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주요 Q&A

2024.06.03 금융위원회
목록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주요 Q&A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의 궁금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1. KB시세 제공 대상이 확대되는 경우 어떻게 개선되나요?

Ⅴ KB시세의 제공대상이 확대될 경우,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50세대 미만 아파트도 KB시세를 바탕으로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이용
▶ 2024년 9월부터 개시 예정인 주거용 오피스텔, 빌라 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관련 빌라도 KB시세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
* 오피스텔의 경우 이미 50세대 이상에 대해 KB시세 제공 중

2. 우리은행의 찾아가는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Ⅴ 만 65세 이상 고객에 대해 대출 갈아타기 관련 방문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우리은행)
▶ 우리은행으로 대출을 갈아타려는 차주가 앱 화면에서 대면 방식으로 신청하기를 선택시 사전 유선상담 진행
▶ 대출모집인이 자택 등에 방문하여 앱을 통해 신청을 도와드리고,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 대면 방식을 통해 대환 절차 진행
▶ 대출 심사가 완료되면 다시 차주를 방문하여 대출 약정 체결
· 기존대출 상환, 근저당권 말소·설정 업무는 자동으로 처리

3.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통해 어떤 대출을 갈아탈 수 있나요?

Ⅴ 개인(가계)이 대환대출 인프라 참여 금융회사로부터 받은 신용대출,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및 보증부 전세자금대출을 갈아탈 수 있습니다.
▶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기존대출을 받은지 6개월이, 전세대출은 기존대출을 받은지 3개월이 지나야 가능
* 조기상환시 중도상환수수료가 있는 신용대출은 6개월 전에도 가능
Ⅴ 저금리 정책금융상품, 중도금 집단대출, 지자체 협약 대출 및 연체 상태의 대출, 법률분쟁·압류·거래정지 등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4.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①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앱을 설치합니다.
② 대환대출 메뉴를 선택하고, 마이데이터를 통해 기존 대출을 확인합니다.
③ 갈아타고 싶은 기존 대출을 선택하고, 나의 정보를 정확히 입력합니다.
④ 제시되는 새로운 대출조건을 확인하고, 가장 적합한 금융회사의 대출 상품을 선택합니다.
⑤ 선택한 금융회사 앱으로 이동하여, 정보 입력 및 필요 서류를 제출합니다.
⑥ 대출심사 결과가 나오면 조건을 정확히 확인 후 대출 약정을 체결합니다.
⑦ 대환대출 완료 결과, 기존 대출을 완전히 갚은 사실과 새로운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은 사실을 모두 정확히 확인합니다.

5. 현 DSR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차주도 이용할 수 있나요?

Ⅴ 현재 차주 단위 DSR 규제비율(은행 40%, 제2금융권 50%)을 초과하는 차주의 경우, 대환을 위한 신규 대출을 받을 수 없습니다.
▶ 기존 부채의 일부 상환 등 현재 규제비율을 준수한 이후 가능

6. 전세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한 시점은 구체적으로 언제인가요?

Ⅴ 6월 3일부터 기존대출 실행 3개월 이후부터 임대차 계약기간 종료 6개월 전까지 전세대출 대환이 가능하게 됩니다.
▶ 현재는 기존대출 실행 3개월 이후부터 계약기간의 1/2이 지나기 전
Ⅴ 전세계약 갱신시에는 기존 계약기간의 만료 2개월 전부터 15일 전까지 대출 신청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응급환자는 제시간에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