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식품영양정보 표준화와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서 산업체·학계·연구기관·정부가 협력해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활용 범정부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 동 협의체는 지난 6월 9일 ‘식품영양정보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구성*했고, 제1차 협의회를 8월 26일(목) 15시에 비대면 영상회의로 개최합니다.
* ’21.6.9.자 보도자료 참고(대국민 식품영양정보 원스톱 서비스 구축 및 활용 지원)
□ 그동안 각 부처마다 식품영양정보 DB*를 생산해왔으나 항목, 표기방식 등이 일부 달라 이를 공공·민간분야에서 활용하려면 추가로 식품영양정보 DB를 가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농식품올바로 메뉴젠 DB),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 수산식품 통합정보시스템),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안전나라 식품영양성분 DB),
○ 이에 민관협의체는 각 부처의 식품영양정보 DB 구축현황 토대로 현장의 요구사항 등을 수렴해 범부처 식품영양정보 표준안*을 마련하고 현장 적합성 등을 검토합니다.
* 식품 및 영양소 표준 명칭, 표준코드, 표준 관리 항목별 정의서 마련
□ 정부는 2022년 2월까지 식품영양정보를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에 따라 가공·처리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에서 오픈API** 형태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 공공기관이 활용도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제공할 때 제공하는 데이터의 묶음에 공통적으로 적용해야하는 기준(행안부 고시)
** 오픈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버스정보·날씨정보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값이 변경되는 데이터를 웹/앱 프로그램 개발 등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 이번에 식품영양정보 DB를 표준화하면 공공부문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생산·수집할 수 있고, 민간부문은 이를 편리하게 결합·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특히, 학교 급식 시스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와 연계하는 등 공공·민간분야 활용 사례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정부 관계자는 “식품영양정보를 수요자 관점에서 지속 발굴해 국민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푸드테크·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등으로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산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아울러 협의체에 참여한 민간위원들도 “식품영양정보를 생산·활용해 식생활 관련 이슈의 실질적 대책과 해결방안을 찾아낸다면 정부 정책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