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그린뉴딜, 기후변화·환경위기 대비 측면에도 초점

2020.06.02 기획재정부
목록

기획재정부·환경부는 “그린뉴딜은 환경·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기 부양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비 측면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1일 발표한 방안을 포함, 추가 보완을 통해 7월 초 종합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1일 경향신문(인터넷판) <기후변화 대응법 ‘미흡’…그린 뉴딜인데, 그린이 안 보인다>에 대한 기획재정부·환경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방안은 핵심 목표인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책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그린’을 표방한 단순 경제정책

[관계 부처 입장]

□ 금일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방안은 미래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응을 위해 ①각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원과 ②녹색산업 육성 및 ③신재생에너지 확산 과제 등 반영

①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산업·건물·수송 등) 분야별 감축 사업** 반영

*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17년): 산업 55%, 건물 22%, 수송 14% 등

** (산업)클린팩토리, 스마트 생태공장 등 저탄소·녹색산단 조성,(건물)공공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수송)친환경 차량·선박 보급

② 5대* 유망 분야 녹색산업 육성 및 녹색인재 양성(5천 명) 사업 반영

* 1)청정 대기, 2)생물 소재, 3)수열 에너지, 4)미래 폐자원, 5)자원 순환(Post-플라스틱)

③ 국민 참여* 등을 바탕으로 태양광·풍력·수소 등 3대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을 구축하는 R&D·실증 사업 등 반영

* 지역 주민 등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투자) 시, 투자금 융자 지원

□ 또한 화력발전·폐광 지역 등 낙후된 舊에너지 산업 지역을 신재생에너지 지구로 유연하게 전환하는 발전 모델 연구 등,

ㅇ 기후변화 및 에너지 구조 전환에 따른 공정 전환* 지원 예산도 이번 그린뉴딜 방안에 함께 반영

* [공정 전환(Justice Transition)]

: 에너지 구조 전환(화석 연료→신재생에너지 등) 과정에서 수혜를 받지 못하고 소외되는 취약 계층 등에 대한 고려·배려를 요구하는 개념

□ 그린뉴딜은 ①환경·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기 부양뿐만 아니라 ②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비 측면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ㅇ 금일 발표한 방안을 포함, 추가 보완을 통해 7월 초 종합 대책도 마련할 계획

문의 : 기획재정부 기후환경정책팀(044-215-4971), 환경부 기후전략과(044-201-6647)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조기재취업수당 제도개편, 심의 거쳐 결정 예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