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산업통상자원부 23년 예산 11조 737억원 확정 |
- 22년 본예산(11조 1,571억원) 대비 △0.7% (△834억원) 감소 - 첨단·주력산업 육성 및 고도화, 에너지 안보·복지·안전 강화,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의 「2023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12월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되었다.
ㅇ 내년도 산업부 예산 및 기금 규모는 총 11조 737억원으로, 국회 심의 과정에서 ‘23년 정부안 10조 7,437억원 대비 3,354억원이 증액, △55억원이 감액되어 3,300억원 순증되었다.
* 예산: (‘22) 8조 632억원 → (’23) 8조 4,472억원 (+3,841억원, +4.8%)
기금: (‘22) 3조 939억원 → (’23) 2조 6,264억원 (△4,675억원, △15.1%)
ㅇ 내년 예산은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 下 올해 본예산 대비 △0.7% 감소하였으나, 내년도 경제활력 회복을 뒷받침하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국정과제와 미래 핵심전략기술에 대한 R&D 투자 등은 확대하였다.
* 비R&D: (‘22) 5조 8,323억원 → (’23) 5조 6,413억원 (△1,910억원, △3.3%)
R&D: (’22) 5조 3,248억원 → (‘23) 5조 4,324억원 (+1,076억원, +2.0%)
< 산업통상자원부 예산 추이(본예산 기준, 억원) >
□ 내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의 중점 투자분야 및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첨단·주력산업 육성 및 고도화를 통한 산업의 대전환 가속화 |
(첨단산업) 글로벌 시장에서 속도 경쟁에 대응하고 선도적 위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전적 기술개발, 인프라 등 기반구축 투자 확대
ㅇ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위해 용인·평택 반도체 특화단지의 필수 인프라 설비투자,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 및 현장맞춤형 인력양성 등을 지원
* 평택반도체특화단지기반시설특별지원(신규): (‘23) 500억원
* 용인반도체특화단지기반시설특별지원(신규): (‘23) 500억원
* 시스템반도체기업성장환경조성: (‘22) 56억원 → (’23) 64억원
* 전략제품창출글로벌K-팹리스육성기술개발(R&D): (‘22) 73억원 → (’23) 215억원
* 민관공동투자반도체고급인력양성(R&D)(신규): (‘23) 100억원
ㅇ 이차전지 산업 혁신을 위한 상용화 및 첨단기술 개발 지원, 바이오·나노, 로봇·항공 등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한 지원 추진
* 차세대이차전지상용화지원센터: (‘22) 30억원 → (’23) 97억원
* 이차전지육성거점센터구축지원(신규): (‘23) 15억원
* mRNA백신실증지원기반구축: (‘22) 14억원 → (’23) 56억원
* 서비스로봇용전자융합부품Agile제조실증기반구축(신규): (‘23) 25억원
(주력산업)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과 신산업 창출을 위해 친환경·자율차 기술개발과 함께 부품기업의 사업재편과 인력전환 등 지원
* 자동차산업기술개발(R&D): (‘22) 2,007억원 → (’23) 2,345억원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22) 362억원 → (’23) 469억원
* 자동차산업고용위기극복지원: (‘22) 43억원 → (’23) 65억원
ㅇ 조선 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스마트·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실증·건조 플랫폼 기반구축 지원 등 제조 생산성 혁신 추진
* 친환경선박전주기핵심기술개발(R&D): (‘22) 34억원 → (’23) 181억원
* 조선해양철의장제조산업디지털전환(IDX)지원사업(신규): (‘23) 12억원
ㅇ 철강, 화학, 시멘트,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요 업종의 탄소배출 공정을 탄소중립 공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실증 사업 신규 추진
*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R&D)(신규): (’23) 410억원
(소부장)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소재·부품의 수입선 다변화 및 해외의존도 완화,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소재 기술자립,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 지원
ㅇ 아울러, 공급망 심층분석을 통한 조기경보 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컨설팅 지원 등 체계적인 공급망 위기대응을 위해 신규 예산 편성·지원
* 소재부품기술개발(R&D): (‘22) 8,410억원 → (’23) 9,376억원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R&D): (‘22) 1,842억원 → (’23) 1,864억원
* 소부장공급망안정종합지원(신규): (‘23) 16억원
(지역발전) 산업단지의 디지털화, 저탄소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및 안전강화 등을 통해 혁신적이고 역동적인 새로운 산업공간으로 전환 지원
ㅇ 지역특성을 고려한 산업역량 강화 지원과 함께, 지역혁신 클러스터 육성, 기업의 지방 신규투자 지원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 도모
* 산업단지환경조성: (‘22) 3,261억원 → (’23) 3,087억원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22) 1,534억원 → (’23) 1,527억원
* 지역투자촉진: (‘22) 1,881억원 → (’23) 1,998억원
*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관련 지원: (‘22) 875억원 → (’23) 929억원
에너지안보 강화, 新산업 창출 등을 통한 튼튼한 에너지시스템 구현(22) 4조 5,248억원 → (23) 4조 3,490억원 (△1,758억원, △3.9%) |
(원전) 원자력 산업의 생태계 복원과 수출 경쟁력 강화, 미래 유망기술 확보와 기반 구축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새로운 일감 적극창출 추진
ㅇ 한국원전의 해외홍보 및 수주지원, 퇴·재직자 역량강화 등 인력양성 지원, 원전 안전성 향상지원 및 방폐물 처분시설 건설 지원
ㅇ 미래 유망산업인 소형모듈원자로(SMR), 원전해체 등 차세대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경쟁력 확보 지원
* 전력해외진출지원사업: (‘22) 41억원 → (’23) 77억원
* 원자력생태계지원사업: (‘22) 65억원 → (’23) 89억원
*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기술개발사업(R&D)(신규): (‘23) 39억원
* 원전해체경쟁력강화기술개발사업(R&D)(신규): (‘23) 337억원
(에너지안보)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위해 비축·도입·국산화 등 자원 공급망을 강화하고 수급위기 대응역량 제고
ㅇ 석유·광물 등 수급차질 대비 비축확대, 국내외 자원개발 등을 통한 도입선 다변화, 청정수소 생산·도입, 유통구조 시스템 고도화 등 지원
* 석유비축사업출자: (‘22) 382억원 → (’23) 673억원
* 한국광해광업공단출자: (‘22) 112억원 → (’23) 372억원
* 해외청정수소암모니아생산및도입기반구축(신규) : (‘23) 40억원
(에너지 복지·안전) 에너지 취약계층의 에너지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 규모 및 단가 대폭 확대, 노후변압기 교체 지원 등 추진
바우처 지원단가(가구당): (‘22 본예산 기준) 12.7만원 → (’22 추경) 18.5만원 → (‘23) 19.5만원
* 에너지바우처: (‘22) 1,389억원 → (’23) 1,910억원
* 노후변압기교체지원: (‘22) 15억원 → (’23) 33억원
ㅇ 광산재해 예방을 위한 광산안전 시설·장비 확충, 가스·석유·수소·전기설비 등 에너지시설 안전관리 및 기술개발 지원
* 일반광업육성지원: (‘22) 150억원 → (’23) 234억원
* 전기설비안전기반구축: (‘22) 7억원 → (’23) 15억원
(효율향상 및 저탄소전환) 에너지 저소비·고효율 구조 전환을 위해 에너지효율시장 조성 및 저소득층의 고효율가전 구매를 지원하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캐쉬백 사업 도입
* 전력효율향상: (‘22) 415억원 → (’23) 518억원
* 에너지진단보조: (‘22) 94억원 → (’23) 149억원
ㅇ 아울러, 재생·수소·전력 등 에너지 유망 신산업 기술개발, 청정수소 시험평가 등 지원
* 해상풍력산업지원: (‘22) 74억원 → (’23) 165억원
* 수소산업진흥기반구축사업: (‘22) 51억원 → (’23) 82억원
수출·투자 확대 및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추진 |
(수출·투자확대) 러-우 전쟁 장기화, 공급망 재편, 주요국 금리인상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 수출실적을 달성한 22년의 수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역리스크 대응, 수출저변 확대 및 해외마케팅 등 총력 지원
ㅇ우리 기업의 수출판로 개척을 위한 해외전시회 참가, 수출상담회 개최 지원,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한 물류 애로 해소 등 추진
ㅇ 글로벌 첨단기업의 외국인투자와 유턴을 지원하여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고용확대와 지역발전을 추진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2) 2,991억원 → (’23) 3,029억원
* 투자유치기반조성: (‘22) 1,475억원 → (’23) 1,569억원
(통상·협력) 한·미, 한·EU 등 양자 통상채널을 통한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적극 대응 및 국가별 맞춤형 협력 추진
ㅇ WTO 통상분쟁·수입규제 등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IPEF(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디지털통상, 탄소중립, 환경 등 新통상 규범 논의를 주도
* 통상기반조성및역량강화: (‘22) 22억원 → (’23) 25억원
* 통상분쟁대응: (‘22) 232억원 → (’23) 229억원
(부산엑스포)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를 위해 BIE(국제박람회기구) 대상 전방위적인 교섭·홍보활동 지원
* 부산엑스포유치지원: (‘22) 170억원 → (’23) 254억원
□ 산업부는 내년도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등 우리 경제·산업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연초부터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여 대내외 리스크에 총력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ㅇ 한편, 기획재정부가 관리·운용하는 기후기금의 23년 산업부 소관사업은 ‘22년 5,914억원 대비 918억원(+15.5%) 증가한 6,832억원으로, 탄소중립형 산업단지 환경조성 등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수소버스 보급 확대, 사업재편 탄소중립 기술개발 등 탄소중립 기반구축,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 등 공정한 전환 등의 사업을 중점 지원한다(기후기금은 산업부 총지출에서 제외).
담당 부서 |
정책기획관 |
책임자 |
과 장 |
배준형 |
(044-203-5520) |
<총괄> |
기획재정담당관 |
담당자 |
서기관 |
김혜원 |
(044-203-5525) |
|
|
주무관 |
조정웅 |
(044-203-5522) |
|
주무관 |
이진구 |
(044-203-5514) |
|||
|
|
주무관 |
강민구 |
(044-203-5517) |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전북 남원시 육용오리 농장 조류인플루엔자 H5형 항원 검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최신 뉴스
-
건설경기 회복·서민 주거안정 추경 확정…1조 9000억 원 규모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고용안전망 보강·청년일자리 지원 등 추경 확정…1조 5837억 원
-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5% 상승
- 농식품부, 제44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총회 참석
-
취약계층·소상공인 채무부담 완화 등 1조 1000억 원 추경 확정
-
산업부 추경 4456억원 확정…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바로 시행
- 제29회 임시국무회의 브리핑
-
새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이 대통령 "하루라도 빨리 집행"
- 행안부-지자체, 재해예방사업 추진 속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