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

2021.04.05 산림청
목록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

  • 4월 5일 식목일, 한 그루 심는다고 효과가 있을까요?
  • 식목일이란?
  • 식목일의 유래
  •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요?”
  • “제가 한그루 심는다고 무엇이 달라지나요?”
  • “지구온난화가 식목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요?”
  • 4월 5일 식목일 3월보다 더 앞당겨지지 않게 우리 같이 심어요.
  • 4월 5일 식목일, 한 그루 심는다고 효과가 있을까요?
  • 식목일이란?
  • 식목일의 유래
  •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요?”
  • “제가 한그루 심는다고 무엇이 달라지나요?”
  • “지구온난화가 식목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요?”
  • 4월 5일 식목일 3월보다 더 앞당겨지지 않게 우리 같이 심어요.

◆ 식목일이란?
나무 심기를 통하여 국민의 나무 사랑 정신을 북돋우고, 산지(山地)의 자원화를 위하여 제정된 날

식목일의 유래
삼국 통일 성업을 완수, 조선 성종이 몸소 농사를 지었던 민족사와 농림사상에 매우 뜻있는 날일 뿐만 아니라, 계절적으로 청명(淸明)을 전후하여 나무 심기에 좋은 시기이므로, 1949년 대통령령으로 지정하였다.
* 성업 : 왕의 업적
* 내용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요?”
1.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어 만드는 대기질 개선 효과
2. 산사태와 가뭄 방지
3. 산림휴양
4. 생물다양성 확보
5. 온실가스 흡수
6. 열섬완화 등 간접적이고 공익적 효과 증가
* 내용참고 : 서울신문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1인당 249만원 효과 ‘식목일의 과학’

“제가 한그루 심는다고 무엇이 달라지나요?”
많은 사람들이 ‘나무나 숲 가꾸기’라고 하면 어렵고 거창하게 생각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많다. 도심 자투리 땅을 이용해 나무를 심거나 식물을 키우는 것만으로도 열섬 현상은 물론 대기오염까지 줄일 수 있다.
* 내용참고 : 서울신문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1인당 249만원 효과 ‘식목일의 과학’

“지구온난화가 식목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요?”
산림청은 “지속적인 봄철 기온 상승과 이로 인한 나무의 생리적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식목일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라고 말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철에 얼었던 땅이 녹는 시기 등이 빨라지고 있다. 나무는 묘목에 잎이 나기 전에 심어야 뿌리에 영양분이 잘 공급되는데, 최근 식목일 즈음에는 이미 잎이 나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새 식목일의 유력 후보로는 유엔(UN) 이 정한 세계 산림의 날인 3월 21일이나 전날인 3월 20일 등이 거론된다.
* 내용참고 : 조선일보 더워지는 봄날씨…4월 5일 식목일, 3월로 앞당기나

4월 5일 식목일, 3월보다 더 앞당겨지지 않게 우리 같이 심어요.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코로나19 오늘의 한마디] 4차유행의 갈림길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