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4 북한인권 국제대화」 기조연설

2024.07.23 통일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Good morning and welcome.
I am Kim Yungho, Minister of Unification.
여러분 반갑습니다. 통일부장관 김영호입니다.

First and foremost I would like to extend my particular gratitude and welcome to John Hamre, President and CEO of CSIS, Damon Wilson, President and CEO of NED, Cho Hyun-dong, the Republic of Kore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이번 2024 북한인권 국제대화 행사를 위해 애써주신 존 햄리 CSIS 소장님과 데이먼 윌슨 NED 회장님, 조현동 주미 한국대사님,

Gratitude and welcome also goes to all the distinguished guests, including Professor Lee Jung-hoon, Chairman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motion Committee, Professor Victor Cha, Korea Chair at CSIS, Professor Won Jae-cheon of Handong University, and Professor Andrew Yeo, Korea Chair at the Brookings Institution, who will be chairing each session.
그리고 각 세션의 사회를 맡아주실 이정훈 북한인권증진위원회 위원장님, 빅터 차 CSIS 한국석좌님, 원재천 한동대 교수님, 앤드류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님을 비롯한 모든 내외 귀빈께 감사와 환영의 인사를 전합니다.

This year is significant in many ways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올해는 북한인권에 있어 여러 가지로 의미 있는 해입니다.

It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the COI report, a crucial milestone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nd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This year, the ROK government designated July 14 as “North Korean Defectors’ Day” and its inaugural ceremony was held accordingly. The fourth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of North Korea is also scheduled for November.
북한인권 문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된 COI 보고서 발간 10주년이자,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설치된 지 20주년이며, 대한민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날 이 제정되었고, 올 11월에는 북한의 제4차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 가 예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I am pleased to see that this meaningful discuss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 taking place here in Washington at such a important time.
이렇게 의미있는 시기에 이곳 워싱턴에서 북한인권을 논의하는 오늘의 자리가 마련된 것을 뜻깊게 생각합니다.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Yoon Suk-yeol declared in hi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Day address this year that “Unification is precisely what is needed to expand the universal values of freedom and human rights.”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3.1절 기념사에서 “자유와 인권이라는 보편의 가치를 확장하는 것이 통일”이라고 천명하였습니다.

The effort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residents, who are citizens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 our Constitution, is the most fundamental duty of the state based o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대한민국 헌법상 대한민국의 국민인 북한주민의 자유와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입각한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입니다.

Amid the constraints of the reality of division, the state’s top priority for the North Korean people, who suffer daily human rights violations, should be to hold the perpetrators accountable for these violations.
분단된 현실의 제약 속에서 일상적인 인권침해에 고통 받는 북한 주민들을 위해 국가가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은 인권침해 책임규명 노력일 것입니다.

And the first step towards accountability is the precise documentation of facts.
그리고 책임규명을 위한 첫 걸음은 바로 구체적인 사실의 기록에서 출발합니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in 2016,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Records and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Documentation Offic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records to seek accountability for those responsible.
대한민국 정부는 2016년 북한인권법 제정 이후 북한인권기록센터와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설립을 통해 북한인권 책임규명을 위한 기록 수집과 보존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Based on this foundation, last ye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ublished its first North Korean Human Rights Report and released the second annual report last month. This year’s report particularly highlighted four major issues: First, information control, Second, forced repatriation, Third, overseas workers, and Fourth, human rights violations amid the COVID-19 pandemic.
이를 바탕으로 작년 대한민국 정부 최초로 북한인권보고서 를 발간하고 지난 달 두 번째 연례 보고서 또한 공개했습니다.
특히 올해 보고서에는 (1)정보통제, (2)강제북송, (3)해외파견 노동자 문제, (4)코로나19 상황 하의 인권침해를 4대 관심이슈로 분류하여 중요성을 부각하고자 했습니다.

First, regarding information control over the populace, North Korea, as a totalitarian dictatorship aiming for total control of the mind and body of their citizens, inevitably places high importance on information control.
첫째, 대주민 정보통제와 관련하여 북한은 개인의 신체와 정신에 대한 완전히 통제(total control of mind & body)를 목표로 하는 전체주의 독재체제의 특성상 정보통제를 중요시 할 수밖에 없습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port on North Korean Economy and Society, published by my Ministry in February based on a survey of 6,351 defectors, the rate of those who watched foreign videos has sharply risen, reaching 83% recently.
올해 2월 통일부가 탈북민 6,35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간한 북한경제·사회실태 인식보고서 에 따르면, 외부 영상물을 시청했다는 응답률이 가파르게 상승하여 최근에는 83%에 이를 정도입니다.

With the influx of external culture and information such as South Korean soap operas and K-POP, many North Koreans are consuming “juche culture by day, South Korean culture by night,” signifying a fierce competition between the regime’s juche culture and the people’s South Korean hallyu(korean wave) culture over the consciousness and minds of North Koreans.
한국 드라마와 K-POP 등 외부문화와 정보의 유입으로 많은 북한 주민들이 “낮에는 주체문화, 밤에는 한류문화”를 소비하고 있으며 이는 체제의 주체문화와 주민의 한류문화가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신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The continuous enactment of laws since 2020, such as the Law on Rejecting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the Youth Education Guarantee Law, and the Law on Protecting Pyongyang Cultural Language, reflect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ense of crisis regarding the rejection to juche culture.
2020년 이후 연속적으로 제정된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청년교양보장법’, ‘평양문화어보호법’도 주체문화의 부정에 대한 북한 당국의 위기감을 반영한 대응입니다.

Furthermore, the fact that more than half of the total 196 defectors last year are from the 2030 generation and high-ranking officials attests to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culture, which is causing cracks in the rigid wall of juche culture.
지난해 탈북자 196명 중 절반 이상 또한 2030세대와 고위급인사라는 사실은 주체문화의 강고한 벽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는 한류문화의 영향력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Considering these internal changes within North Korean society, the importance of cultural approaches is increasing alongside political and military approaches to strongly deter North Korea’s military threats, making it a time to start discussions on this issue.
이러한 북한 사회 내부의 변화를 감안할 때,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강력하게 억제하기 위한 정치·군사적 접근과 동시에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Second, the issue of forced repatriation has been a continuous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since the mid-1990s when North Koreans began fleeing for survival during the arduous march.
둘째, 강제송환 문제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주민들의 생존을 위한 탈출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북한인권 문제입니다.

Especially last year, when North Korea’s border closure due to COVID-19 was lifted, the world witnessed the tragic reality of large-scale forced repatriations by the Chinese authority.
특히 지난 해 코로나19로 인한 북한의 국경봉쇄가 해제되자 중국 정부에 의한 대규모 강제북송이 벌어지는 참담한 현실을 전 세계가 목도했습니다.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whose parents, siblings, or children were forcibly repatriated, have made every effort to inform about the brutal human rights abuses their repatriated families would face and to prevent further repatriations.
자신의 부모나 형제자매, 자녀가 강제북송된 북한이탈주민들은 북송된 가족들이 겪게 될 처참한 인권유린을 알리고 추가 북송을 막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했습니다.

We have reached a point where all of us gathered here must seek effective means of cooperat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forced repatriations.
오늘 여기에 모인 우리 모두 탈북민의 강제송환 문제에 대한 실효성 있는 협력 및 해결 방안을 다시금 깊이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생각합니다.

Third, rich and in-depth insight into the nexus betwee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security is necessary, and the issue of overseas workers clearly illustrates this relationship.
셋째, 북한인권과 안보의 밀접한 상호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필요하며 해외노동자 문제는 이러한 관계성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안입니다.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with the income earned through forced labor and wage exploitation of their residents.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강제노동과 임금착취를 통해 벌어들인 수입으로 핵과 미사일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According to the Report on North Korean Economy and Society, the funds used for North Korea’s 34 ballistic missile launches in 2022 would be enough to cover the annual food shortage in North Korea.
북한경제·사회실태 인식보고서 에 인용된 바에 따르면, 2022년 북한의 34회 탄도미사일 발사에 들어간 자금은 북한의 연간 식량부족분을 모두 메우고도 남는 규모입니다.

Nevertheless, the North Korean regime blames economic sanctions for the hardships of their people’s lives and repeats the vicious cycle of using foreign currency, obtained through illegal transactions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eople,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정권은 민생의 어려움을 대북제재의 탓으로 돌리며 불법 거래와 북한주민의 착취의 결과로 얻은 외화를 핵과 미사일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쏟아 붓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In this context, the recently concluded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agreement between Russia and North Korea poses a security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including Europe, and exacerbates the suffering 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Ukrainian people.
이러한 상황 하에서 최근 러북 간 체결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은 한반도 및 유럽을 비롯한 세계 안보의 불안 요인이자 북한주민과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행위입니다.

Despite being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the Russian government is leading efforts to undermin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import its weapons.
러시아 정부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임에도 북한 무기 수입을 위해 국제사회 합의의 산물인 유엔 대북제재의 무력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Any cooperation aiding North Korea’s military buildup or maintaining and expanding the dispatch of North Korean overseas workers is in obvious breach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gainst North Korea.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일체의 협력이나 북한 해외노동자 파견의 유지 및 확대는 명백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위반입니다.

The exploitative labor conditions and intensity of North Korean workers dispatched overseas, along with the exploitation by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he neglect by host countries like Russia, will be thoroughly documented and preserved as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Records.
특히 해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의 인권 유린적 노동 강도와 환경, 북한 당국의 착취와 수용국인 러시아의 방관은 모두 통일부 북한인권기록센터를 통해 북한인권 침해 사례로 낱낱이 기록되어 역사로 남을 것입니다.

Fourth,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situation during the border closure perio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s necessary.
넷째,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 기간 동안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This year’s North Korean Human Rights Report includes, for the first time, cases of violations of the right to life under COVID-19 measures.
올해 북한인권보고서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생명권 침해 사례가 최초로 수록되었습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stimonies of defectors included in the report,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the public execution of a 22-year-old for watching and distributing South Korean songs and movies and the imprisonment in political prison camps merely for possessing a Bible are still ongoing.
그 외에도 보고서에 수록된 탈북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남한 노래와 영화를 접하고 유포했다는 이유로 22세 청년이 공개 처형되고 성경책을 소지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가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As President Yoon Suk-yeol declared in his speech on the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Day on July 14th, no oppression can “block the hope for freedom and the steps towards freedom.”
7월 14일 개최된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천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억압도 “자유에 대한 희망, 자유를 향한 발걸음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When the North Korean border with China was tightly closed due to COVID-19, North Koreans who defected by sea to South Korea vividly showed us those “unstoppable steps towards freedom.”
코로나19로 인해 북중 국경이 철저히 봉쇄되자 해상을 통해 남한으로 탈북한 북한주민들이 바로 그 “억압할 수 없는 자유를 향한 발걸음”을 우리에게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In response to such life-risking courage and aspiration for freedom, President Yoon Suk-yeol firmly promised at the North Korean Defectors’s Day ceremony that not a single North Korean compatriot who sought freedom would be sent back, and the government would spare no diplomatic efforts to prevent the forced repatriation of defectors abroad.
이러한 목숨을 건 용기와 자유를 향한 열망에 대한 화답으로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에서 자유를 찾아온 북한동포를 “단 한 분도 돌려보내지 않을 것”과 해외에 있는 탈북민의 강제북송을 막기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할 것을 굳게 약속한 바 있습니다.

For the past 20 year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지난 20년간 국제사회는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Since the 59th UN Commission on Human Rights adopted the first resolut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n 2003, the resolution has been adopted for 22 consecutive years. And the UN General Assembly has been adopting the human rights resolution every year since 2005.
2003년 제59차 UN 인권위원회에서 북한인권결의를 최초로 채택된 이래 22년 연속으로 결의안을 채택중이며, UN총회도 2005년 이후 매년 인권결의안을 채택 중에 있습니다.

Particularly, the COI report published in 2014 provid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by stating that “systematic, widespread, and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continue in North Korea and categorizing these violations as “crimes against humanity.”
특히 2014년에 발간된 COI 보고서는 북한에서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침해”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권침해를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규정하여 북한인권 문제에 중요한 전기를 제공하였습니다.

At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Geneva last April, a comprehensive update o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since the COI report ten years ago was requested.
지난 4월 제네바에서 개최된 UN 인권이사회에서는 10년 전 COI 보고서 발표 이후의 북한인권 상황을 포괄적으로 갱신할 것을 주문하였습니다.

Despite the meaningful results brought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onsistent interest and efforts to promote North Korean human rights, much work remains.
이처럼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은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Today, we face an unstable international situation where threats from dictatorial states to the fundamental values of liberal democratic countries are intensifying.
오늘날 우리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근본 가치에 대한 독재 국가로부터의 위협이 점점 심화되는 불안정한 국제정세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In this context, the determination and proactive role of countries in the free world to defend freedom,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are more crucial than ever.
이러한 도전으로부터 자유와 인권, 법치를 수호하기 위한 자유진영에 속한 국가들의 결단과 적극적인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입니다.

And the focus of these efforts should be on North Korea.
그리고 그 노력의 중심은 북한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President Reagan, in his 1982 speech to members of the British Parliament, called for the solidarity and action of free world countries to protect liberal democratic values.
레이건 대통령은 1982년 영국의회 의원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자유민주주의적 가치를 지켜내기 위해 자유진영 국가들의 단결과 행동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The ROK-US alliance is an alliance based on shared values of freedom, democracy and human rights.
한미동맹은 자유, 민주, 인권의 가치를 지향하는 가치동맹입니다.

Based on the solid ROK-US alliance, we will be able to deter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 defend liberal democratic international order and resolve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고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를 함께 지키면서 북한인권 문제도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And only then will a free and peaceful unified Korean Peninsula, where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residents are fully guaranteed, become a reality before us.
그리고 그때에야 비로소 북한 주민의 인권이 온전히 보장되는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가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올 것입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가유공자 소원 ‘이루어드림’ 업무협약식」 인사말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