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최근5년간공사장 화재2,732건…작업 중 불티 주의
소방청,오늘부터 내달17일까지
전국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최근5년간(`20년~`24년)전국 공사장 화재2,732건‥용접·절단·연마 부주의 원인 최다
-부산 기장군 화재 유사사고 방지‥2.18.~3.17.(4주간)대형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공사장,완전한 소방시설 갖추지 않아 위험…비상시 대피로 미리 숙지해야"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지난14일 발생한 부산 기장군 리조트 신축공사장 화재와 같은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 오늘부터'전국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사 현장에는 단열재 등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이 많아 화재가날 경우 급속히 확산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특히 날이 풀리며 겨우내 미뤄뒀던 작업이 다시 시작되는 봄철에는 보다 꼼꼼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최근5년간(2020∼2024년)공사장 화재는 총2천732건으로, 2020년599건, 2021년559건, 2022년657건, 2023년516건, 2024년401건으로 연평균546건이 발생했다.
<최근5년간(2020~2024)공사장 화재 현황> | ||||
연도 | 건수 | 인명피해 | 재산피해(천원) | |
사망(명) | 부상(명) | |||
계 | 2,732 | 46 | 202 | 68,682,990 |
2020 | 599 | 39 | 50 | 18,860,277 |
2021 | 559 | 3 | 48 | 9,232,429 |
2022 | 657 | 3 | 36 | 22,939,463 |
2023 | 516 | 1 | 30 | 5,634,238 |
2024 | 401 | 0 | 38 | 12,016,583 |
같은 기간 공사장 화재로 인한인명피해는 사망46명,부상202명이었으며,재산피해는686억8,299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는부주의가2,049건(75%)으로 가장 많았고,전기적요인351건(12.8%),미상179건(6.6%),기계적요인69건(2.5%),화학적요인34건(1.2%)이 뒤를 이었다.
<최근5년간(2020~2024)발화요인별 공사장 화재 현황>
연도 | 계 | 부주의 | 전기적 | 미상 | 기계적 | 화학적 | 기타 | 방화 | 가스누출 | 자연적 |
계 | 2,732 | 2,049 | 351 | 179 | 69 | 34 | 20 | 15 | 8 | 7 |
2020 | 599 | 470 | 70 | 40 | 6 | 4 | 5 | 3 | 0 | 1 |
2021 | 559 | 415 | 77 | 36 | 17 | 7 | 2 | 4 | 1 | 0 |
2022 | 657 | 504 | 81 | 38 | 18 | 6 | 4 | 3 | 3 | 0 |
2023 | 516 | 381 | 59 | 44 | 16 | 7 | 3 | 3 | 0 | 3 |
2024 | 401 | 279 | 64 | 21 | 12 | 10 | 6 | 2 | 4 | 3 |
부주의 화재2,049건의 세부 원인별로는용접·절단·연마가1,300건(63.4%)로 가장 많았고,담배꽁초259건(12.6%),기기(전기,기계)사용144건(7.0%),불씨·불꽃·화원방치120건(5.9%),가연물근접배치58건(2.8%)순이었다.
<최근5년간(2020~2024)발화요인별 공사장 화재 현황>
연도 | 계 | 용접,절단,연마 | 담배 꽁초 | 기기 (전기,기계)사용 | 불씨,불꽃 화원 방치 | 가연물 근접 배치 | 쓰레기 소각 | 불장난 | 유류취급 | 음식물 조리 | 기타 |
계 | 2,049 | 1,300 | 259 | 144 | 120 | 58 | 29 | 5 | 5 | 3 | 126 |
신축 | 1,312 | 823 | 159 | 93 | 82 | 43 | 16 | 1 | 1 | 94 | |
개축 | 153 | 107 | 12 | 12 | 10 | 3 | 2 | 1 | 6 | ||
증축 | 115 | 88 | 5 | 7 | 7 | 4 | 4 | ||||
기타공사중 | 469 | 282 | 83 | 32 | 21 | 8 | 11 | 5 | 4 | 1 | 22 |
이러한 공사장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용접·절단·연마 작업 시불티가 단열재에 들어가지 않도록비산 방지 덮개와 용접 방화포를 설치하고▲화재 예방과 초기 조치를 위해소화기 등 필수 소방기구 비치▲작업장 주변에 탈 수 있는 물질은 미리 제거해야한다.
또,공사 현장은 제대로 된 소방시설 등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현장 근로자는 평소 비상 대피로를 미리 숙지하고,작업장 내 흡연할 경우▲특정 지역을 지정해 흡연하고,▲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화기 취급을 금지해야 한다.
이에 소방청은오늘(18일)부터 내달17일까지4주간 전국 대형공사장 대상 긴급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다.
▲영업장 개장 등을 맞추기 위하여공사기간 단축이 예상되는 대상,▲우레탄 폼(단열재),합판(가벽)등다량의 가연물이 쌓여있는 공사장,▲화재발생 위험이 높은용접․절단․연마 공정이 많은 공사장,▲그밖에 화재발생 위험이 크다고 분석․판단되는 현장을 위주로 실시한다.
중점 조사 내용은피난․방화시설 폐쇄․훼손 및 계단통로 등 피난대피로확보 여부,소방시설공사 착공신고 및 감리자 지정(감리원 현장배치)확인,임시소방시설 화재안전기준*준수 및 소방안전관리자 화기취급 감독 등 업무실태,우레탄 폼 등 가연물 취급장소 용접 등 화기취급행위 제한(안전수칙 교육),건설현장 내 위험물 임시 저장취급 관련 시․도 조례 준수 여부등을 위주로 조사한다.또한,국토교통부,고용노동부 등 관계기관과도 긴밀히 협조하여합동점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건설현장의 임시소방시설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에 따라 공사 현장에 설치해야하는 임시 소방시설로는소화기,간이소화 장치,비상경보 장치,간이 피난 유도선,가스누설경보기,방화포,비상조명등이 해당하며,미설치 시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영팔 소방청 차장은"최근 공사장 화재로 인해 다수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공사장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화재안전조사 및 관계자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자율 안전관리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 | 김학근 | (044-205-7470) |
화재대응조사과 | 담당자 | 소방령 | 이기열 | (044-205-7474) |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代 | 김근식 | (044-205-7452) | |
예방총괄과 | 담당자 | 소방경 | 강선욱 | (044-205-7453) |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콘텐츠·화장품·식품까지... 'K-산업' 수출 돕는 법령 비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지방공무원 공채시험 개편…2027년부터 7급 국어, 'PSAT'로 대체
-
주말·명절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10%→15%·20%…"노쇼 방지"
-
2025년도 문화누리카드 지원 시작, 나눔티켓도 놓치지 마세요!
-
자립지원수당, 자기돌봄비, 천원의 아침밥…든든한 청년 맞춤복지
-
'연금개혁법안' 국회 통과, 내년 시행…"오랜 숙의 끝 이룬 성과"
-
적진 속 아군에 군수물자 공중 투하 성공!…"우리군 승리 이끈다"
-
올봄, 꽃길만 걸어요! 2025 봄꽃 여행 가이드
-
'스토커' 접근시 위치정보 실시간 감독…"피해자 안정에 기여"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부터 사용까지 이 영상 하나면 끝!
-
해군, 부산신항 방호훈련 실시…극렬저항 테러범 일망타진!
최신 뉴스
- 해수부 "차세대 쇄빙연구선 예산 증액 규모 결정된 바 없어"
-
제주면세점 주류 '병수 제한' 폐지…소득세법 6개 시행령 개정
-
모르면 손해인 일상 속 법,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에서 친해져요
-
우리 이웃 '김은자 의용소방대장'이 말하는 '의용소방대'
-
최 권한대행 "핵심광물 재자원화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다각도 지원"
- 가축전염병에 따른 농가 피해, 수급불안 문제가 없도록 방역관리에 총력 대응 중
- 메이슨 국제투자분쟁(ISDS) 중재판정 취소소송 1심 판결 선고
- 탄소중립실현! 염생식물군락 약2만평 조성 앞장
-
방통위, '중소기업 45곳' 방송광고 제작 지원…올해 총 243곳
-
산업부 "수출 불확실성 가중…통상리스크 대응방안 신속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