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윤종국, 임선빈 씨 인정 예고

40~60년 경력의 북 제작 장인… 제작 기량 확인 후 소리도 평가

2022.08.09 문화재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북 제작 보유자로 윤종국(尹鍾國, 남, 1961년생, 경기도 구리시), 임선빈(任善彬, 남, 1950년생, 경기도 안양시) 씨를 인정 예고하였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핵심 기·예능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으로 나뉘어진다.
  * 편종(編鐘): 동 합금으로 제작된 종 형태의 궁중제례악에서 연주되는 아악기
  * 편경(編磬): 경석으로 제작된 ‘ㄱ’자 형태의 궁중제례악에서 연주되는 아악기


  고구려의 벽화 등을 통해 악기를 만드는 장인이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에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이라는 독립된 기관을 설치하여 국가에서 필요한 악기를 제작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국악기는 약 60~70종으로, 가야금과 거문고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북 제작 보유자 지정을 위해 2020년 공모 후 서면심사를 거쳐 2022년 6월 현장조사를 실시해 북 제작의 핵심 기능인 북메우기, 통만들기, 가죽다루기 등의 기량을 확인했으며, 완성된 악기를 국악원에서 국악인이 직접 연주해 그 소리의 우수성도 별도로 평가하였다.
  * 북메우기: 가죽을 적당하게 늘이고 팽팽하게 북통에 조이는 기술
  * 통만들기: 둥근 테를 이용하여 북 쪽을 세워 북틀을 만드는 기술
  * 가죽다루기: 가죽의 선별 및 가공 능력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북 제작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윤종국 씨는 증조부 때부터 4대째 북 제작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장인이다.
국가무형문화재 북 제작 보유자였던 고(故) 윤덕진(尹德珍, 남, 1926년생)으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 받아 약 40여년 동안 북 메우기 기술을 연마하였고, 1995년에 북 제작 전승교육사로 인정된 상태이다.


  임선빈 씨는 1999년 ‘경기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받았으며 현재까지 약 60여년의 기간 동안 북 제작 기술을 연마하였다. 특히, 2018년 제12회 평창 동계패럴림픽 개회식에서 사용한 대고를 제작한 후 기증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대고(大鼓): 나무나 금속으로 된 테에 가죽을 메우고 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내는 북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는 북 제작 1인, 현악기 제작 1인, 편종·편경 제작 1인으로 총 3명이며, 이번 인정조사를 통해 2명이 ‘악기장’ 북 제작 보유자로 새롭게 추가 인정 예고됨에 따라 향후 전승 현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윤종국, 임선빈 씨에 대해서 30일 이상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어렵고 취약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의 전통기술을 전승하는 장인들을 발굴하고, 전승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1-1 악기장(북 제작) 보유자 인정 예고_윤종국 씨(통만들기).jpeg

< 악기장(북 제작) 보유자 인정 예고_윤종국 씨 >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8.9.)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