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세계자연유산 한국의 갯벌, 해양생물다양성도 세계 최고

2021.10.18 해양수산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세계자연유산 한국의 갯벌, 해양생물다양성도 세계 최고

- 서울대 연구팀, 우리나라 갯벌의 해양생물다양성을 입증하는 연구논문 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서울대 김종성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갯벌의 해양생물다양성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하는 연구결과 <해양학·해양생물학 리뷰(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Annual Review: OMBAR)>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1963년 창간된 <해양학·해양생물학 리뷰(OMBAR)>는 해양학 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과 명성을 가진 국제학술지이며, 매년 단 1회 총설논문(리뷰)을 발간하는 해양과학분야 세계 최고 저널 중 하나이다.

 

  이번 논문은 OMBAR 총괄편집장인 스티븐 존 호킨스(Stephen John Hawkins) 교수가 서울대 김종성 교수에게 논문 발표를 요청하여, 한국인 최초로 OMBAR에 발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 또한, 논문은 그간 일부 해역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던 해양생물양성 연구를 한반도 전체 해역(서해 15지역, 남해 10지역, 동해 12지역)으로 확대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김 교수 연구팀은 해양수산부가 2017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는 생태계기반 해양공간분석 및 활용 기술 개발연구(주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참여하여, 우리나라 갯벌의 해양생물다양성 연구를 위해 지난 50년간(1970-2020) 37개 해역에서 출현하거나 서식이 확인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을 전수 조사하고 다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총 1,915(갯벌 약1,000)해양생물(연체동물문 670, 환형동물문 469, 절지동물문 434, 극피동물문 79, 그 외 분류군 263)에 대한 목록과 분포도를 작성하고, 해역과 해양환경의 특성에 따른 해양생물종의 분포와 그 관련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해양생물다양성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입증하는 고무적인 연결과를 제시했다.

 

* 대형저서무척추동물: 한국동물분류학회에서 인정하는 동물은 모두 34개의 문(phylum)으로, 이 중 가장 고등한 동물은 척삭동물 문(phylum Chordata). 척삭동물 가운데 척추(vertebrate)를 가진 척추동물 아문(subphylum Vertebrata;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포함)을 제외한 모든 동물을 무척추(Invertebrate)동물이라 하고, 특히 바다에 서식하는 동물을 해양무척추동물이라고 함. 해양무척추동물은 크기에 따라 초대형(일반 저인망, 망목크기수 cm), 대형(1 mm 이상), 중형(0.1-1 mm), 소형(0.1 mm 이하) 나누며, 갯벌의 대표적인 대형저서무척추동물로는 해면동물, 자포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갯지렁이류), 절지동물(갑각류), 극피동물 등이 있음.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 연안과 전 세계 양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간 비교·검토가 가능해졌다는 점도 요한 시사점이다. 유럽 와덴해 400여 종, 영국 530, 터키 서부연안 685, 태평양 576, 북극전체 2,636종과 비교해 볼 때, 1,915(조간대와 하구의 1,000)의 우리나라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종수는 해양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독보적임이 국제 학계에 최초로 알려진 셈이다.

 

  현재 해양수산부는 한국 고유종이나 국제적 보호가치가 높은 종 등을 보호하기 위해 83종의 해양보호생물(해양 저서무척추동물 34, 포유류 18, 조류 14, 해조·해초류 7, 어류 5, 파충류 5)을 지정?관리하고 있다. 15년 전과 비교했을 때 해양보호생물의 종수가 2배가량 확대된 것도 우수한 한국의 해양생물다양성을 견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로, 김 교수 연구팀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해양생물다양성이 세계적으로 우수하다는 사실을 세계 학계에 꾸준히 발표해 왔다. 2014년에는 고철환 서울대 명예교수와 함께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저널에 한국의 갯벌 특별호를 발간하여 한국 서해 갯벌에 출현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이 총 624종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사회에 최초로 보고한 바 있. 이는 2009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유럽 와덴해 갯벌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 종수(400여 종)보다 높다는 점에서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끌기도 했다.

 

  한편, 이번 논문에서 김 교수는 독도와 우리나라 해역의 영문명을 Dokdo(독도), West Sea(서해), South Sea(남해), East Sea(동해)로 표기했는데, 이는 과학외교 측면에서도 중요한 학문적 성과로 평가된다.

 

김종성 서울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이 해양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앞으로도 한국의 갯벌이 가진 고유하고 독보적인 해양생물다양성과 그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한국의 갯벌의 우수성을 국제사회 및 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은 한국 갯벌이 바다의 탄소흡수원로서의 가치가 크다는 최근 연구성과에 이어, 해양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임이 입증되었다는 것이 매우 고무적이다.”라며, “앞으로 국 갯벌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전 세계인에게 알리고 국제사회에서 정받을 수 있도록 관련 연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양바이오뱅크의 소재 품질, 믿고 사용할 수 있어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