처스 박지웅 서울 Cowell Investment Group, 패스트파이브 패스트
파이브
-
BSK
인베스트먼트
백승권 서울 Suprema Systems UK, 슈프리마, 퍼스트게이트, SNU공학컨설팅센터, 벤처기업협회 SNU공학
컨설팅센터, 벤처기업협회
-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2021년 제1차 ‘창업지원정책협의회’ 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