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제77회 세계여론조사학회(WAPOR) 회의 축사

2024.07.29 통일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Ladies and Gentlemen, Good morning and welcome.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김영호 통일부장관입니다.

I am delighted to congratulate you on the commencement of the 77th Annual Conference of the World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WAPOR).
올해 77회를 맞이하는 세계여론조사학회(WAPOR)의 연례 학술회의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First let me start my talk with expressions of gratitude.
First and foremost,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gratitude to Robert Chung - president of WAPOR, Linda Luz Guerrero president of WAPOR Asia-Pacific, Wolfgang Aschauer - chair of the WAPOR Conference Organizing Committee, and all the representatives of the co-hosting institutions, including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for organizing this invaluable event.
I know an event like this does not come together overnight.
우선 소중한 자리를 마련해주신 로버트 청 WAPOR 회장님, 린다 러즈 게레로 WAPOR 아시아-태평양 회장님, 울프강 아스샤우어 WAPOR 학회 조직위원장님,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를 비롯한 공동 주최기관 관계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I would also like to extend my appreciation to scholars and experts who have travelled from across the country and overseas, to present and participate in discussions, as well as to everyone who has taken a special interest in attending this academic conference.
아울러 발표와 토론을 위해 멀리 해외와 전국에서 귀한 발걸음을 해주신 연구자 분들, 그리고 각별한 관심으로 학술회의를 찾아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It is a great honor and a privileg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speak about the Korean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direction in the presence of world leading experts in public opinion research.
전 세계적인 여론조사를 선도하시는 많은 전문가분들이 모이신 가운데 통일부장관으로서 우리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The theme of this year’s conference, “The Soul of Public Opinion Research: Freedom, Quality, and Humanity,” resonates deeply with the core values underpinning the Korean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여론조사의 영혼 : 자유, 품질, 인류애”라는 이번 학술회의의 주제는 우리 정부의 통일정책이 추구하는 핵심 가치와도 맞닿아 있기에 흥미롭습니다.

If the go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is to freely gather and present opinions, leading us to becoming a better society through valuable insights and the enhancement of humanity, then our vision of unification aligns with these principles.
여론을 ‘자유’롭게 모아 발표할 수 있고, ‘양질’의 의견들이 더 나은 사회를 이끌어 ‘인류애’ 증진에 기여하는 것이 여론조사가 지향하는 길이라면,

We aim to expand the values of freedom and human rights, allowing the people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to enjoy these rights together.
This vision not only benefits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contributes to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자유와 인권의 가치를 확장하여 남북한 주민이 함께 자유와 인권을 누리는 통일 한반도를 이룸으로써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가 꿈꾸는 통일의 지향점이기 때문입니다.

Public opinion research is fundamentally grounded in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human rights.
Without freedom of expression, conducting meaningful public opinion research would be impossible.
여론조사는 무엇보다 자유와 인권을 기본 전제로 합니다.
표현의 자유가 없다면 의미 있는 여론조사가 불가능 할 것입니다.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draw your attention to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이러한 견지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The people of North Korean are denied freedom of expression by the oppressive regime, and this is a significant factor enabling the regime to squander vast resources on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The focus on military advancements comes at the expense of the needs and voice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북한 주민은 정권의 탄압으로 어떠한 표현의 자유도 누리지 못하며, 이는 북한 정권이 북한 주민의 여론과 민생을 외면한 채 핵·미사일 개발에 많은 재원을 탕진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The North Korean regime restricts 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harsh laws, such as the “Law on the Rejection of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which prevents its residents from access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world.

북한은 주민들이 바깥세상의 소식을 접할 수 없도록 반동사상문화배격법 과 같은 악법을 통해 정보 유통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If information were to flow freely and substantive public opinion research became possible, North Korea could transform into a normal state.

만약 정보가 유통되고 실질적 여론조사가 가능해진다면 북한은 정상국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In the absence of feasible public opinion surveys within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ducted a survey involving 6,351 North Korean defectors - effectively the first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realities of North Korea.
북한 주민에 대한 여론조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6,351명의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실상 최초의 북한 실상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The Report on North Korea’s Economy and Society published in February, delves deeply into how the socio-economic livelihood and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have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지난 2월에 발간된 북한 경제·사회실태 인식보고서 가 바로 그것입니다.
보고서는 지난 20여 년간 북한의 경제·사회 생활상과 주민들의 의식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According to this report, as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advanced in North Korea, external information became more widely available, leading to a shift in North Korean consciousness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보고서에 의하면 그동안 북한의 시장화가 진전되면서 외부 정보가 널리 유통되고 있고, 이와 함께 북한 주민들도 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로의 의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Therefore, I encourage the global experts in public opinion research gathered here to take a keen interest in the realities of North Korea and to support efforts towards enabling substantive public opinion research within the North.
Such efforts would contribute to advancing the freedom and human rights of the North Korean people.
그러하기에 여기에 계신 전 세계 여론조사 전문가들께서도 북한의 실상에 대한 관심을 갖고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 증진을 통해 실질적인 여론조사가 가능한 날이 오도록 힘을 보태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Distinguished guests, Public opinion is not merely a collection of opinions but an important mechanism reflecting the diverse voices of society.
참석자 여러분, 여론은 단순한 의견의 집합체가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중요한 기제입니다.

Accurate analysis and uation of public opinion have led to better policies and have shaped better histories.
여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는 더 나은 정책을 이끌었고 더 나은 역사를 만들어왔습니다.

I believe that understanding the thoughts and perceptions of the global citizens in regar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ssue of unification is fundamental. It is the starting point on a path of unification that will foster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in our international community.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변영에 기여하는 한반도 통일의 출발점도 세계 시민들이 바라보는 한반도와 통일문제에 대한 생각과 인식을 정확히 아는 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In this regard, this yea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s preparing a “Global Survey on Korean Unification”.
This survey aims to assess the perceptions of people from various countries regard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이러한 관점에서 올해 통일부는 세계 각국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글로벌 통일인식조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This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survey will be a crucial opportunity to gauge and garner support from the global community for the unification of the South and North.
이번 국제 여론조사는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 시민사회의 인식을 확인하고, 지지를 확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I hope that the discussions on the “Global Survey on Korean Unification” at this conference will be insightful and constructive, and I look forward to hearing your valuable opinions.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글로벌 통일인식조사에 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될 예정인 만큼 관심을 가지고, 고견을 들려주시길 바랍니다.

Once again, my sincere congratulations on the commencement of the 77th Annual Conference of the World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I wish you all health and happiness. Thank you.
다시 한 번, 제77회 세계여론조사학회 의 개최를 축하드리며, 이 자리에 계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국가보훈부-BGF리테일 업무협약식」 인사말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