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최근 신규 신청자와 신청유인 증가 등으로 실업급여 지출이 증가했으나 실업급여 계정의 적립금과 피보험자 수 역시 증가하고 있어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실업급여 계정의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진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노동부는 11월 6일 매일경제 <실업에 최저임금 급등까지…고용기금 고갈될 판>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당초 기획재정부는 2020년부터 고용보험금 지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중략)… 올해 기금운용계획 예산보다 수천억 원이나 더 많은 실업급여를 지급하게 돼 당초 추산보다 고갈 시점이 빨라질 전망이다.
올 들어서는 최저임금 인상률을 훌쩍 넘는 수준으로 실업급여 지급액이 폭증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실업급여액이 …(중략)… 6조 7169억 원이 될 전망이다. 이는 전년에 비해 33.6%나 증가한 수치로 최저임금 인상률 16.4%의 두 배가 넘는다. …(중략)… 실업급여를 받는 비자발적 실업자가 그만큼 더 많이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내년부터 고용보험 보험료율을 현행 1.3%에서 1.6%로 올린다고 한다. 그러나 이 방안마저 고용보험법 개정을 통해 지급수준을 현행 (직전 소득 대비) 50%에서 60%로 올리고, 지급기간도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로 30일 늘리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고용보험 기금 건전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부처 설명]
최근 실업급여 지출 증가는 건설경기 불황①, 자동차 산업 등 일부 제조업 구조조정으로 신규 신청자가 증가②와 함께,
①건설기성액 증감률(전년동월대비,%) : -5.7(2018년 3월)→ -1.2(4월)→ -2.5(5월)→ -6.3(6월)→ -7.0(7월)
②2018년 1월∼9월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누계) : 82만 6430명(전년동기비 +11.7%) ▲ 전체 +8만 6727명(+11.7%), ▲ 건설 +2만 9352명(+42.2%), ▲ 제조 +1만 994명(+7.7%)
2018년 실업급여 하한액이 크게 인상됨에 따라 실업급여 신청유인도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됨
* 하한액(증가율, %): (2016년)43,416원(8.1%)→(2017년)46,584원(7.3%)→(2018년)54,216원(16.4%)
다만, 2017년 말 기준 실업급여 계정의 적립금은 5조 7958억 원이 있고,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 실업급여 계정 적립금: (2014년) 2조 9000억원→(2015년) 3조 8000억원→(2016년) 4조 9000억원→(2017년) 5조 8000억원
최근 사회안전망 강화 추세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보험료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 피보험자수(천명, (전년동월대비,%)): (2016년 9월) 1만 2588명(2.5%)→(2017년 9월) 1만 2879명(2.3%)→(2018년 9월) 1만 3282명(3.1%)
최근의 실업급여 지출 증가가 바로 실업급여 계정의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진다고 보기 어려움
한편,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①에 따라 추가적인 재정소요가 예상되나, 이에 대응하기 위해 노사 등과 논의를 거쳐 실업급여 보험료율인상②도 병행 추진하고 있어
①실업급여의 지급수준 인상(평균임금의 50%→60%), 지급기간 30일 이상 연장 등을 위한 고용보험법 개정안 국회 제출(2018년 4월 6일)
②2017년 12월 노사 등과 합의하여 보험료율 0.3%p 인상을 위한 보험료징수법 시행령 입법예고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가 고용보험기금의 재정 건전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음
아울러, 실업급여 계정의 재정 안정화를 위해 현재 법사위에계류중인 모성보호급여의 일반회계 부담 법정화 관련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임
* 주요 내용: 실업급여 계정에서 지출되는 모성보호급여의 30%를 일반회계에서 지원
문의 :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기획과(044-202-7349), 고용지원실업급여과(044-202-7374)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정부 운용 공자기금, 남북경협 위한 것 아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