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4. 6. 1.(토) 11:00 |
배포 |
2024. 6. 1.(월) |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 |
- 수출 8개월 연속 플러스…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IT 전 품목 수출 3개월 연속 증가…대중국 수출 19개월 만에 최대 실적 - 무역수지, 1년 연속 흑자 달성…총 327억 달러 흑자규모 달성 - 수출 581억 달러(+11.7%), 수입 532억 달러(△2.0%), 무역수지 +50억 달러 흑자 |
【총괄】’24.5월 수출은 전년대비 +11.7% 증가한 581.5억 달러, 수입은 △2.0% 감소한 531.9억 달러, 무역수지는 +49.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5월 수출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한 581.5억 달러(+11.7%)로 8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특히 5월 수출액은 ‘22.7월(602.4억 달러)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 실적이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6.4억 달러(+9.2%)로 ’22.9월(26.6억 달러)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 전체 수출액 추이 및 증감률 (억 달러, 전년비 %) :
’24.1월 548(+18.2) → 2월 524(+4.8) → 3월 566(+3.1) → 4월 563(+13.8) → 5월 581(+11.7)
* 일평균 수출액 추이 및 증감률 (억 달러, 전년비 %) :
’24.1월 22.8(+5.9) → 2월 25.6(+12.5) → 3월 25.1(+9.9) → 4월 24.5(+11.3) → 5월 26.4(+9.2)
【품목별 수출】5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1개 수출이 증가하였다.
* 5월 품목별 수출상황: (증가)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무선통신, 석유화학, 자동차, 석유제품, 선박, 바이오헬스, 가전, 섬유, (감소)일반기계, 철강, 차부품, 이차전지
IT 전 품목(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이 3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으며, 합산 수출액도 7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54.5% 증가한 113.8억 달러로 7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으며, 올해 3월(116.7억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110억 달러를 넘어섰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6.3억 달러(+15.8%)로 올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하면서 10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한편 컴퓨터SSD 수출은 ‘22.12월(10.5억 달러) 이후 17개월 만에 최대실적인 10.4억 달러(+48.4%)를 기록하며 5개월 연속, 무선통신기기(+9.4%) 수출은 3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 IT품목 수출증감률(%):’23.11월+8.4→12월+13.6→‘24.1월+36.1→2월+46.2→3월+30.2→4월+46.6→5월+44.1
* 반도체 수출증감률(%):’23.11월+12.9→12월+21.7→‘24.1월+56.2→2월+66.7→3월+35.7→4월+56.1→5월+54.5
자동차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치인 64.9억 달러(+4.8%)로 올해 설 연휴가 포함된 2월을 제외하고 매월 60억 달러 이상의 호실적을 기록 중이다. 선박 수출은 20.6억 달러(+108.4%)로 세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10개월 연속, 바이오헬스 수출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18.7%)을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한편 석유제품(+8.4%)은 3개월 연속, 가전(+7.0%), 석유화학(+7.4%), 섬유(+1.6%) 수출은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 자동차 수출액(억 달러) : ‘24.1월 62.1 → 2월 51.5 → 3월 61.7 → 4월 67.9 → 5월 64.9
【지역별 수출】5월에는 9대 주요 수출지역 중 7개 지역 수출이 증가하였다.
* 5월 지역별 수출상황: (증가)중국, 미국, 아세안, 중남미, 일본, 인도, 중동, (감소)EU, CIS
대(對)중국 수출은 ‘22.10월(122억 달러)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실적인 113.8억 달러(+7.6%)를 기록하였다. 특히, 올해는 2월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일평균 수출도 작년 12월부터 6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대(對)미국 수출은 역대 5월중 최대 수출실적인 109.3억 달러(+15.6%)를 기록하면서 10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한편, 대중남미 수출은 9개 주요 지역 중 가장 높은 증가율(+25.5%)을 보이며 5개월 연속, 아세안(+21.9%), 일본(+2.4%), 인도(+24.8%), 중동(+2.2%)는 각각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 대중국 수출(억 달러, %) :'24.1월107(+16%)→2월96(△2%)→3월105(+0.3%)→4월105(+10%)→5월114(+8%)
- 일평균 수출 증감률(%) : (‘23.12)+5.6→(’24.1)+4.1→(2)+4.7→(3)+7.0→(4)+7.5→(5)+5.1
* 역대 5월 對美 수출(억 달러) : (1위)109.3('24년) → (2위)96.2('22년) → (3위)94.6('23년)
【수입】5월 수입은 531.9억 달러로 △2.0% 감소하였다. 에너지 수입액은 117.0억 달러로 원유(+6.7%), 가스(+7.1%) 수입 증가로 총 +0.3% 증가하였다.
【무역수지】5월 무역수지는 전년 동기 대비 +71.5억 달러 개선된 +49.6억 달러 흑자로 ‘20.12월(+67억 달러) 이후 41개월 만에 최대 흑자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12개월 연속 흑자로 총 327억 달러 누적 흑자규모를 달성했으며, 올해 1~5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430억 달러 개선된 +155억 달러 누적 흑자를 기록했다.
* 무역수지 및 개선폭(억 달러) : ‘24.1월4(+131)→2월43(+97)→3월43(+90)→4월15(+40)→5월50(+72)
* 1~5월 무역수지 규모(억 달러) : ‘20+72→‘21+130→‘22△84→‘23△275→‘24+155(+430)
【평가 및 정책방향】5월 수출 성과는 수출기업과 대통령 이하 정부 부처, 수출지원기관이 함께 「수출 원팀 코리아」로서 힘써온 결과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월 수출은 581억 달러로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8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고 강조하고,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6.4억 달러로 ‘22.9월(26.6억 달러)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치를 달성하면서 강건한 수출 우상향 모멘텀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무역수지가 1년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하며, “①우리 수출산업의 경쟁력, 즉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②수출이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경제성장을 최전선에서 견인(순수출 성장 기여율 46~167%)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수출이 연말까지 우상향 흐름을 지속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도 모든 가용한 역량을 집중하여 민관 원팀으로 총력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GDP 성장률 및 순수출 성장기여도(전기比 %, 계절조정, 한은)
- GDP 성장률(%) : ‘23.3Q +0.6 → 4Q +0.6 → ’24.1Q +1.3
- 순수출 기여도(기여율, %) : ‘23.3Q +0.5(+83.3) → 4Q +1.0(+166.7) → ’24.1Q +0.6(+46.2)
이를 위해 “△산업부・기재부 등 범부처 합동으로 수출 추가지원방안을 조속히 마련하여, ①금융・마케팅・인증 등 지원 확대, ②업종별 수출 경쟁력 강화, ③기업특성별 맞춤형 지원 등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한편, △수출현장 지원단을 중심으로 우리 수출기업의 현장애로를 즉각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해상물류 운임비의 가파른 상승에 선제 대응하여 컨틴전시 플랜을 2단계로 격상하고 ①하반기 수출바우처 조기시행과 ②중소기업 전용 선복 추가 지원을 추진하는 등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외 여건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철저히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 본 보도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4년 5월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으로 5월 31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 수출입 실적과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은 연간통계 확정 시(’25.2월)까지 정정 가능 |
담당 부서 |
무역정책관실 |
책임자 |
과 장 |
이창훈 |
(044-203-4040) |
|
수출입과 |
담당자 |
사무관 |
여수항 |
(044-203-4043) |
||
사무관 |
홍승범 |
(044-203-4042) |
||||
주무관 |
강유라 |
(044-203-4047) |
||||
주무관 |
김지운 |
(044-203-4048) |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13차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5.31) 결과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가입으로 전화금융사기 걱정 끝!
-
5월엔 바다로 가자!…숙박·레저·관광 등 할인 혜택 제공
-
지방 저가주택 취득세 중과 기준 완화…1억 원 → 2억 원으로
-
'한미 2+2 통상협의' 24일 저녁 9시…한 권한대행 "국익 최우선"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평생교육이용권' 11만 5000명 지원…연간 35만 원, 24일부터 접수
-
6년차 예비군 인터넷 원격교육 첫 시행…개인 휴대폰·PC 등 활용
-
결혼·출산하면 청약 혜택 꽃길!
-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북 도발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
-
유류세 '한시적 인하' 2개월 더 연장…인하 폭은 일부 축소
최신 뉴스
- 라이콘(LICORN)을 향한 열띤 경쟁, 강한 소상공인 2025년 1차 오디션 개최
- 5월 동행축제 개막! 소상공인 대표 제품 특별할인 나선다
- 2025년도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신규 지정 공모
- 생식기능 손상 우려가 있는 남녀에게 난자정자 냉동 지원사업 시행
- 마을택시 화물운송, 전세버스 복합운송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규제 해소
- 전국 농협 '현금 및 상품권 봉투' 원산지 공익광고 홍보
- 샤인머스캣, 호주 수출 청신호가 왔다!
- '동물용 백신, 원료부터 꼼꼼히 본다!' 검역본부, 지침서(가이드라인) 발간
- 전통식품 품질인증품, 홍보관 운영
- 해외건설 도전은 계속됩니다…해외건설 1조 달러 수주 및 60주년 기념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