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로 만든 자동화항만, 광양항에서 시작한다
- 광양항“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국내 안정적인 자동화항만 도입과 관련 기술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 (위치/규모) 광양항 3-2단계 컨테이너부두 / 4선석
통상적으로 선박이 항만에 입항하게 되면, 선박에 실려있는 화물들은 부두에서의 하역, 부두에서 적재지역으로의 이송, 적재지역에서의 보관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중국 상해항, 미국 롱비치항, 싱가포르 TUAS항 등 세계 주요 항만들은 이러한 항만에서의 화물운송과정이 모두 자동화된 ’전 영역 자동화항만(Full-Automated Port)‘을 이미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화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국내 항만의 자동화시스템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부산항 신항, 인천신항 등 일부 항만의 적재지역만 자동화되어 있으며, 최근에서야 부두 하역 부분에 자동화 안벽크레인(C/C, Container Crane) 등 자동화장비가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전 영역 자동화항만‘을 안정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을 한국판 뉴딜(‘20.7)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광양항 3-2단계 컨테이너부두 4선석에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6,915억원을 투입하여 자동화 안벽크레인(C/C, Container Crane) 11대, 자동 이송장비(L-AGV, Lift-Automated Guided Vehicle) 44대, 자동 야드크레인(ARMGC, Automated Rail Mounted Gantry Crane) 32대 등 자동화 하역장비를 국내 기술 중심으로 도입하고, 운영건물, 포장, 통신 등 기반시설도 함께 구축하는 사업이다.
또한,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개발되는 관련 신기술과 장비들을 자동화항만과 연계하여 검증할 수 있는 ’신기술 시험검증영역(면적 9만m2)‘도 구축한다.
김창균 해양수산부 항만국장은 “이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은 광양항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주요항만의 자동화 및 스마트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항만경쟁력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 본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은 물론, 관련한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해상물류 스마트화를 가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