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 (12.7.)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12.8(수)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72.7만 회분 도입, 총 1억 35만 회분 도입 예정 |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2월 7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51,353명으로 총 42,733,049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65,123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하여 총 41,410,206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3차(부스터) 접종은 283,796명으로 총 4,242,449명이 3차(부스터) 접종을 받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명, %)
구분 |
전일 누계(A) |
신규 접종(B)1) |
누적 접종(A+B)1) |
인구2)대비 접종률 |
||
18세 이상 |
||||||
1차 |
42,681,696 |
51,353 |
42,733,049 |
83.2 |
93.7 |
|
2차 |
41,345,083 |
65,123 |
41,410,206 |
80.6 |
91.8 |
|
3차(부스터) |
3,958,653 |
283,796 |
4,242,449 |
8.3 |
9.6 |
|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과 ‘2차 접종’ 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부스터)의 경우 3차(부스터) 합계에 추가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명) |
|||||||||
구분 |
전일 누계(A) |
신규 접종(B) |
누적 접종(C=A+B) |
||||||
계 |
1차(a=d+f+i+l) |
42,681,696 |
51,353 |
42,733,049 |
|||||
2차(b=e+g+j+l) |
41,345,083 |
65,123 |
41,410,206 |
||||||
3차(부스터)(c=h+k+m) |
3,958,653 |
283,796 |
4,242,449 |
||||||
AZ1) |
1차(d) |
11,120,559 |
7 |
11,120,566 |
|||||
2차(e) |
11,036,840 |
708 |
11,037,548 |
||||||
교차접종 |
1,770,688 |
624 |
1,771,312 |
||||||
PF |
1차(f) |
23,356,089 |
45,967 |
23,402,056 |
|||||
2차(g) |
22,372,933 |
53,741 |
22,426,674 |
||||||
3차(부스터)(h) |
3,030,273 |
208,852 |
3,239,125 |
||||||
M1) |
1차(i) |
6,704,371 |
5,119 |
6,709,490 |
|||||
2차(j) |
6,434,633 |
10,414 |
6,445,047 |
||||||
교차접종 |
47,530 |
3,978 |
51,508 |
||||||
3차(부스터)(k) |
912,344 |
74,676 |
987,020 |
||||||
J2)(i) |
1차(l) |
1,500,677 |
260 |
1,500,937 |
|||||
2차(부스터)(m) |
16,036 |
268 |
16,304 |
||||||
1)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백신의 경우 AZ-PF, M-PF 교차접종자를 포함시키고, AZ-PF, M-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과 ‘2차 접종’ 합계에 |
□ 12월 7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명, %) |
||||||||
구분 |
인구* (A) |
접종자 현황 |
접종률 |
|||||
1차(B) |
2차(C) |
3차(부스터) (D) |
1차 (B/A) |
2차 (C/A) |
3차(부스터) (D/A) |
|||
계 |
51,349,116 |
42,733,049 |
41,410,206 |
4,242,449 |
83.2 |
80.6 |
8.3 |
|
성별 |
남성 |
25,602,326 |
21,321,449 |
20,629,963 |
2,063,278 |
83.3 |
80.6 |
8.1 |
여성 |
25,746,790 |
21,411,600 |
20,780,243 |
2,179,171 |
83.2 |
80.7 |
8.5 |
|
연령 |
80세 이상 |
2,255,736 |
1,908,074 |
1,866,987 |
1,067,976 |
84.6 |
82.8 |
47.3 |
70-79세 |
3,757,129 |
3,537,379 |
3,502,010 |
1,030,785 |
94.2 |
93.2 |
27.4 |
|
60-69세 |
7,140,703 |
6,850,579 |
6,780,954 |
572,050 |
95.9 |
95.0 |
8.0 |
|
50-59세 |
8,570,076 |
8,260,231 |
8,157,649 |
382,832 |
96.4 |
95.2 |
4.5 |
|
40-49세 |
8,109,221 |
7,556,658 |
7,401,180 |
393,893 |
93.2 |
91.3 |
4.9 |
|
30-39세 |
6,686,639 |
6,096,953 |
5,884,775 |
669,783 |
91.2 |
88.0 |
10.0 |
|
18-29세 |
7,619,756 |
7,164,223 |
6,916,102 |
125,130 |
94.0 |
90.8 |
1.6 |
|
12-17세 |
2,768,836 |
1,358,952 |
900,549 |
- |
49.1 |
32.5 |
- |
|
11세 이하 |
4,441,020 |
- |
- |
- |
- |
- |
-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 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부스터)의 경우 3차(부스터) 합계에 추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2.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12.8.(수)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72.7만 회분이 인천공항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화이자 백신 편명 : KE8518, 도착시간 12.8(수) 11:35
□ 이로써 12월 8일 기준 누적 1억 35만 회분의 백신이 국내 공급된다.
○ 정부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협의 후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12.8.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3분기 |
10.1~12.8 |
12.9~12.31 |
|||
계 |
1억 9,534만 |
1억 35만 |
1,862만 |
5,630만 |
2,543만 |
약 9천 5백만 |
|
화이자 |
6,749만 |
5,460만 |
700.2만 |
3,001.6만 |
1,758.2만 |
||
모더나 |
4,045만 |
2,031.2만 |
11.2만 |
1,376.1만 |
643.9만 |
||
얀센 |
740만 |
292만 |
101.3만 |
50.1만 |
140.6만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000만 |
881.4만 |
1,118.6만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3.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74명, 사망자는 6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957명(치명률 0.8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
재원중 위중증 환자** |
사망누계 |
입원환자*** |
12.6.(월) 0시 기준 |
727 |
3,893 |
681 |
12.7.(화) 0시 기준 |
774 |
3,957 |
716 |
변동 |
(+)47 |
(+)64 |
(+)35 |
* 12.6. 0시부터 12.7.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924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95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82,310명(해외유입 15,924명)이다.
구분 |
합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
검 역 |
국내 |
4,924 |
2,115 |
160 |
129 |
248 |
47 |
118 |
14 |
10 |
1,315 |
108 |
80 |
134 |
74 |
56 |
128 |
128 |
60 |
0 |
해외 |
30 |
5 |
0 |
0 |
3 |
0 |
3 |
0 |
1 |
6 |
1 |
0 |
1 |
0 |
2 |
1 |
1 |
1 |
5 |
합계 |
4,954 |
2,120 |
160 |
129 |
251 |
47 |
121 |
14 |
11 |
1,321 |
109 |
80 |
135 |
74 |
58 |
129 |
129 |
61 |
5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월 7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9명(+3), 국내감염 27명(+9)이 확인되어 총 36명(+12)이라고 밝혔다.
(단위 : 명)
구분 |
해외 |
국내 |
총계 |
신규 |
3* |
9 |
12 |
누계 |
9 |
27 |
36 |
* 남아프리카공화국發 3명
※ 상기 통계는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2월 7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12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92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983.7명), 수도권에서 3,678명(74.7%) 비수도권에서는 1,246명(25.3%)이 발생하였다.
(주간: 12.1.~12.7., 단위: 명) |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2.7.(0시 기준) |
4,924 |
3,678 |
342 |
177 |
257 |
302 |
108 |
60 |
주간 일 평균 |
4,983.7 |
3,832.6 |
340.6 |
148.0 |
216.0 |
302.6 |
113.4 |
30.6 |
주간 총 확진자 수 |
34,886 |
26,828 |
2,384 |
1,036 |
1,512 |
2,118 |
794 |
214 |
주간 발생률* |
9.6 |
14.7 |
6.1 |
2.9 |
4.3 |
3.8 |
7.4 |
4.5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오미크론 변이 관련 사례 현황(12.7. 0시 기준)
4.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주요 질의응답
5. [2판]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6. [2판]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업자용)
7. 접종증명·음성확인제 가이드 포스터 (이용자용)
8. 접종증명·음성확인제 가이드 포스터 (사업자용)
9.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0.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11.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의료기관 유의사항
12.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13.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4.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5.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6.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홍보물
1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특허청,『의료방법 발명 관련 특허법 개정 공청회』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최신 뉴스
- (참고자료)미국 관세유예 시한 임박, 對美 협상 총력 대응 전략 점검
-
이 대통령 "모든 수단 동원, 주식시장 건전화…한국증시 밸류업 속도"
-
이 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통화…방산분야 협력 강화하기로
- (참고) 최저임금위원회, 2025년 제9차 전원회의 개최
- 대통령 주재 수석 보좌관 회의 결과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이재명 대통령, 루터 NATO 사무총장과 첫 통화
-
반드시 알아야 할 전기화재 예방 & 안전수칙
-
내 집이 필요한 순간? 가장 든든한 이름, 집-잇다!
-
청년이 내일을 꿈꾸고 이루는 나라
-
'한-NATO 간 방산협의체' 신설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