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높이 10M 넘는 대형 괘불도, 안방에서 생생하게 감상한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보?보물 괘불도 47점 고화질 사진 서비스 개시(9.18.~)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국보 · 보물로 지정된 괘불도(掛佛圖) 47점의 고화질 사진을 9월 18일부터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한국의 괘불 갤러리’ 메뉴에서 공개한다.
괘불도는 야외에서 거행되는 영산재(靈山齋), 천도재(薦度齋) 등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불화로, 부처님이 설법하는 장면을 대형 화폭에 그린 것으로 높이 10m가 넘는 것들도 많다. 웅장한 크기와 화려한 색채, 정교한 묘사가 특징인 괘불도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소중한 문화유산임에도 압도적인 크기 때문에 국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볼 수 없었다.
이번에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괘불도 고화질 사진은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원, (사)성보문화재연구원이 함께 추진 중인 대형불화(괘불도) 정밀조사 사업(2015~2024년)을 위해 촬영한 것으로, 국보 · 보물로 지정된 괘불도 전체 62점 중 조사가 완료된 「죽림사 세존 괘불탱(竹林寺 世尊 掛佛幀)」 등 총 47점(국보 6건, 보물 41건)의 고화질 사진이 최초 공개된다.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의 ‘한국의 괘불 갤러리’ 에서 공개되는 사진들은 최소 3,000만 화소에서 최대 6,000만 화소의 고화질 자료로, 모든 사진은내려받기가 제한되는 대신 그동안 가까이 보기 힘들었던 조선시대 화승들의정교한 필치와 섬세하게 그려놓은 아름다운 문양 표현들을 세밀하게 확대하여 자세하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불화 연구자들을 위해 괘불도의 조성 기록인 화기(畵記) 정보를 함께 수록하였으며, 불화가 낯선 일반인들을 위해서 그림 속에 등장하는 여러 권속(眷屬)들을 부르는 명칭을 말풍선 설명 기능으로 제공하였다.
2024년까지 예정되어 있는 문화재청의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 일정에 따라 이번에 1차로 공개된 47점 이외에 나머지 15점의 고화질 사진도 조사가 완료 되는대로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 화기(畵記) : 불화의 제작 연도와 제작에 참여한 승려들, 시주자들의 이름을 기록한 것으로. 그림 하단에 적어놓았다.
* 권속(眷屬) : 주존(主尊)인 부처의 주변에서 설법을 듣는 무리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고화질 괘불도 사진의 공개가 괘불이 가진 아름다운 예술적 가치를 세계인들과 함께 감상하고 즐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학술 정보와 연구 자료들을 디지털 자료로 구축하여, 국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RICH; General Director Kim Yeonsoo),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will be offering high-resolution images of gwaebul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s) designated as treasures or national treasures to the public through the NRICH Research Portal (https://portal.nrich.go.kr) starting September 18.
These high-resolution images being made available online were created as part of the “In-depth Research Project of Large Buddhist Paintings (20152024)” being undertaken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NRICH,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The NRICH Research Portal is releasing photos of the forty-seven gwaebul paintings that have been already investigated, including the example at Jungnimsa Temple (Shakyamuni Buddha), from among the sixty-two gwaebul paintings designated as treasures or national treasures.
The term ‘gwaebul’ refers to Buddhist paintings produced for use during large-scale outdoor Buddhist rituals. They are over ten meters high and typically depict a scene of the Buddha preaching. These gwaebul paintings marked by their massive sizes, brilliant colors, and delicate depictions have no parallels anywhere else in the world and make up part of the invalua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However, due to their overwhelming sizes, these paintings have not been easy to access by the public.
The images available in the ‘Gwaebul of Korea’ gallery on the NRICH Research Portal are high resolution ranging between 30 and 60 million pixels. Although downloading the images is prohibited, the NRICH Research Portal allows users to examine previously inaccessible details of the paintings by zooming in on them. The zoom function enables users to appreciate the beautiful, detailed designs and exquisite brushwork applied by skillful monk-painters of the Joseon Dynasty. The NRICH Research Portal also provides information to interested researchers on the inscriptions on the paintings regarding their production. Moreover, visitors to the portal who may be relatively unfamiliar with Buddhist paintings can learn the names of the Buddha’s many followers depicted in the paintings by using the word ballo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for the “In-depth Research Project of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s (20152024),” the NRICH Research Portal is planning to upload additional high-resolution images of the remaining gwaebul paintings designated as treasures or national treasures.
This portal allowing easy access to high-resolution images of gwaebul paintings invites everyone to observe the artistic value of these beautiful paintings with their own eyes. It is hoped that it will provide an ample opportunity for the global community to enjoy and appreciate the treasured cultural heritage of Korea.
To meet the needs of the digital era, the NRICH will continue to digitalize a wide variety of scholarly information and research materials and fully engage in facilitating their accessibility.
<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_한국의 갤러리 고화질 서비스 화면 >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칠백의총관리소, 미취학 어린이 대상 교육 「안녕, 칠백의총」 운영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비쿠폰 2차 지급, 저도 받을 수 있나요?"…문답으로 알려드려요
-
국민 90%에 '소비쿠폰' 10만 원 추가 지급…22일부터 신청 개시
-
취임 100일 이 대통령 "남은 4년 9개월은 '도약과 성장의 시간'"
-
인사처, 공무원 당직 개선…인공지능 활용 등 모색
-
김 총리 "대한민국 정상화 알리고 국격 높이는 K-APEC 만들 것"
-
'회복과 정상화'의 100일 이젠 도약과 성장의 시간!
-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공급…"물가안정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9월 '심뇌혈관질환 주요 증상과 고위험군을 위한 예방법'
-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세계 선도 대한민국 만들 것"
-
이 대통령, 세종 첫 국무회의…"집무실·의사당 건립 차질 없이 추진"
최신 뉴스
- 제42차 국무회의 결과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노동부 "입국단계별 조치 통해 고용허가제 한국어시험 부정행위 차단"
- 노동부 "산업안전투자·예방조치 촉진토록 경제적 제재 방안 마련"
- 산림청, 300개 마을을 소각 산불 없는 우수 녹색마을로 선정
- 산림청, 아시아 15개국과 기후 위기 대응 협력 방안 논의
-
산재보상 국가책임 실현…"2030년까지 사고사망 1만명당 0.29명"
- 2025년 산림분야 빅데이터AI 활용 창업경진대회 시상식 개최
- 청소년과 국민이 함께하는 산림복지 체험의 장 열려
- 고성능 임업기계장비 산림사업 안전사고 줄이는 최선봉에 선다!
- 기후 위기 앞에 선 숲, 국민과 함께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