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한다!

2023.12.04 특허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한다!

 

-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분야 특허 출원 증가율, 한국이 51.3%로 세계 1위 -
- 삼성전자 1위, 삼성디스플레이 4위 등 10위 내 한국 출원인 4개로 최다 -

 

# 양자점(Quantum Dot)은 크기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지름 2~10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으로, 광안정성과 색순도가 높고, 밝기와 소비전력이 우수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바이오 감지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23년 노벨화학상이 양자점을 발견하고 합성한 화학자들에게 돌아간 것만 보아도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 양자점 소재 시장*은 ’23년부터 연평균 12.3% 성장해 ’34년 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가장 큰 활용 분야인 양자점 디스플레이 시장**은 ’22년 40억 달러에서 연평균 12.4% 성장해 ’30년에 101.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IDTechEx, “Quantum Dot Materials and Technologies 2024-2034: Trends, Markets, Applications”, 2023.08.

** Virtue Market Research, “QLED/QD-OLED display market research report”, 2023.07.

 

# 지난 2006년, 유럽연합(EU)에서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을 제한한* 이후 관련 업계는 카드뮴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양자점을 주요 개발방향으로 삼고 있다. 청색 양자점은 적색, 녹색 양자점에 비해 효율, 수명이 떨어지며, 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주요 화두이다.

* 유럽연합(EU) 전기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 :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 전기전자제품 내 카드뮴, 납, 수은 등 유해물질 함유량을 제한한 유럽연합(EU) 규정으로 2006년 발효

**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주입 전자량 대비 방출 및 변환된 광자량이 많고, 수명이 길며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청색을 발산하는 지름 2nm 이하의 반도체 결정체

 
 

최근 10년(’12년~’21년) 사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소재로 분류되는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의 전 세계 특허출원은 연평균 27.8%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특허출원은 연평균 51.3% 증가해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기술 개발은 대한민국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특허출원, 최근 10년간 연평균 27.8% 성장> [붙임1]

 

특허청(청장 이인실)이 주요국 특허청(IP5: 한, 미, 유럽연합, 일, 중)에 출원된 전 세계 특허를 분석한 결과,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출원량은 ’12년 13건에서 최근 10년 사이(’12년~’21년) 연평균 27.8% 성장해 ’21년에는 118건에 달했다. 특히 129건이 출원된 전기 5년(’12년~’16년) 대비 후기 5년(’17년~’21년)에는 752건의 특허가 출원되어 약 5.8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연평균 51.3% 증가로 세계 1위, 출원량도 47.6%로 1위> [붙임1]

 

출원인 국적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출원증가 속도는 연평균 51.3%로 세계에서 가장 빨랐으며, 중국이 연평균 40.3% 성장세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출원량은 1위한국이 47.6%(419건)로 가장 많은 출원을 했고, 2위중국 26.2%(231건), 3위미국 14.4%(127건), 4위일본 5.8%(51건), 5위유럽 5.2%(46건) 순이었으며, 등록특허 순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주요 출원인 10위 내 한국 출원인이 4개로 최다 차지> [붙임2]

 

주요 출원인으로는 1위삼성전자(한국)가 32.7%(288건)로 가장 많이 출원했으며, 2위티시엘(TCL)(중국) 14.8%(130건), 3위나노시스(미국) 10.7%(94건), 4위삼성디스플레이(한국) 4.1%(36건), 5위나노코 테크(영국) 4.0%(35건) 등이 뒤를 이었다. 10위권 내 다출원인으로 한국의 9위홍익대학교(1.5%, 13건), 10위동우화인켐(1.2%, 11건)이 올라와 한국 출원인이 4개로 최다를 차지하고 있다.

 

등록특허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삼성전자(29.7%, 123건)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5위홍익대학교(2.4%, 10건), 6위삼성디스플레이(2.2%, 9건), 6위동우화인켐(2.2%, 9건), 9위울산과학기술원(1.7%, 7건) 총 5개가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기술, 특허기술 성장단계 중 2단계인 성장단계> [붙임3]

 

분석 대상 기간을 4구간으로 구분하여 출원인수 및 출원건수를 양축으로 변화를 살펴보면 특허기술 성장단계*를 파악할 수 있는데,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 기술은 전체 및 주요국 각각에서 2단계인 성장단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특허기술 성장단계: 1단계(태동)-2단계(성장)-3단계(성숙)-4단계(쇠퇴)-5단계(회복)

 

특허청 허영한 반도체소재심사팀장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고효율 친환경 청색 양자점에 대한 양질의 특허 획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탄소중립, 환경 보호라는 시대 흐름에 맞춰 우리 기업이 고효율 친환경 디스플레이용 신소재를 개발하여 시장을 선점해 나갈 수 있도록 고품질의 심사뿐만 아니라 관련 특허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인도네시아에서 교민 대상 불법 아이피티브이 ‘TVOOO’ 운영한 조직 검거, 서비스 중단시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