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4일자 JTBC의 <난임시술, 건강보험 적용됐는데 왜 더 비싸졌나> 제하 보도 관련 “저소득층의 경우에도 실제 부담하는 비용이 줄어들도록 제도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건강보험 적용 시, 체외수정(신선 일반) 1회 당 비용을 기준으로 기존 지원사업에 비해 약32∼57만원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특히,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시술에 대해서는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부담상한제가 적용되고 기준 중위소득 130%이하의 경우에는 정부 예산으로 비급여 진료비를 체외수정(신선배아) 1회 당 최대 50만원까지 추가 지원하게 되므로 저소득층의 비용 부담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 |
JTBC는 이날 난임치료 시술(보도사례는 이 중 체외수정(신선배아)) 건강보험 수가가 가장 비싼 병원에서 받던 금액보다 약간 낮은 선에서 책정돼 대부분의 병원에서 가격을 올려받게 됐고 이에 따라 저렴한 병원을 찾던 저소득층은 부담이 늘어 난임 시술을 포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기존 지원사업에서는 혜택을 받을지 말지를 환자가 마음대로 정하여 10회 시술시 가장 비싼 시술에 대해서 적용하는 식으로 할 수 있었으나 건강보험에서는 그럴 수가 없어져 불만이라고도 언급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보조생식술은 건강보험 적용 이전엔 기관별로 각기 다른 체계로 비용 지불이 이뤄져 기관 간 단순 비교가 어렵다고 밝혔다.
또 ‘시술비’, ‘검사비’, ‘진료비’ 등의 항목으로 비급여 진료비를 청구하고 있으나 각각의 항목에 포함된 서비스의 범위가 상이하고 개인의 의학적 상태, 기존 시술에의 반응 여부 등에 따라 시술의 내용도 매우 다양하므로 시술 비용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기존 정부 예산사업을 통해 2016년도에 난임치료 시술비 지원이 이뤄진 사례의 진료비 영수증을 분석한 결과, 체외수정(신선배아 일반수정 시술 완료건 기준)의 1회 당 평균 진료비가 가장 높은 기관은 475만원, 전체 기관 평균은 359만원이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건강보험 적용 이후 예상되는 평균 진료비 289~317만원은 기존 진료비가 가장 높은 기관 대비 약 158~186만원, 전체 평균 대비 약 42~70만원이 줄어들게 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즉,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체외수정 시술비는 기존 비급여 가격이 가장 높은 기관 대비 61~67%, 전체 기관 평균의 80~88% 수준에서 결정된 것으로 건강보험 수가가 가장 비싼 병원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책정돼 대부분의 병원이 예전보다 비용을 올려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기사 내용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복지부는 난임 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은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시술의 의학적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 기준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전체 횟수 내에서 본인이 원할 때에(비용이 많이 나올 때) 건강보험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정해진 기준을 넘어서 시술받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횟수를 사용하지 않고 아껴두었다가 임신에 성공하게 될 경우 이전 시술에서 발생한 진료비용을 소급해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도 난자채취 이전에 시술이 중단될 경우에는 횟수를 차감하지 않고 관련 약제 등의 비용도 급여기준에 따라 모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등 의료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를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의: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044-202-2733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유권해석기준 따라 8·2 부동산 대책 피해자 일부 구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