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성공적인 산림녹화사업 추진과정, 화해와 상생 통한 과거사 해결 역사 기록… 대한민국 총 20건의 세계기록유산 보유

글자크기 설정
목록

  10일 오후 11시경(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4.2.~4.17. Executive Board)는 「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UNESCO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산림녹화기록물」은 6·25전쟁 후 황폐화된 국토에 민·관이 협력하여 성공적인 국가 재건을 이뤄낸 산림녹화 경험이 담긴 자료이다. 세계의 다른 개발도상국이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이자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 등 국제적 논점(이슈)에 본보기(롤 모델)가 되는 기록물이다.
* 녹화: 산이나 들 따위에 나무나 화초를 심어 푸르게 함.

「제주4·3기록물」은 제주 4.3으로 인한 수많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피해자 진술, 진상규명과 화해의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세계사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제주도민들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통해 아픈 과거사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2023년 1월 17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한 대국민 공모를 통해 접수된 기록물들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하기로 결정하고, 2023년 11월 유네스코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총 20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되어 기록문화 강국으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현황(총 20건): 훈민정음(1997), 조선왕조실록(1997), 직지심체요절(2001), 승정원일기(2001), 조선왕조의궤(200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동의보감(2009), 일성록(2011), 5·18 관련 기록물(2011), 난중일기(2013), 새마을운동기록물(2013), 한국의 유교책판(2015),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2015),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7), 국채보상운동기록물(2017), 조선통신사기록물(2017), 4.19혁명기록물(2023), 동학농민혁명기록물(2023), 산림녹화기록물(2025), 제주4·3기록물(2025)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세계사적 가치를 지닌 우리의 기록유산을 발굴하고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를 확대해나가는 적극행정을 실천하여,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



The 221st session of the Executive Board of UNESCO, meeting in Paris from April 2 to 17, made the final decision on April 10 to inscribe the "Korea Reforestation Archives: A reforestation model achieved through public-private governance" and the "Revealing Truth: Jeju 4•3 Archives"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The Korea Reforestation Archives contain records of the successful national reforestation efforts achieved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the wake of Korean War. These archives serve as a model example for other developing nations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on glob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response and desertification prevention.

The Jeju 4.3 Archives document the testimonies of victims and the process of truth-finding and reconciliation regarding the numerous atrocities of civilians in Jeju Island of the Republic of Korea. These records underscore the global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and provide a meaningful example of how the people of Jeju have addressed a painful history through a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mutual coexistence.

The Korea Heritage Service (Administrator Choi, Eung-Chon) made the decision to submit nominations to inscribe "Korea Reforestation Archives: A reforestation model achieved through public-private governance" and the "Revealing Truth: Jeju 4•3 Archives" on the International MoW Register after a series of consultations with experts on the records submitted during the public call held from January 17 to February 28, 2023. The nominations were subsequently submitted to UNESCO in November 2023.

Adding the two items, Korea now has 20 MoW documents on the International Register, which include: Hunmin Jeongeum Manuscript (1997);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1997);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vol.ll), the second volume of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Zen Teachings" (2001); Seungjeongwon Ilgi,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2001); Uigwe,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2007);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2007); Do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2009); 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2011); Human Rights Documentary Heritage 1980 Archives for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against Military Regime in Gwangju, Republic of Korea (2011); Nanjung Ilgi: War Diary of Admiral Yi Sun-sin (2013); Archives of Saemaul Undong (New Community Movement) (2013);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in Korea (2015); The Archives of the KBS Special Live Broadcast "Finding Dispersed Families" (2015); Royal Seal and Investiture Book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2017); The Archive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2017); Documents on Joseon Tongsinsa/Chosen Tsushinshi (Korean Embassies): The History of Peace Building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17th to 19th Century (2017); Archives of the April 19 Revolution (2023); the Archiv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2023). This achievement is expected to further elevate the ROK's status as a global leader in documentary heritage.

The KHS plans to continue its proactive efforts to identify our documentary heritage with global historical value and expand its inscription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현장사진

<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현장사진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국영문 동시배포) 전 세계에 국가유산의 가치 확산할 「2025년 글로벌 국가유산 홍보대사」 출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