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참고자료)통상교섭본부장, APEC 통상장관회의 계기 릴레이 양자면담 개최

글자크기 설정
목록


통상교섭본부장, APEC 통상장관회의 계기

릴레이 양자면담 개최

- 안정적 공급망 협력(중국, 파푸아뉴기니), 진출기업 애로 해소(베트남, 말레이시아, 멕시코), 협력 관계 고도화(필리핀, 베트남), FTA협상 가속화(중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다자통상 강화(뉴질랜드, 중국, WTO) 등 협력방안 논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하 본부장)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이하 APEC) 통상장관회의 계기 한국을 방문한 통상대표들과 514()부터 516()까지 3일 간 릴레이 양자면담을 추진한다.

 

2025 APEC 통상장관회의(5.15()~5.16())APEC 회원의 통상대표들이 주요 통상 이슈를 논의하는 자리로 21개 경제체*(Economies) 통상대표단과 WTO 사무총장, OECD 사무차장 등이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모였다.

 

*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미국, 베트남 (알파벳 순)

 

정 본부장은 첫 이틀간(5.14()~5.15()) 중국을 비롯해 아세안의 핵심국가인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그리고 대양주의 뉴질랜드와 양자 면담을 통해 통상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이번 APEC 행사에 특별 초청된 응고지 오콘조 이웰라 WTO 사무총장과도 면담을 진행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대표 면담 (5.15.() 08:00~08:25)

 

정 본부장은 우선 리 청강(李成鋼)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대표(장관급)와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양자 이슈와 글로벌 통상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한중 양측은 APEC 등 다자체제 협력,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합의하고,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 실무협의가 진전되고 있는 만큼, 협상 가속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 면담 (5.14.() 17:00~17:30)

 

정 본부장은 크리스티나 A. 로케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교역·투자 확대, 공급망 협력 등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폭넓게 논의하였다. 특히 양측은 무역, 경제 및 에너지 협력 MOU를 체결하여 자동차, 금형, 자원개발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필 경제통상협력위의 수석대표를 차관급에서 장관급으로 격상하고 조속한 시일 내 제4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멕시코 경제부 통상차관 면담 (5.14.() 18:00~18:30)

 

루이스 구티에레스 멕시코 경제부 통상차관과의 면담에서 정 본부장은 우리 기업들이 멕시코에 다수 진출 중인 점을 상기하고, 관세조치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우리 기업이 겪고 있는 세금, 통관 등 애로 해소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은교역과 투자 확대를 위해 그간 중단된 한-FTA 논의를 조속히 재개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 면담 (5.15.() 08:30~08:50)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정 본부장은 전기차 배터리 공장 전력공급 중단사태 등 현지 우리 기업의 애로에 대한 말레이시아측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양측은 한-말레이시아 FTA 협상이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음을 상호 확인하고, 협상 가속화를 위해 고위급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 면담 (5.15.() 10:15~10:30)

 

한편, 정 본부장은 응우옌 홍 지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부가가치세 환급 지연 등 기업 애로에 대한 관심을 당부하였으며, 현지에서 활동 중인 9,000여개의 한국기업이 앞으로도 안정적으로 경영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미국 정부와의 관세 협상에도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뉴질랜드 외교통상부 통상장관 면담 (5.15.() 11:25~11:40)

 

또한, 토드 맥클레이 뉴질랜드 외교통상부 통상장관과의 면담에서 양측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긴밀한 협력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한편, DEPA(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 등 양측이 가입한 다자협력 채널을 통해 디지털·공급망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통상교섭본부장 WTO 사무총장 면담 (5.15.() 15:45~16:00)

 

아울러, 정 본부장은 응고지 오콘조 이웰라 WTO 사무총장과도 면담을 진행하고 WTO가 출범 30주년을 맞아 기후변화, AI 등 새로운 통상 이슈를 다루는 포럼으로 거듭나야 함을 강조하면서, WTO 14차 각료회의(MC-14, '26.3, 카메룬) 핵심 의제인 'WTO 개혁' 관련 한국도 금년 APEC 의장국으로서 적극 기여하겠다는 의향을 표명하는 한편, 한국인들이 WTO 사무국(제네바 소재)에서 근무할 기회를 확대해 줄 것도 당부하였다.

 

통상차관보 파푸아뉴기니 국제무역투자부차관 면담 (5.14.() 15:00~15:15)
홍콩 상무경제발전국장 면담 (5.15.() 11:00~11:15)

 

박종원 통상차관보도 자신타 와라카이 마누아 파푸아뉴기니 국제무역투자부 차관과 면담을 갖고 핵심광물·재생에너지 등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파푸아뉴기니 내 우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전력망, LNG 프로젝트 등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알제논 야우 홍콩 상무경제발전국장과의 면담 계기에 양자 간 교역·투자 확대와 홍콩 진출 우리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환경 지원 등을 당부하였다.

 

정 본부장은 "최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 전 세계 GDP61%, 상품교역량의 49%를 차지하는 APEC 통상 대표들이 모이는 이번 통상장관회의가 21개 경제체 간 공조 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회"라고 언급하고,

 

"이틀간의 양자 면담에서 아태지역 주요국들과 안정적인 공급망 협력, 진출기업 애로 해소, 협력 구조 고도화, FTA 협상 가속화, 다자통상 협력 강화 등 성과가 있었다."라고 강조하였.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설명] 생활숙박시설의 합법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입니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