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하면 부분인출도 가능하다는 점!

2024.07.25 금융위원회
글자크기 설정
목록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하면 부분인출도 가능하다는 점!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인출 가능!

청년도약계좌 도입 1년 “청년, 금융을 이야기하다”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 시 부분 인출도 할 수 있고, 신용 점수가 올라갑니다!
(800만원 이상 납입 시, 4분기 예정)
앞으로 또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Q. 청년도약계좌 1년 동안 성과는 어떤가요?
A. 총 133만명이 가입했습니다.
요건 충족 청년 5명 중 1명이 가입한 것으로 현재까지 90%의 높은 가입 유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Q. 앞으로 어떤 점이 달라지나요?
A. 청년들의 인식과 건의사항을 수렴해서 더 좋아집니다!
1. 신용점수 추가 가점 부여
2. 원스톱 청년금융 컨설팅센터 구축
3. 부분인출서비스 도입
4. 앱 UX 개선 및 ‘도약이’ 멤버십 강화

① 2년 이상 가입+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개인신용평가점수 최소 5~10점 추가 부여(NICE, КСВ 기준)
* 조건을 충족하면 자동으로 가점 반영 예정
“금융이력 부족으로 신용도가 낮게 평가되는 청년층의 신용 형성에 도움 될 것 같아요!”

② 원스톱 청년금융 컨설팅센터 구축(연내)
Ⅴ 전문가의 자산·부채 컨설팅 서비스, 금융강좌나 자산관리 시뮬레이션 등 참여형 금융콘텐츠 제공
Ⅴ 오프라인 센터 5개소, 웹사이트 운영

③ 2년 이상 가입자 대상 부분인출서비스 도입
Ⅴ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 이내로 부분인출 가능
Ⅴ 부분인출금액에 대한 이자, 이자소득세 부과 및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은 중도해지한 경우와 동일

④ 앱 UX 개선 및 ‘도약이’ 멤버십 강화
Ⅴ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관련 필수정보를 더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UX 개선(유도)
Ⅴ 청년도약계좌 SNS 개설, 가입자 대상 프로그램 마련


100만 명 이상 가입한 ‘청년도약계좌’로 자산 마련하기
☞ 정책뉴스 자세히보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수욕장의 불청객, 노무라입깃해파리 특보 전남·강원 전체 해역까지 확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