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수출입 동향 |
- 수출 522억 달러(△15.2%), 수입 543억 달러(△14.0%), 무역수지 21억 달러 적자
- 무역적자 규모는 1월 이후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 |
【총괄】’23.5월 수출은 전년비 15.2% 감소한 522.4억 달러, 수입은 14.0%
감소한 543.4억 달러를 기록했며, 무역수지는 21.0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5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1.5일), 계속되는 IT업황 부진, 작년
5월 수출이 역대 月 기준 2위 실적(616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逆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전월보다 조업일수는 감소(△1.0일)했음에도 불구, 전체 수출규모는 증가하였으며,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24억 달러대를 회복하였다.
* 일평균 수출(억 달러) : (‘23.1월)21.6 → (2월)22.7 → (3월)22.9 → (4월)22.0 → (5월)24.3
【품목별 수출】자동차(+49.4%), 일반기계(+1.6%), 양극재(+17.3%) 수출은
증가했으나,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36.2%)와 석유제품(△33.2%)·석유화학(△26.3%) 수출은 전년비 단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주요 15대 품목 가운데 이차전지(△4.9%)·차부품(△0.7%) 등도 수출이 감소했으나, 조업일수 영향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비 증가하였다.
【지역별 수출】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주요 6대 지역 수출은 모두 감소하였다. ’23.5월 對美·EU 수출 감소에는 전년 5월의 높은 수출실적이 逆기저효과로 작용하였다. 중국·아세안의 경우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영향으로 중국·베트남(아세안 내 최대 무역국)의 對세계 수입이 감소하고 있는 점도 우리 對中·아세안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만, 5월 對中 수출은 100억 달러대를 회복했으며, 일평균 수출(4.94억 달러)도 지난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 對세계 수입증감률(‘23.3월→4월, %, WTO) : (중국)△1.4→△7.9, (베트남)△13.2→△23.1
【수입】한편, ’23년 5월 수입은 원유(△16.2%), 가스(△20.2%), 석탄(△35.1%) 등 에너지(△20.6%)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14.0% 감소하였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 철강 등 원부자재 수입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무역수지】’23년 5월 무역수지는
21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 1월 이후 계속해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
|
【 ‘22.1월 이후 월별 수지(억달러) 】 |
|
|
【주요국 상황】최근 수출 감소는 일본·대만을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본은 ’22년 4월 이후 12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동기간 대규모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IT 수출 비중이 높은 대만은 반도체 업황 부진 등의 여파로 지난 4월 수출이 △13.3% 감소했다.
* 일본 수출증감률(WTO, %) : (’22.12월)△5.9 → (‘23.1월)△8.9 → (2월)△7.8 → (3월)△7.5
* 대만 수출증감률(%, 臺 통계청) : (’23.1월)△21.2 → (2월)△17.1 → (3월)△19.1 → (4월)△13.3
【정책방향】정부는 수출위기 극복과 수지개선을 위해 「국가첨단산업육성
전략」 수립,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 공제율 상향, 세일즈 정상외교 등을 추진해 왔다. 앞으로도 범정부 역량을 총결집하여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유망품목 수출의 밀착 지원, 중국 내 프리미엄 소비재 전시회 참가, 신성장 제조업 마케팅 등을 집중 지원하고자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우리 수출의 안정적인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품목의 고부가가치화·다변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산업부는 조속한 시일 내 무역흑자 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6월에도 「제3차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 디지털무역 간담회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ㅇ 본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와 무역통계(무역협회)를 기초로 2023년 5월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으로, 5.31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ㅇ 전체 수출입 실적과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MTI 기준)은 연간 통계 확정 시
(2024.2월)까지 정정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